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신 지방의회론

신 지방의회론

  • 한국지방자치학회
  • |
  • 박영사
  • |
  • 2019-02-28 출간
  • |
  • 549페이지
  • |
  • 176 X 248 mm
  • |
  • ISBN 9791130307299
판매가

27,000원

즉시할인가

26,73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6,73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01

지방의회제도의 원리와 의의

 

 제1절 의회제도의 개념과 역사, 그리고 본질 3

 1. 한국의 지방자치와 지방의회_3

 2. 지방의회의 개념_5

 3. 지방의회의 역사에서 살펴보는 의회의 본질_7

 4. 지방의회의 본질_9

 

제2절 지방의회제도 기본원리와 전제조건 10

 1. 의회제도시스템설계의 기본_10

 2. 국가주권에 입각한 정치적 미화로서의 지방의회관 _11

 3. 지방의회제도의 위기 _13

 

 

 02

외국 지방의회의 제도

 

 제1절 영국의 지방의회제도 19

 1. 개요_19

 2. 지방의원 자격_20

 3. 지방의원 역할_21

 4. 지방의원 수와 선거_22

 5. 지방의원 보수_24

 6. 지방의회의 집행 구조_26

 1) 지방의회 의장과 내각(Leader and Cabinet) 모델_27

 2) 직선시장과 내각(Elected mayor and cabinet) 모델_29

 3) 대안적인 집행조직 형태 모델_32

 7. 지방의회에 주민참여_33

 8. 영국 지방의회제도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_33

 

제2절 프랑스의 지방의회제도 36

 1. 서론_36

 2. 프랑스의 지방정치?행정구조_38

 1) 지방자치단체의 계층 구조_38

 2) 지방정치?행정체제: 정치?행정적 통합모델 _40

 3) 계층별 지방의회의 개괄적 이해_42

 3. 지방의회의 조직_46

 1) 지방의회의 조직원리_46

 2)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형태(자치단체장-지방의회)_46

 3) 선거제도(투표 방식)_48

 2) 지방의회 의원정수_53

 4. 파리시의회 조직_55

 1) 파리시 조직(장-의회)_55 2) 파리시 구청 행정조직_59

 3) 동의회(conseil de quartier)_60

 5. 지방의원의 지위(무보수 명예직)_60

 6. 지방의회의 위원회제도_64

 1) 광역의회: 도의회 위원회_64 2) 기초의회: 시읍면의회 위원회_66

 7. 지방의회의 권한_67

 1) 개관_67 2) 시읍면의회의 역할_68

 8. 지방의회의 특징적 요소_69

 1) 지방의원의 겸직실태_69

 2) 자치적 분권의 핵심기관: 지방의회의 공고화_71

 9. 결론_73

 

제3절 독일의 지방의회제도 77

 1. 독일 정부의 개관_77

 2. 독일의 지방자치단체_78

 1) 독일의 지방자치단체 구조_78

 2)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_80

 3. 지방의회_86

 1) 지방의회의 위상_86 2) 지방의회의 기능_87

 3) 지방의원의 위상_88 4) 지방의원의 역할_89

 5) 지방의원의 선거_90

 4. 지방의회의 유사기능으로 대의제도_91

 1) 주민총회_91

 2) 거주민회의_92

 3) 주민참여 예산제도(베를린시의 리히텐베르크 구를 중심으로)_93

 5. 독일 지방의회제도의 시사점_95

 

제4절 미국의 지방의회제도 99

 1. 연방제하의 지방정부_99

 1) 미국헌법의 기본 원리_99

 2) 주(州)정부와 지방정부_100

 3) 딜론의 원칙과 홈 룰(Dillon’s Rule vs. Home Rule)_100

 4) 정부 간 관계와 자발적인 협력_102

 5) 주정부-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_102

 2. 미국 지방정부의 구조와 유형_103

 1) 카운티(County)_104 2) 카운티 산하 지방정부_105

 3) 특별구(Special District)_106 4) 학교구(School District)_107

 3. 미국 지방의회의 구조와 유형_107

 1) 미국 지방의회의 기원과 권한_107

 2) 미국 지방의회의 조직_108

 3) 지방의회의 구성과 지원의 다양성_110

 4) 지방의회의 유형_112

 5) 시장-의회제(mayor-council form)_116

 6) 의회-지배인제(council-manager form)_118

 7) 소결_121

 4. 미국 지방의회의 사례_122

 1) 대도시 지방의회_122 2) 소규모 도시 지방의회_129

 3) 카운티지방의회_131

 

제5절 일본의 지방의회제도 139

 1. 서론_139

 2. 일본형 이원대표제와 지방의회_140

 3. 수장 우위의 구조와 지방의회_145

 1) 수장의 정치성과 무당파성(無黨派性)_145

 2) 지방분권의 진전과 수장선거의 개혁_147

 3) 수장과 행정위원회-집행부 구성의 다양화와 수장 권한의 통제_148

 4. 지방의회의 개혁_151

 1) 주민대표기관으로서의 의회_152 2) 심의기관으로서의 의회_154

 3) 행정감시형 대 정책결정형 의회_155

 5. 일본에서의 지방정부 기관구성 다양화에 대한 논의_157

 1) 기관구성의 다양화 논의의 배경_157

 2) 일본에서 기관구성 다양화에 대한 헌법상 해석_159

 3) 자치체 조직의 다양화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_160

 6. 맺음말_162

 

 03

우리나라 지방의회의 역사

 

 제1절 지방자치법의 제정과 지방자치제도의 도입기 167

 1. 조선시대말의 지방자치_167

 2. 일제시대_168

 3. 미군정시대_170

 4. 대한민국시대_171

 

제2절 지방의회 부활 이전(1961년 이전) 172

 1. 제1대 지방의회(1952∼1956)_172

 2. 제2대 지방의회(1956∼1960)_177

 3. 제3대 지방의회(1960∼1961)_180

 

제3절 지방의회의 중단기(1961∼1991) 181

 1. 5?16 군사정변의 지방자치_182

 1) 지방의회의 해산 및 상급기관장의 승인에 의한 집행_182

 2) 지방자치에 관한 임시조치법(1961.9.1.)_182

 2. 제3?4공화국과 지방자치_182

 3. 제5공화국과 지방자치_183

 4. 제6공화국과 지방자치_183

 

제4절 지방의회 부활 이후(1991년 이후) 185

 1. 제1기 지방의회(1991.4∼1995.6)_185

 2. 제2기 지방의회(1995.7∼1998.6)_189

 3. 제3기 지방의회(1998.7∼2002.6)_190

 4. 제4기 지방의회(2002.7∼2006.6)_193

 5. 제5기 지방의회(2006.7∼2010.6)_197

 6. 제6기 지방의회(2010.7∼2014.6)_201

 

 

 04

지방의회의 조직

 

 제1절 지방의회 의원 209

 1. 지방의원의 정수_209

 1) 지방의원 정수결정의 변수_209

 2) 지방의원 정수결정의 방법_212

 3) 대의회제와 소의회제의 장?단점_214

 4) 우리나라 지방의회 의원의 정수와 규모_215

 5) 임기 중 지방의원 정수의 조정_220

 2. 지방의원의 지위_222

 1) 주민대표자로서의 지위_222

 2) 지방의회 구성원으로서의 지위_223

 3) 선거직 공무원으로서의 지위_224

 4) 지방정치인으로서의 지위_224

 3. 지방의원의 임기_225

 1) 지방의원 임기의 의의_225

 2) 우리나라 지방의회 의원의 임기_226

 4. 지방의원의 보수_227

 1) 지방의원의 보수제도: 명예직과 유급직_227

 2) 외국 지방의회 의원의 보수제도_228

 3) 우리나라 지방의회 의원의 보수제도 변화과정_230

 4) 우리나라 지방의회 의원의 보수 관련 규정과 실태_239

 5. 지방의원의 겸직 허용범위_244

 1) 의의_244

 2) 외국 지방의회 의원의 겸직 허용 실태_245

 3) 우리나라 지방의회 의원의 겸직 등의 금지_246

 

제2절 지방의회 내부 조직 247

 1. 의장단_247

 1) 의장단의 지위와 정치적 중립성_247

 2) 의장단의 선거_249

 3) 의장단의 임기와 사직_250

 4) 의장의 직무와 권한_251

 2. 위원회_255

 1) 위원회제도의 의의_255 2) 위원회의 특징_257

 3) 위원회의 종류_258

 3. 사무기구_264

 1) 사무기구의 의의_264 2) 사무기구의 조직_265

 3) 사무기구의 직원_266 4) 사무기구의 직무_267

 5) 전문위원의 직무_268

 

 

 05

지방의회의 지위, 기능 및 권한

 

 제1절 지방의회의 지위 275

 1. 헌법상 기관으로서의 지위_276

 2. 주민대표기관으로서의 지위_277

 3. 입법기관으로서의 지위_277

 4. 통제기관으로서의 지위_278

 

제2절 지방의회의 기능 279

 1. 주민대표기능_279

 2. 정책제기기능_280

 3. 의결기능_280

 4. 집행감시기능_282

 

제3절 지방의회의 권한 282

 1. 의결권_284

 1) 의결권의 의의_284 2) 의결권의 행사형식_286

 3) 의결권의 범위_288 4) 의결권의 한계_289

 5) 지방의회 의결권의 개선방안_290

 2. 행정감시권_291

 1) 행정감사 및 조사권_292

 2) 행정사무처리상황의 보고와 질문응답에 관한 권한_296

 3) 서류제출요구권_296

 4) 출석 및 답변 요구권_296

 

제4절 청원수리권 및 자율권 297

 1. 청원수리?처리권_297

 1) 청원수리 및 처리권의 의의_297

 2) 청원수리 및 처리의 개선방안_298

 2. 자율권_298

 1) 선거권_299 2) 자율운영권_299

 

 

 06

지방의회의 회의 운영

 

 제1절 지방의회 운영체제 및 회의원칙 305

 1. 의회의 회의 운영체제_305

 1) 회기제_305 2) 회의의 유형_307

 2. 회의원칙_312

 1) 의의_312 2) 회의의 원칙_312

 

제2절 집회와 회기, 의사일정 316

 1. 집회_316

 1) 집회의 의의_316 2) 정례회의 집회_316

 3) 임시회의 집회_317 4) 회기 중 집회요구 및 공고_318

 5) 2개 이상의 집회요구_318

 2. 회기_318

 1) 회기의 의의_318 2) 회기의 결정_319

 3) 회기의 계산_319

 3. 의사일정_319

 1) 의사일정의 의의_319 2) 의사일정의 작성과 협의_320

 3) 의사일정의 변경_320 4) 의사일정의 상정_321

 

제3절 의안의 처리 321

 1. 의안_321

 1) 의안의 개념_321 2) 의안의 발의권자_322

 3) 의안의 제출 또는 제안과 발의_323

 4) 의안의 발의요건_324 5) 발의 의안의 유형_324

 2. 동의_325

 1) 동의의 개념_325 2) 동의의 종류_325

 3) 동의의 발의 및 성립_327

 3. 번안?수정동의?대안_328

 1) 번안동의_328 2) 수정동의_329

 3) 대안_331

 4. 청원_332

 1) 청원의 의의_332 2) 청원사항_333

 3) 청원서의 제출_333 4) 청원의 처리_333

 5. 민원처리_335

 1) 민원의 개념_335 2) 민원의 처리_335

 3) 불수리사항_336

 

제4절 회의 운영 337

 1. 안건 및 심의절차_337

 1) 안건의 의의_337 2) 안건심의절차_337

 2. 회의의 개폐_339

 1) 개의_339 2) 휴회_340

 3) 유회 및 회의중지(정회)_340 4) 산회_341

 3. 발언_341

 1) 발언통지와 허가_342 2) 발언의 장소_342

 3) 발언의 제한_343 4) 의사진행에 관한 발언_343

 5) 신상발언_344 6) 5분 자유발언_344

 4. 의사일정의 상정_345

 1) 의사일정의 의의_345 2) 상정순서_345

 5. 심사보고 및 제안설명_346

 1) 심사보고_346 2) 제안설명_346

 6. 질의_347

 1) 질의의 의의_347 2) 질의의 순서와 방식_347

 3) 질의의 종결_348

 7. 토론_348

 1) 토론의 의의_348 2) 토론의 방법_349

 3) 토론의 종결_349

 8. 표결_350

 1) 표결의 의의_350 2) 표결의 선포_350

 3) 표결권자_350 4) 표결의 순서_351

 5) 표결의 방법_351 6) 의사변경의 금지_351

 7) 조건부 표결의 금지_352 8) 표결 결과의 선포_352

 9. 위원회의 의사_353

 1) 위원회 의사의 의의_353 2) 위원회의 개회_353

 3) 위원회의 의사 방법_354 4) 위원회의 심사절차_355

 5) 연석회의_356 6) 공청회_356

 7) 심사보고_357

 

제5절 회의록 358

 1. 회의록의 의의 및 종류_358

 1) 회의록의 의의_358 2) 회의록의 종류_358

 2. 회의록의 작성 및 보존_359

 1) 회의록 작성_359 2) 회의록의 기재사항_359

 3) 기타 기재사항_360 4) 회의록의 서명_361

 5) 자구의 정정_361 6) 이의의 신청 및 결정_362

 7) 회의록 보존_362 8) 회의록 원고의 열람?복사_362

 3. 회의록 공개_362

 1) 회의록의 공개_362 2) 회의록의 통고_363

 3) 불게재회의록 및 비공개회의록의 열람?복사_363

 4. 의장이 취소 또는 금지하게 한 발언과 회의록_363

 

제6절 의회의 질서유지와 쟁송 364

 1. 제척_364

 1) 제척의 의의_364 2) 제척의 대상_365

 3) 제척의 범위_365

 2. 의회의 질서_365

 1) 회의규칙_365 2) 경호권_366

 3) 의회의 질서_366

 3. 징계_369

 1) 징계의 의의_369 2) 징계사유_369

 3) 징계의 요구와 회부_369 4) 징계의 심사 및 의결_370

 4. 행정쟁송_372

 1) 소송의 개념_372 2) 지방의회 관련 특수성_373

 3) 소송수행방침 수립_374 4) 답변서_374

 5) 변론기일(공판)절차와 선고_374 6) 판결의 종류_374

 7) 판결의 효력_375

 

 

 07

지방의회와 선거

 

 제1절 지방선거의 개념 및 의의 379

 1. 지방선거의 개념_379

 2. 지방선거의 의의_380

 3. 지방선거와 의회 전문성_381

 1) 지방의회 전문성의 개념 및 의의_381

 2) 지방의회 전문성 제고를 위한 선거제도 개혁_383

 

제2절 지방선거의 제도적 기반 384

 1. 투표제도_384

 1) 투표의 개념 및 의의_384 2) 투표방법_384

 2. 선거구제도_386

 1) 선거구제도의 개념 및 의의_386 2) 선거구의 유형_387

 3) 선거구의 획정_388

 3. 대표제도_389

 1) 대표제도의 개념 및 유형_389 2) 한국의 대표제도_391

 3) 대표제도의 개선 논의_394

 4. 후보자 추천 및 지명제도_395

 1) 정당공천제의 개념 및 의의_395 2) 한국의 정당공천제도_396

 3) 정당공천제의 찬반 논의_397

 5. 선거운동_399

 1) 한국의 지방선거운동_399 2) 지방의회 후원회제도의 도입_402

 

제3절 역대 지방의원 선거결과의 특징과 변화 404

 1. 지방선거 투표율과 지방의원선거의 경쟁률_404

 2. 지방의원 당선자의 정당분포_407

 3. 1당 지배적인 기관구성의 정당구도_410

 4. 지방의원 당선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_414

 5. 요약 및 논의_417

 08

지방의회와 자치기관의 관계

 

 제1절 지방정부의 기관구성의 이론적 논의 423

 1. 의의_423

 2. 논의의 틀_426

 

제2절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의 현황 429

 1. 역대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방법_429

 1) 기관구성방법의 변천사_429

 2) 역대 지방자치단체장의 선임방식과 기관운영의 역학관계_432

 2. 지방정치?행정체제의 특징_434

 3. 현행 기관분립형 지방정부 운영의 성과_436

 1) 긍정적 측면_436 2) 부정적 측면_437

 

제3절 지방의회와 집행기관의 관계 439

 1. 지방의회와 집행기관의 기본적 관계_439

 2. 집행기관 선임방식에 따른 양 기관 간의 관계_440

 1) 직선제하에서의 양 기관의 관계_440

 2) 간선제하에서의 양 기관의 관계_440

 3) 임명제하에서의 양 기관의 관계_440

 3. 우리나라 지방의회와 집행기관 간의 관계_441

 1) 집행기관에 대한 의회의 통제권_441

 2) 의회에 대한 집행기관의 통제권_444

 

제4절 지방의회와 교육자치기관의 관계 447

 1. 지방교육자치의 의미_447

 2. 교육분권의 이론적 쟁점_448

 3. 교육분권과 지방분권_449

 1) 지방분권과 교육분권의 개념_450

 2) 지방분권과 교육분권의 조건_450

 4. 교육자치의 이념적 배경_452

 1) 교육자치의 논리: 중앙정부로부터 분권과 일반행정으로부터 분권 및 교육주체의 교육행정기관으로부터의 분권_452

 2) 교육자치의 이념?원리_454

 

제5절 일반행정과 교육행정의 관계에 따른 교육기관구성형태 456

 1. 교육?학예의결기관: 교육위원회(시?도의회 상임위원회로 통합)_456

 1) 설치 및 구성_456

 2) 교육의원의 위상변화_457

 2. 교육위원, 교육의원 선거방식의 변화 및 교육행정기관구성의 사적 고찰_459

 1) 1949년 제정교육법(1949.12.31.)_460

 2) 1962년 교육법 개정(1962.1.6.)_461

 3) 1963년 교육법 개정(1963.11.1.)_461

 4) 1991년 지방교육자치에관한법률(1991.3.8.)_462

 5) 1997년 개정 지방교육자치에관한법률(1997.12.17.)_463

 6)2007년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2007.5.11.) 및 주민직선제에 의한 교육감, 교육의원 선출시기(2007.1-2010.6)_464

 3. 교육감_468

 1) 교육감후보자의 자격_468 2) 권한(관장사무)_468

 2) 겸직제한_472 3) 보조기관 및 소속교육기관_472

 4) 하급교육행정기관_473

 

 

 09

지방자치분권과 지방의회 구조 개혁과제

 

 제1절 지방자치분권 개헌과 지방의회 477

 1. 지방의회 관련 개헌안 주요 담론_477

 2. 통치권의 주체로서 지방분권국가 선언_478

 1) 헌법개정특별위원회 자문위원회 개헌(안)_478

 2) 대통령 개헌(안)_479 3) 조문쟁점_479

 3. 지방자치권 연원과 사무배분 보충성 원칙 신설_480

 1) 헌법개정특별위원회 자문위원회 개헌(안)_480

 2) 대통령 개헌(안)_480 3) 조문쟁점_481

 4. 입법기관으로서 지방의회 명시_482

 1) 헌법개정특별위원회 자문위원회 개헌(안)_482

 2) 대통령 개헌(안)_483 3) 조문쟁점_483

 5. 지방정부 자주조직권_484

 1) 헌법개정특별위원회 자문위원회 개헌(안)_484

 2) 대통령 개헌(안)_484 3) 조문쟁점_485

 6. 정당설립의 확대와 정당공천의 민주성 원칙 명시_485

 1) 헌법개정특별위원회 자문위원회 개헌(안)_485

 2) 대통령 개헌(안)_486 3) 조문쟁점_486

 7. 국회의원 정수 조정 및 국가자치분권회의_486

 1) 헌법개정특별위원회 자문위원회 개헌(안)_486

 2) 대통령 개헌(안)_487 3) 조문쟁점_487

 

제2절 지방의회개혁사 488

 1. 지방자치제도 개혁과 지방의회의 구성_488

 1) 지방의회 구성_488 2) 지방의회 재구성_489

 3) 지방자치제도 개혁 성과와 지방의회_490

 2. 지방의회의 조직구성과 의원정수_490

 1) 지방의회의 존재론적 규정_490

 2) 제1?2?3?4대 지방의회 의원정수: 전부개정 지방자치법_491

 3) 제5?6?7?8대 지방의회 의원정수: 공직선거법_492

 3. 지방의회의 운영_493

 1) 지방의원의 신분과 처우_493 2) 지방의회의 사무기구_495

 3) 의회 운영의 자율화_496 4) 지방의회의 권한_498

 5) 지방의회의 윤리와 책임_500

 4. 지방자치분권 및 지방행정체제개편에 관한 특별법_502

 1) 자치입법권 강화_502

 2) 지방의회의 심의?의결권 확대_503

 3) 지방의회 사무기구의 인사권 독립 방안_503

 4) 지방의회 의원의 선출방법 개선_503

 5) 지방의회의 책임성 강화_503

 

제3절 정당의 민주화 실현과 민의에 부합하는 지방선거제도 504

 1. 정당공천제와 지방정당_504

 1) 지방선거 정당공천제 부재_504

 2) 광역의회와 기초의회 분리 실시_504

 3) 정당공천제 실시의 공과(功過)_506

 4) 기초지방의회 의원선거에서 정당공천제 폐지 검토_507

 2. 선거구제와 전국동시지방선거의 문제_509

 1) 선거구_509 2) 선거구 인구편차_510

 3) 전국동시지방선거와 지방선거의 지방화_512

 3. 풀뿌리 지방의회의 부활_515

 1) 주민자치회에 대한 검토_515

 2) 근린(Neighborhood)자치 활성화: 읍?면?동 단위의 기초자치 복원_517

 

제4절 삼권분립과 지방권력 구조의 민주화 520

 1. 지방정부 기관구성 다양화_520

 1) 지방정부의 기관구성의 문제_520

 2) 영국 지방정부 기관구성 사례_520

 3) 지방정부 기관구성 다양화(안)_521

 2. 선거로 구성된 기관별 독립성 원칙 반영과 사무직원 인사권 환원_522

 1) 사무직원 인사권 환원 필요성_522

 2) 헌법 개정방향_523 3) 지방자치법 개정방향_523

 

제5절 주민대의기관으로서 지방의회 기능 및 책임성 제고 527

 1. 지방의회 의원정수_527

 1) 주민대의기관으로서 지방의원 정수 감소_527

 2) 지방의회 의원과 지방공무원?국가공무원 정원 연도별 비교_529

 3) 지방의회 의원정수 산정기준 변경 필요_532

 2. 지방의회 의원 역량 제고_534

 1) 지방의회 사무기구_534

 2) 지방의원 전담 교육연수기관 및 연구기관 부재_536

 3. 직업으로서 지방의원과 보수_538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