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0 ZOOM 전공체육 스포츠 교육학 측정평가통계

2020 ZOOM 전공체육 스포츠 교육학 측정평가통계

  • 권은성
  • |
  • 윌비스
  • |
  • 2019-03-12 출간
  • |
  • 376페이지
  • |
  • 215 X 297 mm
  • |
  • ISBN 9791159626784
판매가

22,000원

즉시할인가

19,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8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체육교육 탐구 

 

/제1부/ 체육교육사조와 목적론 2

 

제01장 근대 체육교육 사상의 변화 2

01 19세기 초⋅중반 2

02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3

03 20세기 중반이후 4

제02장 신체육의 발전과 평가 6

01 20세기 초의 교육 6

02 신체를 통한 교육 7

03 ‘신체를 통한 교육’ 철학의 실천 8

04 ‘신체를 통한 교육’ 철학의 평가 9

제03장 체육교육과정의 사조:가치정향(value orientation) 10

01 체육교육과정 원천 10

02 체육교육과정 사조 11

제04장 체육교육과정 모형 14

01 체력 모형 14

02 움직임 분석 모형 16

03 스포츠교육 모형 19

04 발달단계 모형 22

05 개인의미추구 모형 (The personal meaning model) 26

 

/제2부/ 체육교육 과정론 32

 

제05장 체육 교육과정의 개념 32

01 체육 교육과정의 수준 32

02 체육 교육과정의 해석⋅실천⋅개선 (실천적 수준에서 교사역할) 35

03 체육과 교육과정의 의미와 본질 36

제06장 체육 교육과정의 개선 39

01 교육과정 개선의 관점 39

02 교육과정 개선의 전략 39

03 체육과 교육과정(국가수준) 개정의 기본 방향 40

제07장 체육 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 43

01 체육과 내용의 조직 원리 44

02 체육 교과통합의 이론적 배경 45

03 통합적 체육수업 교과 조직과 지도방안 51

 

/제3부/ 체육교수 방법론 55

 

제08장 체육수업의 이해와 개선 55

01 체육수업 형태 55

02 체육과 수업의 개선:실천주의적 관점에서 현장개선연구 57

제09장 체육수업의 구조와 실천 58

01 체육수업의 구조 58

02 체육수업의 실천 59

제10장 수업지도 기술 69

01 수업:과제의 적절한 배열 69

02 학습 환경의 조성 69

03 과제 전달 70

04 과제연습의 지도 71

05 책무성 체계 수립 72

06 수업 정리 72

07 수업진행 속도(흐름) 조절 72

제11장 수업관리 기술 73

01 서언 73

02 절차와 규칙 74

03 수업운영 및 수업 관리시간(managerial time) 75

04 예방적 관리기법과 관리 전략 77

제12장 체육수업의 생태 79

01 체육수업 생태의 과제 체계 79

02 생태적 모델의 주요 개념 80

제13장 교수 기능의 체계적 개발과 효율적 교수 81

01 교수 연습법 81

02 Siedentop이 개발한 교수 기능의 발달 단계 82

03 효율적 교수의 특징 83

제14장 학습 분석 84

01 학습 지도 분석 도구 84

02 교수활동 측정도구 86

 

Ⅱ 체육수업 방식

 

제01장 맥락적합 수업 체제 98

01 교수 스타일과 수업 체제의 차이 98

02 수업 체제의 적합성 98

제02장 체육수업 방식의 유형 99

01 적극적 수업(active teaching) 99

02 과제식 수업(task teaching) 100

03 질문식 수업(teaching through questions) 103

04 동료 수업(peer teaching) 106

05 협동 학습(cooperative learning) 108

06 자기지도식 학습(self-instructional teaching) 111

07 팀 교수(협력교수) 113

 

Ⅲ 체육수업 스타일

 

/제1부/ 체육교수 스타일 개관 116

 

제01장 스펙트럼 형성과정 116

01 패러다임의 전환 116

02 스펙트럼 116

제02장 스펙트럼 개관 117

01 교수학습의 틀:스펙트럼은 보편적이면서 통합된 틀 117

02 스펙트럼의 개요 118

03 O-T-L-O 관계 120

04 스펙트럼의 필요성 121

제03장 교수 스타일의 구조 122

01 과제활동 전 결정군 122

02 과제활동 중 결정군 123

03 과제활동 후 결정군 123

제04장 피드백 124

01 4가지 형태의 피드백 125

제05장 인지 127

01 인지의 개요 127

02 인지 대전제:기억, 발견, 창조의 3가지 기본 사고 과정 128

03 의식적 사고 과정의 일반적인 모형 129

04 수렴형 사고와 확산형 사고 130

05 발견 역치 131

06 인지 기능의 역할 132

07 인지와 답변 대기 시간 132

08 교과내용 설계 133

제06장 지시형 스타일 (A) 134

01 개요 134

02 지시형 스타일의 구조 135

03 지시형 스타일의 실제 136

04 지시형 스타일의 함축적 의미 137

05 교과내용 선정 시 고려사항 137

06 지시형 스타일의 특징 138

제07장 연습형 스타일 (B) 139

01 개요 139

02 연습형 스타일의 구조 141

03 연습형 스타일의 실제 142

04 연습형 스타일의 함축적 의미 142

05 교과내용 선정 시 고려사항 (과제종류, 연습과제 조직과 계획 측면) 143

06 연습형 스타일의 특징 144

07 발달 경로 145

제08장 상호학습형 스타일 (C) 146

01 개요 146

02 상호학습형 스타일의 구조 147

03 상호학습형 스타일의 실제 148

04 교과내용과 기준용지의 선정 및 계획 149

05 상호학습형 스타일의 특징 150

06 발달경로 150

제09장 자기점검형 스타일 (D) 151

01 개요 151

02 자기점검형 스타일의 구조 152

03 교과내용과 평가기준 용지 선정과 설계 153

04 자기점검형 스타일의 특징 153

05 발달 경로 (스타일의 변형) 153

제10장 포괄형 스타일 (E) 154

01 개요 154

02 포괄형 스타일의 구조 155

03 포괄형 스타일의 실제 156

04 포괄형 스타일의 함축적 의미 157

05 교과내용의 선정과 설계 158

06 포괄형 스타일의 특징 160

제11장 모방중심 (A~E) 스타일 공통점 161

01 과제식 교수, 학습중심, 스테이션 교수 161

02 시범 161

03 수업 조직의 주의사항 162

제12장 유도발견형 스타일(F) 163

01 개요 163

02 스타일의 구조 164

03 유도발견형 스타일의 실제 165

04 유도발견형 스타일의 함축적 의미 166

05 교과내용 선정과 설계 166

06 유도발견형 스타일의 특징 167

07 발달경로 167

제13장 수렴발견형 스타일 (G) 168

01 개요 168

02 수렴발견형 스타일의 구조 169

03 수렴발견형 스타일의 실제 169

04 교과내용의 선정과 설계 171

05 수렴발견형 스타일의 함축적 의미 172

제14장 확산발견형 스타일 (H) 174

01 개요 174

02 확산발견형 스타일의 구조 176

03 확산발견형 스타일의 실제 176

04 확산발견형 스타일의 함축적 의미 177

05 교과내용 선정과 설계 177

06 질문 구성 178

07 P-F-D과정:해답(반응)의 처리 179

08 확산발견형 스타일 특징 179

제15장 자기설계형 스타일 (I) 180

01 개요 180

02 자기설계형 스타일의 구조 181

03 교과내용 선정 고려사항 182

04 자기설계형 스타일의 함축적 의미 182

05 자기설계형 스타일의 특징 183

제16장 자기주도형 스타일 (J) 185

01 개념 185

02 자기주도형 스타일의 구조 186

03 교과내용 선정 고려사항 186

제17장 자기학습형 스타일 (K) 187

01 개요 187

 

Ⅳ 체육수업 모형

 

/제1부/ 모형중심 체육수업 개관 190

 

제01장 현대 체육 프로그램과 수업 190

01 체육 지도 방법의 변화 과정:방법에서 모형에 이르기까지 190

02 한 가지 완벽한 지도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192

03 수업 모형:교수와 학습을 위한 설계도 192

제02장 체육수업 의미와 구성 193

01 수업 모형:체육수업의 설계도 193

02 체육수업 모형의 개념 틀 193

03 이론적 기초 194

04 교수⋅학습의 특징 196

05 교수 과정의 검증 197

06 학습 평가 197

07 모형 실행의 요구 조건 및 맥락적 변형 198

제03장 모형중심 체육수업에 필요한 교사 지식 199

01 체육수업을 위한 지식 기반 199

02 전문성 있는 체육교사로 성장하기 209

제04장 모형중심 체육수업을 위한 교수 전략 210

01 수업관리 전략 210

02 수업지도 전략 211

제05장 모형중심 체육수업에 필요한 효과적인 교수기술 216

01 수업 계획 216

02 시간과 수업 운영 216

03 과제 제시와 과제 구조 217

04 의사소통 217

05 교수 정보 217

06 질문의 활용 220

07 수업 정리와 종료 221

제06장 효과적인 체육수업의 계획 222

01 계획이 필요한 이유? 222

02 계획 지침 223

03 단원 계획 224

04 교수⋅학습 과정안 225

제07장 모형중심 수업 학생 평가 226

01 체육에서의 대안 평가 226

02 모형중심 수업에서의 평가 227

 

/제2부/ 8가지 체육수업 모형 228

제08장 직접교수 모형 228

01 개요 228

02 이론적 기초 229

03 교수⋅학습의 특징 230

04 교사 전문성 및 상황적 요구 조건 232

제09장 개별화지도 모형 233

01 개요 233

02 이론적 기초 234

03 교수⋅학습의 특징 236

04 교사 전문성 및 상황적 요구 조건 238

제10장 협동학습 모형 239

01 개요 239

02 이론적 기초 240

03 교수⋅학습의 특징 242

04 교사의 전문성 및 상황적 요구 조건 244

제11장 스포츠교육 모형 245

01 개요 245

02 이론적 근거 247

03 교수⋅학습의 특징 248

04 교사 전문성 및 상황적 요구 조건 250

제12장 동료교수 모형 251

01 개요 251

02 이론적 기초 252

03 교수⋅학습의 특징 253

04 교사 전문성 및 상황적 요구 조건 255

제13장 탐구수업 모형 256

01 개요 256

02 이론적 기초 257

03 교수⋅학습의 특징 258

04 교사 전문성 및 상황적 요구 조건 260

제14장 전술게임 모형 262

01 개요 262

02 이론적 기초 263

03 교수⋅학습의 특징 264

04 교사 전문성 및 상황적 요구 조건 269

제15장 개인적⋅사회적 책임감지도 모형 270

01 개요 270

02 이론적 기초 271

03 교수⋅학습의 특징 274

04 교사 전문성 및 상황적 요구 조건 276

 

Ⅴ 체육수업 비평

 

/제1부/ 체육수업 철학 비평 278

 

제01장 체육수업이 필요한 이유 278

01 일반적인 인식에 의한 체육수업 존재의 이유 278

02 체육수업의 존재이유 279

제02장 체육수업에서 가르칠 교과지식 280

01 체육수업 철학의 혼란 280

02 체육교과 지식의 실체 281

03 체육교과 지식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 282

 

/제2부/ 체육수업 실천 비평 283

 

제03장 체육수업 목표 283

01 전통적인 체육수업 목표관 283

02 대안적인 체육수업 목표관 284

03 체육 문화 및 축제로 입문하는 체육수업 284

04 체육수업에서 축제 마당인 체육 대회로 연결 284

제04장 체육수업 내용 285

01 체육수업에서 내용상의 문제 285

02 움직임 주제중심의 대안적 체육수업 내용 285

03 NEW프로그램을 도입하는 체육수업 286

제05장 체육수업 방법 287

01 수준별 체육수업의 필요성과 방향 287

02 수준별 수업을 시도하는 체육수업 사례 290

제06장 학교 체육평가 291

01 체육과 평가 실태와 쟁점 291

02 체육과 평가에서의 문제 291

03 수행평가와 실기평가 292

04 평가과정을 학습경험으로 활용하는 체육 수업 293

 

/제3부/ 체육수업 문화 비평 294

 

제07장 체육수업 평등 294

01 양성평등 교육과 체육 교과서 294

02 이분법적 사고 지양과 통합적 사고 지향의 양성평등 체육교육 294

03 탐구중심의 혼성학급 체육수업 294

제08장 체육수업 환경 295

 

/제4부/ 체육수업 장학 비평 296

 

제09장 체육수업 장학 296

01 체육수업 장학의 목적과 방향 296

02 효율적인 체육수업 장학의 지침 296

03 체육수업 장학의 절차 296

04 체육수업 장학의 유형 297

05 체육수업 장학을 위한 수업 관찰 분석 기법 297

 

Ⅵ 체육측정 평가 통계

 

/제1부/ 통계 기술 300

 

제01장 기초 통계 300

01 측정 변인 300

02 중심경향값(=집중경향) 304

03 분산도(=변산도) 305

04 집단 차이 분석 315

05 분산 분석(변량 분석) 324

06 통계방법 정리 328

07 연구 설계 타당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29

제02장 체육 측정평가의 이해 330

01 체육 측정평가의 기본 개념 330

02 검사의 목적 331

03 검사의 종류 333

04 체육 측정평가의 최근 경향 334

제03장 규준지향 검사의 타당도와 신뢰도 336

01 타당도: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속성을 제대로 측정하는가? 336

02 신뢰도 339

제04장 준거지향 검사의 타당도와 신뢰도 343

01 타당도 343

02 신뢰도 (분류의 일관성) 345

03 준거지향 검사의 문제점 345

제05장 학교 체육 측정과 평가 346

01 학교 체육 평가의 실태 346

02 체육과 교육 목표 설정 348

03 성적 부여 방법 349

제06장 체육 평가에 대한 쟁점 350

01 체육 평가에 대한 쟁점 350

제07장 수행평가 351

01 수행평가의 이해 351

제08장 검사구성의 원리 353

01 심동적 영역 검사의 구성 353

02 인지적 영역 검사의 구성 354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