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 론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범위 6
Ⅰ. 통합적 가치체계로서의 협상모델 수립 6
1. 시장 유인체계에 대한 탐색과 협상의 통합적 가치체계로서의 규범적?경제학적?심리학적 프레임 도출 6
2. 협상모델 구축을 위한 협상학의 이론적 기반 11
Ⅱ. 사회 구조적 맥락에서 청년실업과 노인빈곤문제에 대한 협상모델 적용 13
제3절 연구방법론 15
Ⅰ. 브리콜라주에 기반한 학제적 연구: 협상모델 수립 15
Ⅱ. 학제적 연구의 적용: 협상모델의 적용 16
제2장 사회 구조적 협상모델 구축을 위한 학제적 기반
제1절 스미스의 시장 유인체계 19
Ⅰ.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19
1. <국부론>과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 19
2. ‘보이지 않는 손’의 문헌적 출처 20
3. ‘보이지 않는 손’과 자유방임주의 vs. 자연적 자유주의 23
4. ‘보이지 않는 손’과 균형 vs. 자연가격 27
5. ‘보이지 않는 손’과 인간의 이기심에 기반한 자기 이익 극대화 vs. ‘정의의 법’ 아래서의 자기 이익 추구 29
6. ‘보이지 않는 손’과 ‘보이는 손’ 33
Ⅱ. 애덤 스미스의 <도덕감정론> 39
1. ‘보이지 않는 손’과 ‘공정한 관찰자(Impartial Spectator)’ 39
2. ‘도덕감정(Moral Sense)’의 본질; 공감의 본성 42
3. 스미스의 ‘공감’의 원리; 상호적 감정체계 45
4. 시장 유인체계의 기반으로서의 ‘공감’ 47
제2절 규범적 프레임: 헌법적 선택 50
Ⅰ. 뷰캐넌의 헌법경제학 50
1. 사회계약(Social Contract)과 사회적 대화(Social Dialogue)를 통한 헌법적 선택 50
2. 개인의 이익 추구: 헌법적 선택 범위 안에서의 이익 55
Ⅲ. 협상모델의 소통의 틀과 넛지의 프레임으로서의 헌법 56
1. 헌법적 합의 하에서의 이익 추구에 대한 사회계약과 소통의 기본적 가치체계로서의 헌법 56
2. 헌법경제학의 넛지(Nudge) 기능과 협상의 경제학 57
제3절 경제학적 프레임: 협조게임 70
Ⅰ. 우월전략과 사회적 딜레마 70
Ⅱ. 협조게임 71
Ⅲ. 협조게임과 이익?효용의 개념의 재설계 72
Ⅳ. ‘통합적 가치 축적을 위한 협상모델’에 적용 77
제4절 심리학적 프레임: 마음이론 78
Ⅰ. 마음이론의 개념 78
Ⅱ. 마음이론과 거울뉴런 79
Ⅲ. 거울뉴런과 ‘공감’ 80
Ⅳ. ‘통합적 가치 축적을 위한 협상모델’에 적용 83
제5절 사회적 자본 85
Ⅰ. 사회적 자본의 정의 85
Ⅱ. 사회적 자본과 물적?인적 자본 88
Ⅲ. ‘통합적 가치 축적을 위한 협상모델’에 적용 92
제3장 통합적 가치 축적을 위한 구조적 협상모델 수립
제1절 협상의 이론적 기반 96
Ⅰ. 협상의 체계적 접근 96
1. 협상의 상호작용 96
2. 다층적 의제 및 당사자 구조 97
3. 협상의 사회적 환경 103
4. 협상의 가치사슬(Value Chain of Negotiations) 104
Ⅱ. 협상의 구조적 접근 106
1. 협상의 구조 106
2. 협상가능영역의 탐색 108
3. 통합적 협상 110
4. 분배적 협상 112
제2절 합의형성 접근방법 116
Ⅰ. 다수당사자 협상의 과정: 다수결 vs. 합의형성 116
Ⅱ. 합의형성 접근방식의 주요 개념 118
Ⅲ. 합의형성과정 124
1. 회합(Convening) 124
2. 책임의 명확화(Clarifying Responsibilities) 126
3. 숙의(Deliberating): 가치창조과정 127
4. 결정(Deciding) 129
5. 합의의 이행(Implementing Agreements) 131
6. 조직적인 학습과 발전(Organizational Learning and Development) 132
Ⅳ. 합의형성 접근방법(CBA)의 사례연구 132
1. 네덜란드 스키폴(Schiphol) 공항 확대 사례 133
2. ‘시화지구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례 141
3.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사례 148
제3절 통합적 가치 축적을 위한 사회 구조적 협상모델 구축 162
Ⅰ. ‘사회 구조적 협상모델’의 거시적 소통의 틀: 협상의 체계적 접근 163
1. ‘상호작용’에 기반한 협상의 가치체계 163
2. 사회 구조적 협상모델의 체계: 협상의 거시적 소통의 틀 165
Ⅱ. ‘통합적 가치 축적을 위한 협상모델’의 미시적 접근: 협상의 구조적 접근 181
1. 통합적 가치 축적을 위한 협상모델의 가치구조 181
2. 사회 구조적 협상모델의 통합적 협상식 185
3. 사회 구조적 협상모델의 분배적 협상식 197
4. 협상 창출 가치로서의 사회적 자본 200
5. 통합적 가치 축적을 위한 구조적 협상모델의 미시적 협상식 정리 204
Ⅲ. 합의형성 접근방법에 대한 ‘통합적 가치 축적을 위한 협상모델’ 적용 208
제4장 통합적 가치 축적을 위한 협상모델의 적용
제1절 회합 및 책임의 명확화 215
Ⅰ. 이슈 명확화 216
1. 사회 구조적 맥락에서의 청년실업과 노인빈곤문제 217
2. 스미스의 시장 유인체계와 후기 자본주의 사회의 구조적 문제 218
3. 저출산?고령화 230
4. 통합적?거시적 접근의 필요성 248
5. 이슈 도출 265
Ⅱ. 협상의제 도출 268
1. 다층적 협상의제 분석 269
2. 협상의제 도출 285
Ⅲ. 협상 참여자 선정 288
1. 이해당사자 분석에 기반한 대표성 분석 288
2. 협상의 장 제도화 290
제2절 숙의와 결정 296
Ⅰ. 협상의 공통 원칙 공유 296
Ⅱ. 거시경제주체 모델에서 당사자의 거시적인 이해의 틀 298
Ⅲ. 통합적 가치 축적과정 302
Ⅳ. 통합적 협상식 적용 306
Ⅴ. 분배적 협상식 적용 313
제3절 사회적 합의를 위한 구조적 협상모델의 사례연구 및 시사점 317
Ⅰ. 코포라티즘 모델 317
1. 스웨덴의 코포라티즘과 새로운 합의모델 319
2. 영국?아일랜드의 사회협약(Social Pact) 323
Ⅱ. 우리나라의 노사정위원회 329
1. 노사정위원회의 현황 329
2. 코포라티즘 사례연구의 시사점 330
3. ‘통합적 가치 축적을 위한 협상모델’의 시사점 332
제5장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341
참고문헌 347
찾아보기 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