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
■ 대부분의 SoC나 임베디드 모듈 제조사가 제공하는 BSP 평가하기
■ 빌드루트와 Yocto 프로젝트를 이용해 빠르고 효율적으로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 구축하기
■ 보안 위협 없이 판매된 IoT 장치 업데이트
■ 장치의 전력 소모량을 줄여 배터리 지속하기
■ 커널 장치 드라이버를 작성하지 않고 하는 하드웨어 상호작용
■ GDB를 이용해 장치를 원격으로 디버그와 perf, ftrace, valgrind 같은 강력한 도구를 이용한 시스템 성능 측정
■ 실시간 운영 체제로 리눅스 구성하기
★ 이 책의 대상 독자 ★
임베디드 컴퓨팅과 리눅스에 관심이 있고, 다양한 주제에 대한 지식을 넓히고자 하는 개발자를 위한 책이다. 리눅스 커맨드라인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가 있다고 가정했고, 프로그래밍 예에서는 C 언어에 대한 실용적인 지식이 있다고 가정했다. 몇몇 장은 임베디드 타깃 보드에 들어가는 하드웨어에 초점을 맞추므로, 하드웨어와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에 친숙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 이 책의 구성 ★
1장 '시작'에서는 임베디드 리눅스 생태계를 설명하고,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시스템 설계자가 할 수 있는 선택에 대해 설명한다.
2장 '툴체인에 대해 배워보자'에서는 툴체인의 요소에 대해 설명하고, 타깃 보드용으로 크로스 컴파일하기 위한 툴체인을 만드는 방법을 보여준다. 어디서 툴체인을 구할 수 있는지와 소스 코드로부터 빌드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3장 '부트로더에 대한 모든 것'에서는 리눅스 커널을 메모리로 로드하는 부트로더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고, U-Boot와 Bareboot를 예로 사용한다. 장치 트리도 설명하는데, 장치 트리는 하드웨어의 자세한 내용을 부호화하는 수단으로, 거의 대부분의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에 쓰인다.
4장 '커널 구성과 빌드'에서는 임베디드 시스템용 커널을 고르고 장치 내의 하드웨어를 위해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리눅스를 새로운 하드웨어에 이식하는 방법도 다룬다.
5장 '루트 파일시스템 만들기'에서는 루트 파일시스템 구성법에 대한 단계별 안내를 통해 임베디드 리눅스 구현의 사용자 공간 부분 뒤에 감춰진 아이디어를 소개한다.
6장 '빌드 시스템 선택하기'에서는 앞의 네 장에서 설명한 단계를 자동화하는 두 가지 임베디드 리눅스 빌드 시스템(Buildroot와 Yocto 프로젝트)을 다루면서 책의 첫 번째 부분을 마친다.
7장 '저장소 전략 만들기'에서는 플래시 메모리를 관리함으로써 생기는 플래시 칩과 임베디드 MMC eMMC 패키지 등의 도전에 대해 알아본다. 기술의 종류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파일시스템을 설명한다. 또한 이미 배치돼 있는 장치의 펌웨어를 갱신하는 기법도 다룬다.
8장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에서는 완전 관리형(OTA Over the Air)을 포함해서, 장치가 배치된 다음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다양한 방법을 검토한다. 논의되는 핵심 주제는 신뢰성과 보안이다.
9장 '장치 드라이버와의 만남'에서는 커널 장치 드라이버가 하드웨어와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간단한 드라이버의 작동 예제를 가지고 설명한다. 또한 사용자 공간에서 장치 드라이버를 호출하는 다양한 방법도 설명한다.
10장 '시스템 구동: init 프로그램'에서는 나머지 시스템을 시작하는 첫 번째 사용자 공간 프로그램인 init에 대해 이야기한다. 다양한 부류의 임베디드 시스템에 적합한 세 가지 버전의 init 프로그램(비교적 간단한 BusyBox init에서 복잡한 systemd까지)을 설명한다.
11장 '전원 관리'에서는 동적 주파수/전압 제어, 더 깊은 유휴 상태 선택, 시스템 중단 등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도록 리눅스를 튜닝하는 다양한 방법을 고려한다. 목표는 장치가 배터리를 이용해 더 오래 실행되게 하고 발열을 줄이는 것이다.
12장 '프로세스와 스레드'에서는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머의 관점에서 임베디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프로세스와 스레드, 프로세스 간 통신, 스케줄링 정책을 살펴본다.
13장 '메모리 관리'에서는 가상 메모리의 개념과 주소 공간을 메모리 매핑으로 나누는 방법을 소개한다. 또한 메모리 사용량을 정확히 측정하고 메모리 누수를 감지하는 방법도 설명한다.
14장 'GDB로 디버깅하기'에서는 GNU 디버거 GDB를 디버그 에이전트와 함께 사용해 원격으로 타깃 장치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디버깅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계속해서 이 모델을 확장해 커널 디버그 스텁 KGDB을 활용한 커널 코드 디버깅 방법도 보여준다.
15장 '프로파일링과 추적'에서는 시스템 성능을 측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전체 시스템 프로파일에서 시작해 병목 현상으로 인해 성능이 저하되는 특정 영역으로 좁혀간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에서 스레드 동기화와 메모리 할당의 정확성을 검사하는 도구인 Valgrind에 대해 설명한다.
16장 '실시간 프로그래밍'에서는 커널 구성과 실시간 PREEMPT_RT 커널 패치 등을 비롯해 리눅스에서의 실시간 프로그래밍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실시간 대기시간을 측정하는 도구들도 설명한다. 커널 추적 도구인 Ftrace를 이용해 커널 대기시간을 측정하고 다양한 커널 구성의 효과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