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단행본은 1994년부터 2018년까지 ‘당정마을 지신밟기’를 가까이서 직접 경험했던 이야기와 노래 등을 담았다.
대구 팔공산 서촌 자락에 ‘당정’이라는 마을이 있으며, ‘당정마을’은 팔공산(八公山) 기슭의 산림과 아래쪽의 넓은 평야를 끼고 있는 비옥한 땅에 대대로 논농사와 밭농사로 생업을 이어온 마을이다. 이 마을사람들은 예로부터 음력 정초가 되면 땅의 신(神)을 위로하는 벽사진경(?邪進慶)을 펼치는데, 바로 요사스런 귀신(鬼神)을 물리치고 경사스런 기운을 불러들이는 의식(儀式)의 하나인 ‘당정마을 지신밟기’이다.
‘당정마을 지신밟기’는 온 마을 사람들이 지신밟기패들을 앞세우고 마을 곳곳을 두루 돌아가며 풍물(風物)을 크게 울려 마을의 안녕(安寧)과 풍작(豊作)을 기원(祈願)하고, 집집마다 주둔해 있는 가신(家神)을 위로하여 각각의 가정에 다복(多福)을 축원(祝願)하는, 풍물(風物)과 소리로 한바탕 어우러지는 대동의식(大同儀式)이며, 대동놀이이기도 하다. 이러한 의식(儀式)을 깊이 들여다보면 마을이라는 공동체만이 아니라 마을 사람들 개개인의 간절한 소망(所望)과 더불어 농업을 위주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본바탕인 땅에 대한 경외심(敬畏心)이 고스란히 담겨있음을 볼 수 있다.
아무쪼록 이 단행본이 팔공산 지역을 배경으로 생성된 우리민족의 정서(情緖)를 잘 함축하고 있는 하나의 예술이며, 지켜야 할 소중한 문화유산(文化遺産)인『달구벌 벽사진경 당정마을 지신밟기』에 대한 이해를 깊이하고, 나아가서 우리 민족음악을 연구하는데 소중한 자료로 활용되어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