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공부를 처음 시작하는 초수 입문자들이 어려움을 호소하는 내용은 1) 생소한 교육학 용어와 이론에 대한 사전지식이 거의 없다는 것과 2) 공부해야 할 교육학의 내용이 너무 많다는 것, 3) 방대한 교육학 영역 중 어느 부문을 중점적으로 학습해야 하는지에 대해 중요도를 판단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입니다.
최근 7년간 출제된 중등 및 유.초등 객관식 문제와 최근 6년간 출제된 교육학논술 기출문제를 완전히 분해.분석하여 기출문제에 언급되거나 인용된 키워드를 단원별로 정리하였습니다. 각각의 키워드가 기출문제의 문항 부분에서 사용되었는지, 지문 또는 선택지에 인용되었는지를 표기하였습니다. 최근 강조되는 교육학 이론과 기출빈도 분석을 통해 수험생들은 문제 출제의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중등 교육학논술 시험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길이’와 ‘줄글’ 단위로 키워드를 정리하였습니다. 교육학 시험 답안 작성에는 60분의 시간이 주어지고, 1,400자 내외의 길이에 4~6개의 교육학 지식과 지문을 활용한 논술 작성이 필요합니다. 제한된 시간과 논술 분량에 맞추어 효과적인 답안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이에 적합한 크기의 단위로 교육학 지식이 입력되어 있어야 하고 또한, 빠른 시간 내에 인출하는 사전 연습이 필요합니다.
키워드를 교육심리, 교수학습, 교육과정 등의 대단원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대단원 내에 포함된 소단원목차와 키워드맵을 추가로 정리했습니다. 대단원-소단원목차-키워드맵 구조를 통해 수험생은 교육학 키워드의 영역과 체계를 보다 쉽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시험 직전 방대한 교육학 이론의 경량화.단권화를 위해 적합한 구조를 갖추었습니다. 각각의 내용을 최대한 함축해서 줄글로 정리한 ‘키워드’ 부문과 ‘필수암기 단어 / 문장’은 암기를 중심으로 학습하며, 해당 키워드에 대한 설명 부분은 위의 내용을 이해하는 도구로 활용하면 효과적인 학습에 도움이 됩니다. 제시된 키워드 내용 외에 기출 지문에 인용된 문구 등 추가할 내용이 있으면 교재의 여백에 해당 내용을 표기하십시오. 본 교재를 기본으로 한 본인만의 서브노트가 됩니다. 시험 막바지 방대한 교육학 이론의 정리에 매우 유용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2018년 12월 27일
편저자 윤중샘 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