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서장

서장

  • 대혜종고
  • |
  • 불광출판사
  • |
  • 2018-11-20 출간
  • |
  • 542페이지
  • |
  • 159 X 232 X 35 mm /879g
  • |
  • ISBN 9788974794903
판매가

33,000원

즉시할인가

29,7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9,7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소식, 왕안석 등 지식인들이 추구한 최고 행복의 길, 『서장』
선승이 모든 걸 버려도 이 책만은 걸망 속에 짊어지고 다닌 이유

대혜종고 스님(1089~1163)은 중국 송나라 시대의 선승으로 간화선을 창시했다. 『서장』은 스님이 사대부들에게 간화선을 자세하고 알기 쉽게 설명한 편지로, 제자 혜연慧然이 기록하고 정지淨智 거사居士 황문창黃文昌이 중편했다. 소식, 왕안석, 범중엄, 엄우 등 당시의 뛰어난 문장가들은 선禪의 최고 경지인 깨달음을 통해 그들의 삶을 완성시키려 하였고, 또 다른 사람에게도 전하려고 애썼다. 수많은 낙樂거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깨달음을 즐거움으로 삼은 지식인들이 추구한 참 가치는 바로 명예와 물질을 초탈한 삶에 있었다. 이러한 삶을 살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세세한 가르침을 담은 책이 『서장』이다.
본래 제목은 『대혜보각선사서大慧普覺禪師書』로 『임제록』 『벽암록』 『허당록』 등과 함께 선불교의 칠부서七部書로 일컬어져 왔으며, 예로부터 스님들에게는 참선의 지도서로서 ‘『육조단경』을 스승으로, 『서장』을 도반으로 삼는다’는 말이 전해진다. 선방 수좌들이 ‘다른 모든 것은 다 버려도 걸망 속에 이 책만은 짊어지고 다녔다’고 할 만큼 『서장』은 선禪 수행의 완벽한 길잡이로서 평가받는다.

세상 그 무엇과 비교할 수 없는 가장 소중한 사람을
찾는 아주 쉬운 방법, 간화선

간화선看話禪은 화두를 들고 수행하는 참선법으로, 묵묵히 앉아서 자신을 비추어보며 깨달음을 얻는다는 좌선의 폐해를 비판하며 등장했다. 화두를 들고 거기에 간절히 의심을 일으켜 마침내 삼매에 든 상태에서 화두를 타파, 깨침에 이르는 수행법이 간화선이다. 끊임없이 의심하고 몰입하고 두드려 말길과 생각의 길이 끊어진 그곳, 편안함과 고요함 속에서 온 세상의 모든 것들이 다 똑같다는 평등일여, 불성佛性을 깨닫도록 하는 것이다.
『서장』은 편안하고 고요한 선정禪定으로 이끄는 간화선의 안내서이다. 간단명료하면서도 시원시원하게, 철저하면서도 친절한 설명은 물론 지식인들이 자만하여 자칫 잘못된 길에 들어서지 않도록 수많은 예와 은유, 비유를 들어 옆길로 새지 않도록 한다. 선禪뿐만 아니라 경전의 큰 뜻도 본래 문장이나 글재주에 있지 않지만, 대혜 스님의 뛰어난 문장이 주는 묘미는 매우 특별하다. ‘한문의 매력과 깨달음의 깊은 심경’을 느낄 수 있는 좋은 문장은 종교적 이견異見은 접어두고라도 ‘한 편의 문장’으로 꼭 읽어볼 만한 책이기도 하다. 그러나 언어 문자로 가리킬 수 없는 ‘길이 없는 길’에서 대혜 스님의 문장은 방편의 배로서, 그 길을 ‘마치 구슬이 쟁반을 튕기지 않아도 저절로 구르듯’ 따라가면 마침내 깨달음에 이르니, 손가락을 버리고 달을 보게 되는 이치에 닿게 된다.

“대혜 스님은 또 지식에 물들고 번뇌 망상으로 피곤한 그들에게 단지 배고프면 밥 걱정 추우면 땔나무 걱정뿐인 서너 집밖에 되지 않은 산촌의 범부처럼 “어리석고 둔함으로 도道에 들기를” 권하였다.” (-8쪽 ‘해제’ 중에서)

오늘 우리는 『서장』을 어떻게 읽고 적용해야 할까?
길 없는 길에서 나아가게 하는 선禪의 힘

『서장』은 사대부와 지식인, 즉 스님이 아닌 일반인을 상대로 간화선 공부법을 설한 내용이다. 한 문장 한 문장 읽다 보면 ‘마음에 와 닿는 글귀’나 ‘의문이 가는 글귀’가 생긴다. 그걸 가지고 일상생활 속에서 계속 생각하고 공부하면서 풀어가는 것이다. ‘의문이 생겨야 일이 풀린다’. 이것이 『서장』의 핵심이다. 대혜 스님은 “원컨대 여러 가지로 잘 견뎌내어서 처음부터 끝까지(始終) 오직 오늘같이만 공부해간다면 불법佛法과 세간법이 하나가 되리라. 싸우면서 밭 갈기도 하며 오래오래 익힌다면, 단 한 번에 둘을 얻으리니.”라고 말했다. 끈질기게 붙들면 자연스럽게 화두일념에 들게 되고 본래 심성자리를 보게 되기에 이른다. 그렇게 화두를 타면 집중력과 내면의 무한한 기억(종자)들이 화두를 통해 정리가 되고, 자기가 가지고 있던(보고 듣고 배웠던) 정보(종자)를 종합해 새로운 대안을 찾아내게 된다. 예를 들면, 정치가는 정치의 막힌 부분을 해소해 새로운 길을 찾고, 경제인은 경제를, 교육인은 교육의 해법을 찾게 된다. 이 모두가 화두 공부하는 과정에 생기는 현상들이다.
각박하고 불행이 넘치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어떻게 살아야 할까. 역자 지상 스님은 화두 수행으로써 극복하기를 권한다.

“어렵고 각박함은 바로 별업(別業, 개별적으로 받는 업)과 공업(共業, 공통적으로 받는 업)으로, 우리 스스로가 만들어서 스스로 받는 것으로, 이 또한 참된 성품을 여의었기에 일어납니다. 각박함은 사람들의 마음이 황폐해졌다는 증거입니다. 각박하고 갑갑할수록 간화선 공부를 통해 그 각박한 마음을 고요함과 편안함의 약으로 다스려 본래 우리들이 가졌던 탐진치를 떠난 맑고 밝은 마음을 회복시키는 게 제일 좋은 처방입니다. 침서枕書로 머리맡에 두고 틈틈이 읽는다면 본래 마음자리로 반드시 돌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스무 살, 화두 수행으로 선 수행의 안목을 갖춘 이래
20여 년 『서장』 역해에 주력해온 지상 스님

이번에 출간된 『서장』은 지난 1999년 번역 출간한 것을 새롭게 개정한 것이다. 역자인 지상 스님은 법주사, 직지사 강원에서 『서장』을 지도한 이래 죽 『서장』에 대한 공부를 놓지 않았다. 그러나 막히는 한자에 답답함을 느끼고 바른 풀이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 북경수도사범대학에서 공부하고 6년 만에 귀국, 다시 『서장』 번역에 매달렸다. 의문을 풀고, 오류는 바로잡고, 본문과 주에 대한 전거와 출처까지 샅샅이 밝혀 개정판을 완성했다. 그토록 스님을 『서장』에 푹 빠지게 한 계기는 무엇일까?

“사집 중강 시절 서장을 강의하다가 한문이 안 넘어가 서장을 읽고 또 읽다 보니 오늘날까지 빠지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대학 못 가고 헤맬 때 우연찮게 간화선을 접한 것이 계기가 되었습니다. 스무 살, 갈 수 있는 절은 다 가보고 만날 수 있는 선지식은 다 만났어요. 그러다 송광사 구산 스님에게서 ‘문수생도호구노부부文殊生屠戶救老夫婦’ 화두를 받았습니다. “60이 넘은 백정 부부가 깊은 산속 절에 매일 와서 아들을 낳게 해달라고 기도하기에 문수보살이 감동하고서 그 집 아들로 태어납니다. 그런데 아이(문수보살)는 한참 귀여움을 떨 나이에 죽게 되는데, 소를 가리키며 ‘엄마 이것 줘! 아빠 저것 줘!’ 하자, 백정 부부는 소의 간, 콩팥, 안심 등심 등등 가리키는 부위를 다 주었으나 아이는 ‘아니야! 아니야!’ 하며 죽어갑니다. 구산 스님은 저에게 ‘문수보살이 뭘 찾았겠어?’ 하고 수수께끼 같은 물음을 던져주셨는데, 그걸 알아맞히려고 밤이나 낮이나 그 생각만 하다가 계속 죽 이어지더니 나도 모르게 오매일여寤寐一如의 깊은 선정에 들었고, 잠깐 사이에 9시간이 지나가버렸죠. 나중에 알았는데 그게 화두였고, ‘아니야! 아니야!’라는 참뜻도 바로 『서장』에서 알았습니다.”


목차


추천사
해제
대혜 선사 행장
대혜보각선사서
1. 증 시랑이 참선 공부법을 묻는 편지(曾侍郞 問書)
2. 증 시랑에게 답하는 편지(答 曾侍郞)
3. 증 시랑에게 답하는 편지_ 두 번째(又)
4. 증 시랑에게 답하는 편지_ 세 번째(又
5. 증 시랑에게 답하는 편지_ 네 번째(又
6. 증 시랑에게 답하는 편지_ 다섯 번째(又
7. 증 시랑에게 답하는 편지_ 여섯 번째(又
8. 이 참정의 도道를 묻는 편지(李?政 問書)
9. 이 참정에게 답하는 편지(答 李?政)
10. 이 참정의 도道를 묻는 편지- 두 번째(又, 問書)
11. 이 참정에게 답하는 편지(答)
12. 강 급사에게 답하는 편지(答 江給事)
13. 부 추밀에게 답하는 편지_ 첫 번째(答 富樞密)
14. 부 추밀에게 답하는 편지_ 두 번째(又)
15. 부 추밀에게 답하는 편지_ 세 번째(又),
16. 이 참정에게 답하는 별도의 편지(答 李?政 別紙)
17. 진 소경에게 답하는 편지(答 陳少卿)
18. 진 소경에게 답하는 편지_ 두 번째(又)
19. 조 대재에게 답하는 편지(答 趙待制)
20. 허 사리에게 답하는 편지(答 許司理)
21. 허 사리에게 답하는 편지_ 두 번째(又)
22. 유 보학에게 답하는 편지(答 劉寶學)
23. 유 통판 언충에게 답하는 편지(答 劉通判)
24. 유 통판에게 답하는 편지_두 번째(又)
25. 진 국태부인에게 답하는 편지(答 秦國太夫人)
26. 장 승상에게 답하는 편지(答 張丞相)
27. 장 제형 양숙暘叔에게 답하는 편지(答 張提刑)
28. 왕 내한에게 답하는 편지(答 汪內翰)
29. 왕 내한에게 답하는 편지_ 두 번째(又)
30. 왕 내한에게 답하는 편지_ 세 번째(又)
31. 하 운사에게 답하는 편지(答 夏運使)
32. 여 사인에게 답하는 편지(答 呂舍人)
33. 여 낭중에게 답하는 편지(答 呂郞中)
34. 여 사인에게 답하는 편지(答 呂舍人)
35. 여 사인에게 답하는 편지_ 두 번째(又)
36. 왕 장원에게 답하는 편지(答 汪壯元)
37. 왕 장원에게 답하는 편지_ 두 번째(又)
38. 종 직각에게 답하는 편지(答 宗直閣)
39. 이 참정에게 답하는 편지(答 李?政)
40. 증 종승에게 답하는 편지(答 曾宗承)
41. 왕 교수에게 답하는 편지(答 王敎授)
42. 유 시랑에게 답하는 편지(答 劉侍郞)
43. 유 시랑에게 답하는 편지_ 두 번째(又)
44. 이 낭중에게 답하는 편지(答 李郞中)
45. 이 보문에게 답하는 편지(答 李寶文)
46. 향 시랑에게 답하는 편지(答 向侍郞)
47. 진 교수에게 답하는 편지(答 陳敎授)
48. 임 판원에게 답하는 편지(答 林判院)
49. 황 지현에게 답하는 편지(答 黃知縣)
50. 엄 교수에게 답하는 편지(答 嚴敎授)
51. 장 시랑에게 답하는 편지(答 張侍郞)
52. 서 현모에게 답하는 편지(答 徐顯模)
53. 양 교수에게 답하는 편지(答 楊敎授)
54. 누 추밀에게 답하는 편지(答 樓樞密)
55. 누 추밀에게 답하는 편지_ 두 번째(又)
56. 조 태위에게 답하는 편지(答 曺太尉)
57. 영 시랑에게 답하는 편지(答 榮侍郞)
58. 영 시랑에게 답하는 편지_ 두 번째(又)
59. 황 문사에게 답하는 편지(答 黃門司)
60. 손 지현에게 답하는 편지(答 孫知縣)
61. 장 사인에게 답하는 편지(答 張舍人)
62. 탕 승상에게 답하는 편지(答 湯丞相)
63. 번 제형에게 답하는 편지(答 樊提刑)
64. 성천 규 화상에게 답하는 편지(答 聖泉珪和尙)
65. 고산 체 장로에게 답하는 편지(答 鼓山逮長老)
후기
마무리를 지으면서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