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01
인적자원관리의 기초
1. 연구대상 16
2. 인적자원관리구조 18
3. 인적자원관리 연구 내용 20
4. 환경의 불확실성이 증가할수록 인적자원관리는 중요해 지는가? 23
1) 자원준거관점(Resource based view)_24 2) 전략적 자산론의 등장_26
5. 인적자원관리의 전개 28
1) 원시적 인사관리_28 2) 인사관리(Personnel Management)_29
3) 인적자원관리(HRM)_29 4) 전략적 인적자원관리_29
6. 인적자원전담조직의 흐름 31
7. 과학적 관리법과 인적자원관리 34
8. 호오손 공장 실험과 인적자원관리 36
9. 인간관계 학파의 등장 37
10. 조직 유기체론(시스템론) 38
11. 한국기업의 인적자원관리의 변화 40
12. 한국인적자원관리의 도전 42
13. 장의 요약 46
Chapter 02
경영 환경과 인적자원관리
1. 경영 환경 52
1) 일반 환경_53 2) 과업 환경_59
2. 환경의 복잡성과 동태성, 그리고 인적자원관리 61
1) 환경의 단순성-복잡성 차원과 인적자원관리_62 2) 환경의 안정성-동태성 차원과 인적자원관리_64
3) G. Hofstead의 사회 문화 분류_67 4) 경영조직에서 문화의 역할_70
5) 조직 문화와 인적자원관리_72 6) 4차 산업혁명과 인적자원관리_73
3. 장의 요약 75
Chapter 03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1. 경영전략 80
1) 기업전략_80 2) 사업전략, 경쟁전략_81
3) 기능전략_82
2.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83
1) 개념_83 2)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과정_84
3)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조직 성과와의 관계_86
3. 장의 요약 104
Chapter 04
고용 및 노사관계관리
1. 노동시장이란 110
2. 단체협약, 취업규칙, 근로계약 111
3. 노동조합의 기능과 역할 112
4. 노동조합 조직형태별 특징 114
1) 직업별 노조(Craft Unions)_114 2) 일반노조(General Unions)_115
3) 산업별 노조(Industrial Unions)_115 4) 기업별 노조(Enterprise Unions)_116
5. 한국 고용관계의 동향 117
6. 노조화 이론 119
7. 노동조합 조직률의 하락과 정체 120
8. 대기업 중심의 노조와 중소기업의 대변기제 부족 122
9. 미가맹 노조의 증가 현상 123
10. 단체 교섭과 노사갈등 126
11. 노사관계와 인적자원관리 127
12. 종업원 경영참여 129
1) 성과 참여_132 2) 자본 참여_134
3) 의사결정 참여의 주요 제도_136
13. 노동법령의 종류 140
1) 근로기준법_140 2) 고용보험법_140
3) 임금채권법_140 4) 산업재해보상 보험법_141
5) 남녀 고용 평등과 일과 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_141
6) 장애인고용촉진법 및 직업재활법_142
7) 고용 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 고용촉진에 관한 법률_142
8)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_142
9) 근로자 참여 및 협력 증진에 관한 법률_143
10) 노동위원회법_143
14. 노사관계의 관리적 이슈 144
1) 노조전임자 급여 지급 금지와 근로시간 면제_144
2) 복수노조와 교섭창구 단일화_145
15. 장의 요약 146
Chapter 05
조직 관리
1. 조직구조의 내용 152
1) 업무 구성의 부서화_152 2) 의사결정과정의 집권화와 분권화_153
3) 업무 과정의 공식화․표준화_154
2. 경영환경과 조직구조 155
1) T. Burns & G. M. Stalker(1961)의 구조론_155
2) A. Chandler의 전략과 조직구조_156
3) P. R. Lawrence & J. W. Lorsch(1967)의 차별화와 통합_158
4) J. D. Thompson의 기술핵심조직과 변경조직_159
3. 조직 부서화의 원리 160
4. 조직의 종류 161
1) 기능 조직_161 2) 제품조직_163
3) 혼합형 조직_165 4) 매트릭스 조직 구조_166
5) 팀조직_167 6) 조직 간의 연계관계(네트워크)_169
5. 시장과 조직, 왜 조직을 만드는가 171
1) 시장과 조직의 선택_171
2) 조직내 Make(내부적 활동)와 Buy(외부적 계약)의 선택_172
6. 현대기업의 조직관리: 애플과 삼성전자의 비교 173
1) 애플과 삼성전자의 조직관리 비교-글로벌 아웃소싱 대 수직적 계열화_173
2) 애플 공급망 관리의 명암_175
3) 애플의 전략은 삼성에게 어부지리(漁父之利)를 제공하는가?_175
7. 관료주의와 조직 변화 177
8. 사회적 자본의 관리 179
9. 장의 요약 181
Chapter 06
직무 분석과 직무 설계
1. 직무 분석의 목적 187
2. 직무기술서, 직무명세서 187
3. 직무 분석의 활용 188
1) 모집과 선발, 배치_189 2) 직무 평가(고과)와 보상_189
3) 종업원의 교육훈련_189
4. 직무 분석의 관련 용어 189
1) 행위 요소_190 2) 과업_190
3) 직무_190 4) 직종(직군)_190
5. 직무 분석의 절차 191
1) 계획단계_191 2) 직무내용 분석 단계_194
3) 산출_195 4) 활용_196
6. 직무 평가의 배경 196
7. 직무 평가의 요소 198
8. 직무 평가의 방법 199
1) 서열법_199 2) 분류법_200
3) 점수법_200 4) 요소비교법_201
9. 직무 설계의 개념과 목적 203
1) 직무 설계의 개념_203 2) 직무 설계의 방향과 목적_205
3) 현대 조직의 직무 설계 방향_211
10. 장의 요약 212
Chapter 07
모집과 채용, 사회화
1. 모집 218
1) 내부 공모제(Internal Job Posting)_219 2) 사내 추천_219
3) 신문과 잡지 등 공고_220 4) 취업 포털 사이트를 통한 구인 구직_220
5) 기업 홈페이지를 통한 모집_221 6) 인력중개 전문기관을 통한 모집_221
2. 선발 222
1) 입사 지원서_223 2) 추천서_224
3) 선발 시험_225 4) 면접 시험_226
3. 선발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227
1) 선발 도구의 신뢰도_228 2) 신뢰도의 측정방법_229
3) 선발도구의 타당도_230 4) 선발 비율_234
5) 기초비율_234 6) 선발상의 오류_234
7) 선발 도구 및 제도_236 8) 선발 면접_237
4. 채용과 사회화 240
1) 현실적 직무 소개_241 2) 인턴사원제도_242
3) 입사 후 오리엔테이션_242 4) 온더 잡 교육(OJT)_242
5. 장의 요약 243
Chapter 08
종업원 동기부여와 응용
1. 초기 동기 부여 이론 248
1) 매슬로의 욕구 단계설_249 2) ERG이론_251
3) 2요인 이론_252
4) 인지평가이론(Cognitive Evaluation Th.)_254 5) 목표설정 이론(Goal Setting Th.)_256
6) 자기 효능감(Self Efficacy)_257 7) 공정성_259
8) 기대이론(Expectancy Theory)_263
2. 동기부여 이론의 응용 265
1) 직무 특성 이론(Job Characteristics Theory)_265
2) 직무 순환(Job Rotation)_268 3) 직무충실화(Job Enrichment)_268
4) 유연시간 근무제도(Flextime)_268 5) 직무 공유제(Job Sharing)_269
6) 경영참가_269
3. 직무 특성의 변화가 초래하는 어두운 면 270
4. 장의 요약 271
Chapter 09
평가 및 보상 관리
1. 직원의 성과 평가 277
1) 무엇을 평가할 것인가?_277 2)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_278
3) 누가 평가할 것인가_279 4) 평가자가 범할 수 있는 오류_280
2. 보상의 유형 283
1) 금전적 보상_283 2) 비금전적 보상_283
3. 보상에 대한 관점 284
4. 보상 체제의 전략적 관점 286
5. 임금과 관련되는 제 개념 287
1) 생계비 수준_288 2) 비교임금_288
3) 통상임금_288 4) 평균임금_289
5) 보수 비용_289 6) 노동비용_289
6. 임금(급여)수준 결정요인 290
1) 조직 외부적 차원의 요인_290 2) 조직 내부적 요인_292
3) 개인별 차등 요소_293
7. 임금 결정의 기준 294
8. 임금의 구조 295
9. 급여체제의 내용 296
1) 연공급 급여체제_296 2) 직무급 임금체제_297
3) 직능급(Skill based pay)_300
4) 개인 성과급체제(performance based pay)_303
5) 팀 기준 성과급_305 6) 조직 성과급(집단 성과급)_306
10. 급여체제의 응용 308
1) 임금피크제: 연공급 임금제도의 변형_308 2) 연봉제도_310
3) 스탁옵션 제도_318
11. 장의 요약 323
Chapter 10
복리후생
1. 복리후생의 개념, 특징 330
2. 복리후생의 종류 333
1) 법정복리후생_333 2) 법정 외 복리후생(자발적 복리후생)_341
3. 선택적 복리후생제도 344
1) 선택항목추가형(Core plus option)_345 2) 모듈선택형(modular plan)_345
3) 선택적 지출 계좌형(flexible spending accounts)_346
4. 장의 요약 346
Chapter 11
비정규직 및 고용 포트폴리오의 관리
1. 비정규 고용의 개념과 특징 352
2. 비정규직 고용 인력 등장의 배경 354
3. 비정규직 고용의 목적 356
1) 인건비의 절감_356 2) 고용유연성_356
3) 핵심 정규 인력의 보호_357 4) 외부 전문 인력의 확보_357
4. 기업의 비정규직 활용에 대한 이론 357
1) 고용관계에 대한 상호호혜성의 관점_359 2) 옵션이론_361
3) 학습이론적 관점_362 4) 그룹관계이론_363
5. 비정규직 활용과 조직 성과 364
6. 비정규직 인력의 관리 정책 370
7. 고용 포트폴리오, HR 아키텍처 372
1) 고용 포트 폴리오_372 2) HR 아키텍처_374
8. 장의 요약 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