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2001년에 마르쿠스 호헨바터 교수 1 에 의해 지오지브라가 개발되고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지오지브라의 사용자가 늘어나게 되었으나 2008년까지 지오지브라는 우리말로 번역되지 않은 채 남아 있었다. 2008년에 지오지브라가 우리말로 번역된 이후 지오지브라는 수학 교육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점차 과학, 정보, 융합 (STEAM) 교육에서 활용 하려는 시도가 나타났다.
지오지브라의 가장 큰 특징을 한 단어로 말하면 Free라고 할 수 있다. 영어로 Free 는 자유로운이라는 뜻과 무료의라는 뜻을 갖고 있는데 이 단어의 뜻과 같이 지오지브라는 수학과 과학을 탐구하기 위해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무료로 제공된 다. 그러한 의미에서 마르쿠스 호헨바터 교수는 지오지브라의 라이선스를 오픈소스 자유 소프트웨어로 하였다. 2
지오지브라의 또 하나의 특징으로 Easy-to-use를 들 수 있다. 지오지브라는 인터페 이스가 간결하고 수학에서의 수식을 그대로 입력할 수 있으며 모든 명령어가 우리말로 되어 있어 3 지오지브라를 처음 접한 사용자라도 사용법을 쉽게 배울 수 있다. 또한 지오 지브라에는 다양한 수학 영역 4 을 탐구할 수 있는 기능 5 이 내장되어 있어 이 소프트웨어를 익히면 다양한 수학 및 과학 과제를 탐구할 수 있다.
이 책은 지오지브라와 3D 관련 내용을 최대한 연결지으려고 노력한 실험적 요소를 담고 있는 책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책의 본 바탕은 ‘지오지브라와 3차원 기하 (지오북스)’ 로 그 내용과 함께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3D 프린팅, AR(증강현실), 커팅 프린터를 활용한 입체 조형물 제작 등의 내용을 최대한 다루고자 하였다.
사실 이 책에서 다루지 못한 내용이 매우 많음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저자의 역량이 허락하는 한 지오지브라와 관련된 다양한 3D 내용을 담고자 최대한 노력하였다.
독자 여러분에게 지오지브라와 이 책이 지오지브라, 지오지브라 앱을 통해 수학과 현실을 서로 연결하는 새로운 혜안을 얻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