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본국검예 本國劍藝 3 - 왜검의 시원은 조선이다

본국검예 本國劍藝 3 - 왜검의 시원은 조선이다

  • 임성묵
  • |
  • 행복에너지
  • |
  • 2018-12-01 출간
  • |
  • 710페이지
  • |
  • 188 X 257 mm
  • |
  • ISBN 9791156026419
판매가

48,000원

즉시할인가

43,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3,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실전(失傳)된 한민족의 무예(武藝) 속 숨겨진 역사의 뿌리를 찾다

나(我)의 뿌리는 어디에 있을까? 누구나 살아가면서 한 번쯤은 궁금해하는 질문이다. 이러한 궁금증이 쌓이고 쌓여 이루어지는 학문이 바로 인류학이자 역사학이고, 민속학이자 문화학일 것이다. 이렇게 한 민족의 역사적·문화적·본질적 뿌리를 탐구하는 것은 개인의 올바른 민족정체성을 회복하고 사회적 공감대를 도출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학문이 된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민족의 뿌리’에 대한 다방면의 학문적 탐구가 매우 부족한 편이다. 고대부터 끊임없는 외세 침공으로 수많은 역사·문화적 유산이 실전(失傳)되었으며 중국에 대한 사대의 역사와 식민지 시대 일본 제국주의의 철저한 민족 말살 정책으로 고대사 연구를 위한 토양이 부족한 탓이다.

이 책 『본국검예 - 왜검의 시원은 조선이다』를 접한 독자들은 누구든 처음에는 몹시 당황하게 될 것이다. 검과 무예(武藝)를 다룬 책이라고 생각되지만, 마치 역사서와 같이 느껴지기도 하고, 신화를 기록한 종교적 경전처럼 보이기도 하며, 심지어 언어학과 문화인류학에 이르기까지 고루 관통하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인 대한본국검예협회 임성묵 총장은 이렇게 방대한 학문적 화두를 담은 이 책의 목적이 궁극적으로 고대사에 무관심한 대한민국의 현실을 극복하고 한민족의 진정한 뿌리에 대해 더 많은 국민들이 깨달아 관심을 가지도록 하는 데에 있다고 말한다. 우리 민족은 우리가 생각하고 배워 온 것보다 더욱 방대한 역사와 깊이 있는 문화를 갖고 동아시아의 중심을 이루어 왔으며 그 증거를 우리가 오랫동안 잊고 있었던 고대의 무예에서 찾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 책은 이같이 방대한 프로젝트를 조선 후기에 간행된 한민족 무예의 바이블, 『무예도보통지』에 수록된 무예를 복원하고 여기에 수록된 ‘왜검보’와 일본 고대 검술과의 관계를 통해 동아시아 전체 무술의 시원(始原)을 찾는 데에서 시작한다. 이제까지 이루어진 복원 시도들처럼 단순히 조각난 조선 고무술의 파편에 중국·일본의 무예 기법을 도입하여 복원을 시도하는 수준에서 머무르지 않고, 무예 동작에 붙여진 ‘가결’을 해독하고 복원해 내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저자는 한자를 단순하게 해석하지 않고 한자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갑골문·금문의 자형과 음가의 뿌리를 밝혀 그 속에 담긴 진정한 의미를 분석해낸다. 즉 인류 지성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문자의 문석을 통해 우리 민족, 동아시아 한민족의 문화야말로 동아시아 전체의 뿌리라는 사실을 밝혀내는 것이다. 이는 무예를 바탕으로 역사·신화·언어·민속 등의 학문을 통섭하여 인문학의 지평을 넓히는 큰 시도를 보여주는 셈이다.

전 세계의 글로벌화가 가속되면서 많은 나라들은 국가와 민족의 문화적·역사적 정체성을 강화하여 주변국들과의 ‘문화 전쟁’에 대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격화되는 문화전쟁의 시대에 이 책 『본국검예 - 왜검의 시원은 조선이다』가 보여주는 한민족의 상고사는 민족적 자긍심을 일깨우는 마중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소리를 그리다

박정진 추천사

머리말

편집후기

一. 神(신)의 나라

1. ‘武藝(무예)’의 意味(의미)
濊(예)·穢(예)·(예)의 意味(의미)/歲(세)에 담겨진 象徵(상징)
2. ‘武(무)’자에 숨겨진 秘密(비밀) 61
武(무)자의 象徵(상징)/(무), 矛(모), (월), 戌(술), 戍(수), 伐(벌), 戒(계)의 意味(의미)/無(무), 夏(하), (쇠)의 意味(의미)
3. ‘藝(예)’에 숨겨진 秘密(비밀) 77
藝(예), 勢(세), 무(巫)의 象徵(상징)/節(절), 卽(즉)의 象徵(상징)/武藝(무예)의 意味(의미)
4. 武藝(무예)에 스며든 玄武(현무) 81
玄武(현무)/玄(현), 申(신), 呂(려), 率(률), 豆(두), 親(친), 辛(신), 帝(제), 立(립)의 象徵(상징)/星(성)의 象徵(상징)/一·二·三·四·五·六·七·八·九·十의 意味(의미)/律呂(율려)/麗(려), 鹿(녹), 驪(려)의 意味(의미)/玄武(현무)와 東邦(동방) 7宿(수)

二. 天文(천문), 하늘을 기록하다

1. 하늘의 별을 그리다
文(문)의 記錄(기록)과 주역팔괘/大熊星(대웅성) 고마/四神(사신), 조선 하늘의 별/天文(천문) 28宿(수)에 숨겨진 秘密(비밀)/天文(천문) 10干12支(10간 12지)의 密(비밀)/10干(간) 어원의 意味(의미)와 자형의 秘密(비밀)/12地支(지지) 띠의 秘密(비밀)/12支(지) ‘띠’의 순서와 동물의 자형/北斗七(북두칠)의 構成(구성)과 秘密(비밀)
2. 東西南北(동서남북)의 象徵(상징)
東(동)에 담겨진 象徵(상징)/西(서)에 담겨진 象徵(상징)/南(남)에 담겨진 象徵(상징)/北(북)에 담겨진 象徵(상징)
3. 朝鮮(조선)과 韓民族(한민족)의 신화를 담은 漢字(한자)들
朝(조)에 담겨진 象徵(상징)/鮮(선)에 담겨진 象徵(상징)/艮(간)과 良(랑)에 숨겨진 한민족의 秘密(비밀)
4. 我(아)! 나는 누구인가?
我(아)의 象徵(상징)/天(천)과 태극의 象徵(상징)
5. 閼百台(알백태)와 閼英井(알영정)의 秘密(비밀)
閼(알), 於(어), 烏(오), 鳥(조), 乙(을), (을), 燕(연)의 象徵(상징)/尸(시), 仁(인), 人(인), 千(천)의 象徵(상징)/族(족)·奏(주)의 象徵(상징)/君(군), 契(계)의 意味(의미)/신()의 象徵(상징)/此(차), 乎(호), 焉(언), 以(이)의 意味(의미)
6. 한글은 漢字(한자) 음가의 뿌리
7. 한글은 ‘형태(形)·소리(音)·의미(意)’가 일치된 文字(문자)

三. 本國(본국)의 武神(무신) 蚩尤天皇(치우천황)

1. 蚩尤天皇(치우천황)
2. 왜곡된 蚩尤(치우)의 이름
3. 蚩尤(치우)의 별칭 慈烏支天皇(자오지천황)
4. 잊혀진 蚩尤祭(치우제)
5. 사라진 纛祭(둑제)
6. 중국의 東北工程(동북공정)
7. 纛祭(둑제)의 復活(부활)

四. 武寧王劍(무령왕검)

1. 蠶頭馬蹄(잠두마제)
2. 鳳(봉), 龍(용)자의 象徵(상징)
3. 雖(수)자의 象徵(상징)
4. 王儉(왕검)의 象徵(상징)
劍(검)에 담겨진 견우와 직녀/能(능)의 象徵(상징)
5. 百濟(백제)와 日本(일본)의 神化(신화)
6. 阿斯達(아사달)과 徐羅伐(서라벌)

五. 劍(검)의 始原(시원)은 朝鮮勢法(조선세법)

1. 雙明刺(쌍명자), 旋風格(선풍각), 騰蛟洗(등교세), 虎穴洗(호혈세)
2. 朝鮮勢法(조선세법)과 天遁劍法(천둔검법)
3. 朝鮮勢法(조선세법)과 四寅劍(사인검)
岡(강), ?(선단)의 意味(의미)
4. 朝鮮勢法(조선세법)과 昆吾劍法(곤오검법)
昆吾劍訣歌(곤오검결가)/昆吾劍訣歌(곤오검결가)의 解讀(해독)/拔劍(발검)과 納劍(납검)
5. 朝鮮(조선)은 中華武術(중화무술)의 始原(시원)
斗劍之風(두검지풍)/吳越春秋(오월춘추)/易筋經(역근경)의 始原(시원)은 朝鮮(조선)/易筋經(역근경) 12세 가결/易筋經(역근경) 12세 가결의 秘密(비밀)과 解讀(해독)/內家掌拳(내가장권)의 始原(시원)은 朝鮮(조선)/小林棍法(소림곤법)의 始原(시원)은 朝鮮(조선)/朝鮮勢法(조선세법)의 劍訣(검결)/太擊(태격) 그리고 태극무(太極武)

六. 倭劍(왜검)은 本國劍(본국검)의 支流(지류)

1. 本國劍(본국검)의 歷史(역사)
國(국)과 三足烏(삼족오)/本國(본국)은 새의 民族(민족)/琉球國(류구국)과 唐手術(당수술)
2. 가라데의 語源(어원)
3. 本國劍(본국검)과 武藝圖譜通志(무예도보통지)
本國劍(본국검) 繼承(계승) 및 本國劍(본국검)·朝鮮勢法(조선세법) 복원에 관한 主張(주장)/武藝硏究(무예연구)의 현실
4. 日本(일본)은 또 하나의 百濟(백제)
日本(일본)의 實體(실체)/倭(왜) 文字(문자)의 始原(시원)
5. 新羅(신라)의 擊劍(격검)과 일본 劍術(검술)
本國劍(본국검), 新羅起源說(신라기원설)의 矛盾(모순)/本國劍(본국검)의 日本傳來(일본전래)/明治神宮(명치신궁)의 劍道(검도)/ 劍佩用(검패용)과 服飾(복식)

七. 本國(본국)의 맨손무예 相撲(상박)

1. 卞角(변각)과 手搏(수박)
2. 角抵(각저)
3. 相撲(상박)
4. 韓民族(한민족)의 相撲(상박)과 신라의 大東流柔術(대동류유술)
倭(왜)의 神社(신사)와 源氏(원씨)과 平氏(평씨)/新羅系(신라계) 天王家(천왕가) 源氏(원씨) 大東流柔術(대동류유술)의 系譜(계보)/大東流柔術(대동류유술)의 한국 재유입/大東流柔術(대동류유술)의 뿌리, 朝鮮勢法(조선세법)/大東流柔術(대동류유술) 118개조의 기법과 合氣道(아이키도)/ 本國相撲(본국상박)의 原理(원리)와 相搏武(상박무)/大東流柔術技法(대동류유술기법)과 劍(검)의 기법 比較(비교)/傳目錄(비전목록)/송일훈(2008)의 ?傳目錄(비전목록) 系譜(계보) 주장과 解釋(해석)
5. 新羅(신라)의 花郞道(화랑도)와 仙道(선도)
新羅(신라)의 劍道(검도)와 仙道(선도)/仙(선)과 單(단) 그리고 禪(선)의 意味(의미)/道敎(도교)와 仙道(선도)/武士(무사)와 武事(무사)/武士(무사)와 武者(무자)/國(본국)과 仙劍(선검) /仙人還丹(선인환단)
6. 禮(예)와 道(도)의 哲學的 本質(철학적 본질)
禮(예)/禮度藝(례도예)와 禮道藝(례도예)/道法自然(도법자연)/仙(선)과 道(도)/日本(일본)의 神道(신도)/日本神道(일본신도)는 天王(천왕)을 神(신)으로 모시는 宗敎(종교)/日本天王(일본천왕)이 숭배하는 신의 실체는 檀君(단군)/日本(일본)의 道(도)/藝(예)와 道(도)/韓民族(한민족)의 天地人(천지인) 思想(사상)과 일본의 武(무) 중심 思想(사상)/武(무)와 藝(예)의 哲學的 定立(철학적 정립)

八. 雙手刀(쌍수도)

1. 雙手刀(쌍수도)의 뿌리를 찾아서
2. 李舜臣(이순신) 장군의 雙手刀(쌍수도)
3. 紀效新書(기효신서), 武備志(무비지), 影流之目錄(영류지목록), 武藝諸譜(무예제보)의 沿革(연혁)
4. 遠回(원회)와 遠飛(원비)
5. 日本劍術(일본검술)의 뿌리
新陰流(신음류)의 創始(창시)/무예도보통지의 倭漢三才圖會(왜한삼재도회)/源義經(원의경)/陰流(음류)와 新陰流(신음류)/陰流(음류)와 카미이즈의 신가케류
6. 遠回(원회)·遠飛(원비)의 秘密(비밀)
影流之目錄(영류지목록) 년도별 기록/日本(일본)에서 遠回(원회)가 遠飛(원비) 기법이 사라진 이유
7. 影流之目錄(영류지목록)
모원의의 武備志(무비지)의 影流之目錄(영류지목록)/紀效新書(기효신서)의 影流之目錄(영류지목록)/日本學者(일본학자)들의 紀效新書(기효신서)의 影流之目錄(영류지목록) 해석
8. 우오쯔에 타카시 외 8인(2012)이 해독한 影流之目?(영류지목록)의 誤謬(오류)
意分太刀(의분태도)/猿回(원회)
9. 影流之目?(영류지목록)의 劍訣(검결)
10. 影流之目?(영류지목록)의 解讀(해독)
猿飛(원비)/月影(월영)/獅子奮迅(사자분신)/猿回(원회)/浮船(부선)/初段·初退(초단·초퇴)/浦波(포파)/山陰(산음)/山霞(산하)
11. 影流之目?(영류지목록) 그림의 意味(의미)
12. 影流(영류)
13. 紀效新書(기효신서)와 武備志圖譜(무비지도보) 比較(비교)
紀效新書(기효신서) 圖譜(도보)/武備志(무비지) 影流之目錄(영류지목록) 圖譜(도보)/紀效新書(기효신서)와 武備志(무비지) 그림의 검법 순서 比較(비교)/紀效新書(기효신서)와 武備志(무비지)의 동일 劍訣(검결) 그림 比較(비교)

九. 雙手刀譜(쌍수도보) 解說(해설)

1. 雙手刀譜(쌍수도보) 原文(원문)
2. 雙手刀(쌍수도)의 意味(의미)
3. 向前殺賊勢(향전살적세)와 進前殺賊勢(진전살적세)
4. 雙手刀譜(쌍수도보) 解說(해설)
負劍正立 以左手持刀柄 旋作見賊出劍勢 進一步以劍從頭上一揮 作持劍對賊勢(부검정립 이좌수지도병 선작견적출검세 진일보이검종두상일휘 작지검대적세)/進一足作向左防賊勢 又進一足作向右防賊勢(진일족작향좌방적세 우진일족작향우방적세)/轉身跳進一步作向上防賊勢 回身進一足作向前擊賊勢一擊(전신도진일보작향상방적세 회신진일족작향전격적세일격)/又進一步以向前擊賊勢向左一擊 又進一步以向前擊賊勢向右一擊(우진일보이향전격적세향좌일격 우진일보이향전격적세향우일격)/轉身作初退防賊勢退至原地(전신작초퇴방적세퇴지원지)/回身進一步爲進前殺賊勢(회신진일보위진전살적세)/仍轉身作持劍進坐勢 卽作拭劍伺賊勢(잉전신작지검진좌세 즉작식검사적세)/還退一步閃劍退坐勢(환퇴일보섬검퇴좌세)/起立更進一足以進前殺賊勢一擊 又進一足爲向上防賊勢(기립갱진일족이진전살적세일격 우진일족위향상방적세)/卽進一足爲進前殺賊勢一擊 仍作揮劍向賊勢 (以此)連進三步 更進一足以進前殺賊勢一擊(즉진일족위진전살적세일격 잉작휘검향적세 (이차)연진삼보 갱진일족이진전살적세일격)/又進一足爲向上防賊勢 進一足以進前殺賊勢一擊 又進一步一刺(우진일족위향상방적세 진일족이진전살적세일격 우진일보일자)/轉身以刀三揮退 作再退防賊勢 (以此)退至原地(전신이도삼휘퇴 작재퇴방적세 (이차)퇴지원지)/回身進一足爲向上防賊勢 又進一足爲向前擊賊勢一擊(회신진일족위향상방적세 우진일족위향전격적세일격)/轉身爲持劍進坐勢 (卽)爲拭劍伺賊勢(전신위지검진좌세 (즉)위식검사적세)/回身進一足 以左手揮劍向前 以右手更把 (仍)爲向左防賊勢 進一足爲向右防賊勢(회신진일족 이좌수휘검향전 이우수갱파 (잉)위향좌방적세 진일족위향우방적세)/轉身進一步爲向上防賊勢 回身進一步爲向前擊賊勢一擊(전신진일보위향상방적세, 회신진일보위향전격적세일격)/又進一步以向前擊賊勢向左一擊 又進一步以向前擊賊勢向右一擊(우진일보이향전격적세향좌일격, 우진일보이향전격적세향우일격)/轉身作三退防賊勢 (以此)退至原地(전신작삼퇴방적세 (이차)퇴지원지)/回身進一足 以向前擊賊勢一擊 又進一步一擊(회신진일족 이향전격적세일격 우진일보일격)/轉身爲持劍進坐勢 (卽)爲拭劍伺賊勢 回身作藏劍賈勇勢畢(전신위지검진좌세 (즉)위식검사적세 회신작장검고용세필)

十. 提督劍(제독검)

1. 提督劍(제독검)과 雙手刀(쌍수도)의 關係(관계)
2. 雙手刀(쌍수도)와 提督劍(제독검)의 差異(차이)
3. 本國劍(본국검)과 提督劍(제독검)의 關聯性(관련성)
4. 提督劍(제독검) 原文(원문)
5. 提督劍(제독검) 解說(해설)
初作對賊出劍勢右手負劍左手左挾正立右手右脚前一打(초작대적출검세우수부검좌수좌협정립우수우각전일타)/旋作進前殺賊勢右手右脚一打(선작진전살적세우수우각일타)/仍作向右擊賊勢右手右脚右廻一打(잉작향우격적세우수우각우회일타)/又作向左擊賊勢左手左脚左廻一打進一步躍一足(우작향좌격적세좌수좌각좌회일타진일보약일족)/作向右擊賊勢(작향우격적세)/又作向左擊賊勢(우작향좌격적세)/仍作揮劍向賊勢右廻擧右足內掠(잉작휘검향적세우회거우족내략)/作進前殺賊勢右手右脚一打(작진전살적세우수우각일타)/仍作初退防賊勢左三廻退至原地(잉작초퇴방적세좌삼회퇴지원지)/右手右脚左廻一打作向後擊賊勢(우수우각좌회일타작향후격적세)/右廻身向前右手左脚作向右防賊勢左手右脚(우회신향전우수좌각작향우방적세좌수우각)/作向左防賊勢(작향좌방적세)/又作向右防賊勢(우작향우방적세)/又作向左防賊勢(우작향좌방적세)/仍作進前殺賊勢右手右脚進一步前一打(잉작진전살적세우수우각진일보전일타)/旋作勇躍一刺勢右手右脚向前直刺(선작용약일자세우수우각향전직자)/仍作向左擊賊勢右手左脚躍一步一打(잉작향좌격적세우수좌각약일보일타)/仍作揮劍向賊勢右廻擧右足內掠(잉작휘검향적세우회거우족내략)/仍作進前殺賊勢右手右脚一擊(잉작진전살적세우수우각일격)/又作再退防賊勢向後右三廻退至原地旋(우작재퇴방적세향후우삼회퇴지원지선)/作進前殺賊勢右手右脚一打(작진전살적세우수우각일타)/進一步又一打(진일보우일타)/旋作拭劍伺賊勢以右劍拭于左肱仍洗腰(선작식검사적세이우검식우좌굉잉세요)/左旋作藏劍賈勇勢左手負劍以右拳右脚前一打畢(좌선작장검고용세좌수부검이우권우각전일타필)

十一. 武藝圖譜通志(무예도보통지)의 倭劍譜(왜검보)

1. 倭劍譜(왜검보)의 家系(가계)
2. 倭劍譜(왜검보) 文章(문장)의 特徵(특징)
3. 倭劍譜(왜검보) 그림의 秘密(비밀)

제1장. 土由流(토유류)
1. 土由流(토유류)의 意味(의미)
2. 土由流(토유류)의 構造(구조)
첫 번째 단락: 藏劍初進(장검초진)/두 번째 단락: 藏劍再進(장검재진)/세 번째 단락: 藏劍三進(장검삼진)

제2장. 運光流(운광류)
1. 朝鮮軍營(조선군영)의 運光流(운광류)
2. 運光流(운광류)의 意味(의미)
3. 運光流(운광류)의 構造(구조)
4. 運光流(운광류)의 理解(이해)
5. 運光流(운광류) 劍訣(검결)의 意味(의미)
千利勢(천리세)/跨虎勢(과호세)/速行勢(속행세)/山時雨勢(산시우세)/水鳩心勢(수구심세)/柳絲勢(유사세)
6. 運光流(운광류)의 解說(해설)
첫 번째 단락/두 번째 단락/세 번째 단락/네 번째 단락/다섯 번째 단락

제3장. 千柳流(천유류)
1. 千柳流(천유류)의 意味(의미)
2. 千柳流(천유류) 解說(해설)
첫 번째 단락/두 번째 단락/세 번째 단락

제4장. 柳彼流(유피류)
1. 柳彼流(유피류)의 意味(의미)
2. 柳彼流(유피류)의 構成(구성)
3. 柳彼流(유피류)의 解說(해설)
첫 번째 단락/두 번째 단락

十二. 武藝諸譜飜譯續集(무예제보번역속집)의 倭劍譜(왜검보)

1. 倭劍譜(왜검보)
2. 倭劍譜(왜검보)와 棍棒(곤봉)
3. 倭劍譜(왜검보)의 解說(해설)
첫 번째 단락: 進前殺賊勢(진전살적세)/두 번째 단락/세 번째 단락: 齊眉勢(제미세)/네 번째 단락 :撫劒伺賊勢(무검사적세)/다섯 번째 단락: 相撲(상박)/여섯 번째 단락: 齊眉(제미)
4. 倭劍總圖(왜검총도)의 解說(해설)

十三. 武武藝圖譜通志(무예도보통지) 交戰譜(교전보)
1. 交戰譜(교전보)와 김체건
2. 交戰譜(교전보)의 解說(해설)
3. 交戰譜(교전보)의 構成(구성)
첫 번째 단락/두 번째 단락/세 번째 단락

天符印(천부인)
출간후기

도서소개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