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자비와 공 - 아날라요 스님의 초기불교 명상 수업

자비와 공 - 아날라요 스님의 초기불교 명상 수업

  • 아날라요
  • |
  • 민족사
  • |
  • 2018-11-26 출간
  • |
  • 350페이지
  • |
  • 154 X 224 X 26 mm /477g
  • |
  • ISBN 9791189269036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3,5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자비(연민)는 어떻게 깨달음의 발판이 될 수 있는가?

자비는 엄밀히 말하면 ‘자(慈)’와 ‘비(悲)’로 나눠 이해할 수 있다. 먼저 ‘자(慈)’의 원어는 빨리어 ‘metta’로서, 친밀하다는 느낌과 우정의 태도를 뜻한다. ‘비(悲)’의 원어는 ‘karu?a’인데, ‘연민’을 뜻한다. 아날라요 스님은 자비를 섬세하게 구분하여 특히 ‘연민’으로 번역한 비(悲, karu?a)의 기능에 주목한다. 그리고 붓다의 초기 설법에서 연민이 갖는 의미를 파악하고 사무량심(四無量心)의 맥락 안에서 그것을 파악하면서 깨달음으로 가는 여정의 첫발을 뗀다.

붓다는 연민으로 사성제를 가르쳤습니다. 초기설법에서 붓다가 연민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방식은 주로 다르마(Dharma)의 가르침을 통해서입니다. (…) 가르침을 구하는 자뿐만 아니라 가르침을 베푸는 자 모두 그 가르침을 연민의 한 표현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붓다가 제자들에게 베푼 가르침은 종종 정감 어린 말씀, 즉 스승이 연민 어린 마음에서 제자들에게 해야만 하는 것을 하였노라는 식으로 끝을 맺고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붓다가 일단 연민에 가득 찬 스승으로서 자신의 책무를 다하면, 그 다음 순서로 제자들은 붓다의 가르침을 실천으로 옮겼습니다. (pp.32-33)

붓다를 의왕(醫王)이라고도 한다. 괴로움에 허덕이는 중생들을 치료하는 최고의 의사라는 뜻이다. 이런 행동의 바탕에 연민이 있었다. 초기불교 사상에서 연민의 활동은 다른 사람들을 번뇌에서 벗어나 자유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하나의 방법이었다. 이런 활동은 붓다가 자신이 깨우친 진리인 사성제를 다른 이들에게 적극적으로 가르쳤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붓다는 연민에 가득한 마음으로 제자들을 가르치고, 그들이 그 가르침을 실천에 옮기도록 했다. 뿐만 아니라 연민은 윤리적 행위와 명상적 삶의 방식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그런데 이런 붓다의 연민을 자만심과 자기 우월감을 바탕으로 한 동정으로 착각해서는 안 된다. 또 연민을 슬픔의 정서로 이해해서도 안 된다. 연민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오히려 슬픔을 피해야 한다. 아날라요 스님은 이것이 쉬운 일이 아니라고 말한다. 연민이 커지면 자연스럽게 슬픔에 젖어들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명상으로 연민을 함양하는 것은 마음이 슬픔에 빠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필요한 것입니다. 괴로움과 고통에 빠진 사람들에 대해서 정신적으로 동정을 표하는 대신, 연민의 마음으로 우두커니 서서 다른 사람들이 괴로움과 고통에서 자유로워지기를 바라는 소망과 열망을 가지게 됩니다. 그런 소망은 슬픔과 탄식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고 또한 자유로워져야만 합니다. (pp.51~52)

연민은 다른 사람들이 고통에서 자유로워지기를 소망하는 것이다. 이런 소망은 슬픔 대신 긍정적인 마음, 때로는 희열에 가득 찬 마음을 이루게 된다. 이는 붓다의 가르침의 핵심이다. 가장 이상적인 것은 다른 사람의 아픔과 괴로움에 진정으로 반응하는 마음의 문을 여는 것에서 출발하여, 그 사람이 고통과 괴로움에서 자유롭게 되기를 바라는 소망으로 가득 찬 긍정적인 마음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아날라요 스님은 연민이 빠질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험을 피하는 한 가지 방법이 연민[悲, karu??]을 사무량심의 맥락에서 이해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자애라는 마음의 아름다움은 우리의 행동과 언어에 스며들어서, 자비에 튼튼하게 뿌리를 두고, 다양한 방식으로 다른 사람과 소통하게 됩니다. (…) 연민은 자애라는 잘 확립된 토대에 기반하여 가장 잘 계발되고, 여기에 더하여 나머지 두 무량심, 즉 더불어 기뻐함(sympathetic joy, 喜心)과 평정심(equanimity, 捨心)이 연민을 보완해 준다는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 두 무량심은 어떤 면에서는 연민을 기르는 것을 마무리해 줍니다. (p.74)

붓다조차도 평정심이 때로는 적절한 태도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줍니다. 이런 예는 평정심이 무량심 중의 하나로 기능하고 있다는 것을 우리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연민에 가득 찬 활동을 하였음에도 사려 깊지 못하거나 때로는 차가운 반응에 직면할 때, 그때는 평정심으로 옮겨가야 할 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상황을 지배하고 더 나은 것으로 변화시키겠다는 시도를 포기해야 합니다. 그 대신 당사자들이 자신의 행동과 태도에 책임을 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여 평정심은 연민을 완성합니다. 왜냐하면 평정심으로 인해 연민에 가득 찬 행동이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기대하는 것으로부터 해방되었기 때문입니다. 연민에 가득 찬 행동은 필요한 경우 평정심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연민은 결과를 바라면서도 성공적인 결과에 집착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상황이 요구하는 바대로 연민은 평정심으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p.85)

연민은 자(慈: 자애)?비(悲: 연민)?희(喜: 더불어 기뻐함)?사(捨: 평점심)라는 사무량심(四無量心, 네 가지 고귀한 마음)과 결합될 때 완전해진다. 연민이 기반하고 있는 자애[慈]는 특정 대상에 대한 사랑을 가리키는 애착과는 구분된다. 자애의 마음은 특정 대상에 한정되지 않고 무한하게 퍼져나간다. 이런 자애는 분노에 대한 해독제이다. 또 연민은 더불어 기뻐함[喜]과 평점심[捨]으로 보완되어야 하는데, 더불어 기뻐함은 다르마를 가르치는 연민에 가득 찬 활동과 연관되어 있다. 평정심은 연민의 대상인 중생은 혐오에서 자유로워지기를, 더불어 기뻐함의 대상인 중생은 열정에서 자유로워지기를, 자애의 대상이 되는 중생은 무지에서 자유로워지기를 바라는 소망으로 나타난다.
이렇게 연민을 포함한 사무량심을 함양하는 것은 우리의 말과 행동, 생각하는 방식이 윤리적 방향으로 나아가는 데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아날라요 스님은 연민이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행동에서 물러서 있는 것에서 드러난다고 말한다. 그리고 몸?말?정신적 행위에 친절함을 결합함으로써 본격적인 수행을 위한 기반을 형성하게 된다고 한다. 이런 수행 방식은 선방에 앉아서 하는 좌식 수행의 틀을 떠나서 명상 수행이 어떻게 실제 생활에서 드러나는지를 보여 주는 것이기도 하다. 명상으로 연민을 계발한 사람은 마음의 잔인함에 완전히 압도당하지 않을 수 있다. 일단 이것이 확립되면 불선(不善)한 행동이 일어날 여지도 거의 없다. 수면의 질이 좋아지는 등 일상생활에도 도움이 된다.
연민은 자기를 정화하고 내적 균형을 잡도록 도와주면서 다른 사람들을 더 잘 보살필 수 있도록 해 준다. 초기불교에서 안거 수행을 강조한 이유도 이 때문이다. 안거 수행은 연민의 활동으로 전환된다. 자기 자신의 유익함과 다른 사람의 유익함을 위한 깨달음, 그것을 추구하는 열망이 가지고 있는 변화의 힘을 통해 이런 전환이 일어나는 것이다. 그리하여 연민은 궁극적 해탈로 나아갈 수 있는 중요한 토대가 된다.

자비와 공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가?
서구 심리학계에서는 마음의 공허와 상처를 치유하는 ‘마인드풀니스(마음챙김)’나 ‘마인드컨트롤’에 대한 관심도가 ‘자비’로 옮겨가고 있다. ‘마음챙김을 하고 난 이후에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대답을 붓다의 ‘자비’에서 찾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한 기존의 패러다임이 ‘자존감 회복’이었다면, 이제 ‘자기 자비(self-compassion)’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상하고 있다. 자기혐오와 분노, 슬픔과 우울감에 지배당한 사람들에게 없는 게 바로 자기 자비다. 그들에게 자존감 회복을 처방하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자존감을 유지하기 위해 주변을 깎아내리거나 이용하는 부작용이 있을 수도 있고, 그게 실패했을 때 더 깊은 우울로 빠져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반면 자기 자비로써 실패조차 받아들이고 스스로를 존중하고 성찰할 수 있는 사람은 자기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까지 다독일 수 있다. ‘분노의 사회’인 오늘날에 자비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이유다.

이 책 『자비와 공(空)』 은 서구 심리학을 기반으로 자기 자비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는 이들에게는 자비의 불교적 맥락을 제대로 보여 줄 것이고, 불교 수행자들이나 불교를 공부하는 이들에게는 빨리어, 한역, 산스끄리뜨어, 티베트어 경전을 동시에 다루고 남방불교와 북방불교의 전통을 아우르는 아날라요 스님만의 연구 방법론을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스님의 경전 번역 및 연구 방법론은 『마인드풀니스』를 쓴 조셉 골드스타인을 비롯한 서구의 대표적인 명상가들, 그리고 불교를 공부하는 전 세계 수많은 이들에게 많은 영감을 주고 있다. 또 스님의 글은 논리적?과학적으로 존재의 실상을 간파해 들어가면서도 가슴 깊은 울림을 준다. 교학과 수행을 겸비한 아날라요 스님이 직접 수행하면서 터득한 깨우침과 노하우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의 1장에서는 연민의 성격에 대해 탐구한다. 2장에서는 표준적인 사무량심의 틀 안에서 연민이 어떤 맥락에 놓여 있는지를 살핀다. 3장에서는 연민을 성숙시킴으로써 기대되는 결과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그 다음 세 장은 공(空)을 탐구하는 데 주력한다. 특히 명상을 통해 공으로 점차 나아가는 것에 대해 다룬다. 7장에서는 명상 수행을 하면서 연민에서 공으로 나아갈 수 있는 실제적인 지침을 제시한다. 8장에서는 「업에서 생긴 몸 경(Karajak?ya-sutta)」, 「공에 대한 작은 경(C??asu??ata-sutta)」, 「공에 대한 큰 경(Mah?su??ata-sutta)」에 대응하는 『중아함경』의 해당 경전의 번역문을 실었다.

17대 까르마빠 성하의 서문

아날라요 스님의 저서에 서문을 쓸 기회를 갖게 되어 기쁩니다. 아날라요 스님은 사람들이 초기불교 명상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여러 차원에 걸쳐 가교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우선, 이 책은 경전을 엄밀하게 고증한 결과물로서 학계뿐만 아니라 불교 수행자들에게도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불교의 사상과 수행에 대해 알고자 하고, 그것으로부터 무언가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이 책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나는 이런 가교 역할이 가치 있는 일이라고 믿습니다. 경전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그것을 실제 삶의 현장에 적용하는 수행을 통해서 그 내용이 더욱 풍부해집니다. 아날라요 스님은 불교 수행에 정진하는 승려이자 역사적·비평적 연구 방법을 탐구하는 교수로서 이 두 영역 사이에 다리를 놓을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습니다. 스님의 이런 관점은 경전에 대한 개별적 이해를 심화시킵니다. 다음으로, 나는 하나의 불교 전통에서 불교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다른 불교 전통에서 보존된 경전을 잘 숙고하라는 권고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종종 언어의 장벽을 받아들여 다른 언어로 현존하는 경전을 간과하곤 합니다. 이 책은 빨리어, 산스끄리뜨어, 한문, 티베트어로 쓰인 경전 사이에 다리를 놓고 있습니다. 이 책을 통해서 우리는 연민을 함양하고, 공을 이해하는 데 얼마나 폭넓게 관심사를 공유할 수 있는가를 배울 수 있습니다. 또한 경전의 서로 다른 맥락에서 오는 미묘한 뉘앙스의 차이를 숙고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책은 연민과 공이라는 두 가지 주제를 하나의 작업틀 안에서 묶어 내고, 그 둘의 상호보완적 가치를 잘 드러내고 있습니다. 대승불교에서 말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명상 체험과 철학적 이해라는 두 날개가 잘 조화를 이루어 진정으로 비상할 수 있도록 아날라요 스님은 우리에게 확신을 줍니다.

17대 까르마빠 오겐 틴레 도르제(Ogyen Trinley Dorje)
인도 보드가야
2014년 11월 18일

저자의 서론

이 책에서 나는 연민과 공의 명상 수행에 대한 탐구를 시도하고자 합니다. 탐구 방법은 초기 설법 가운데 이런 주제와 연관된 구절들을 조사하고 해석하는 것입니다. 『염처경 연구(Perspective on Satipa??h?na)』라는 제목의 이전 책과 유사하게, 이번에는 주로 빨리어 경전에 버금가는 한문으로 현존하는 경전을 통해서, 또한 때로는 산스끄리뜨어와 티베트어 경전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서 수행의 문제에 대해 접근하고자 합니다. 나의 연구 결과는 학문적인 방법론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이 책은 수행자들을 위한 것이기도 하고, 명상 수행과 연관된 것들이 이 탐구에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1장에서 연민의 성격에 대해서 탐구할 것입니다. 그런 다음 2장에서 표준적인 사무량심(brahmavih?ra)의 틀 안에서 연민이 어떤 맥락에 놓여 있는지를 살펴볼 것입니다. 3장에서는 연민을 성숙시킴으로써 기대되는 결과에 대해서 공부할 것입니다. 그 다음 세 장은 공(空)을 탐구하는 데 주력할 것입니다. 이것은 주로 「공에 대한 작은 경(C??asu??ata-sutta)」과 이에 대응하는 경전에서 언급한, 명상에 의해서 점진적으로 공으로 나아가는 것에 기반을 둔 것입니다. 7장에서는 명상 수행을 하면서 연민에서 공으로 나아갈 수 있는 실제적인 지침을 제시할 것입니다. 8장에서는 「업에서 생긴 몸 경(Karajak?ya-sutta)」, 「공에 대한 작은 경」, 「공에 대한 큰 경(Mah?su??ata-sutta)」에 대응하는 『중아함경』의 번역을 제공할 것입니다. 이 세 경전은 나의 연구에서 핵심적으로 중요합니다.
실제 수행에서 살아 있는 느낌을 생생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경전 구절들이 명상의 빛과 연관성을 가질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였습니다. 몇몇 경우에는 학문적 연구 또는 명상의 스승들을 인용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런 스승들의 가르침을 인용한 이유는 내가 논의하는 것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거나 내가 말하는 것이 옳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단지 나 자신이 수행을 하면서 인용한 스승들의 가르침이 도움이 되었고, 이런 스승들 문하에서 직접 수행을 하지 않았다면 그들의 가르침이 갖는 맥락과 함의를 완전히 검증할 수 없다는 사실을 보여 주기 위한 것입니다. 앞으로 내가 제시하게 될 수행양식은 수행의 여러 접근 방식 중 하나에 불과합니다. 초기경전을 이해하거나 언급하는 데 알맞은 유일한 방식이라고 암묵적으로 주장하는 것도 아닙니다. 나는 독자들이 자신만의 접근 방식을 찾도록 격려하는 여러 가능한 통로 중의 하나를 제시하고자 할 뿐입니다.
한역 및 다른 언어의 경전을 번역하면서 나는 빨리어 경전과 비교하여 어느 경전이 상대적으로 더 가치가 있는지에 대한 판단을 전혀 하지 않았습니다. 대신 독자들이 다양하게 번역된 경전들을 보면서 이 경전들이 놓인 상황에 대한 직감적인 인상을 얻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한역 아함경에 간직된 풍부함은 대체적으로 일반인들에게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한역 아함경에 대한 번역본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나의 논의와 관련이 있는 한역 아함경의 일부 경전을 선택하여 번역을 시도하였습니다. 이 모든 번역은 내가 한 것입니다. 그래서 때로는 특정 구절에 대한 나의 이해가 기존의 번역과는 다르기도 합니다. 빨리어 경전에 대한 표준적인 영어 번역은 각주에 넣어 두었습니다. 이렇게 하는 목적은 개별적인 경전을 선택적으로 보는 것을 넘어서서 각 경전들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점을 제공하여, 다양한 언어의 경전들을 비교 검토해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역사적인 붓다가 말한 것을 절대적인 확신을 갖고서 재구성하는 것은 학문적인 관점에서 보면 불가능한 일입니다.
확보하고 있는 원천 자료들의 한계 내에서 초기경전들을 다양하게 비교?검토하게 되면 붓다 가르침의 원음을 비교적 가깝게 들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하여 이것은 연민과 공에 대한 불교 초기 단계로 들어갈 수 있는 창이 됩니다. 불교의 이런 초기 단계가 다양한 불교 학파와 전통들의 공통적인 출발점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나의 연구가 모든 불교 전통의 계승자들에게 흥미로우리라는 희망을 가져봅니다. 이런 공통 기반을 제시하기 위해서, 나는 여러 학파의 경전에 간직된 자료들을 주요 기반으로 탐구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드물게 이런 연구방식에서 이탈할 때도 있지만, 이때에는 인용된 경전 구절이 하나의 불교 전통에만 간직된 것이라고 언급하여 독자들에게 환기해 두었습니다.
발췌한 경전 구절들을 번역하면서, 나는 성별을 반영한 용어들은 피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왜냐하면 나의 연구는 남성 수행자들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실제 경전에서는 종종 비구들을 대상으로 설법이 진행됩니다. 나는 이 책의 끝에 주요 세 경전을 전부 번역하면서 경전 원래의 형식을 고수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나의 영어 번역 능력의 범위 내에서 원전에 충실한 번역을 독자들이 볼 수 있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러나 본문에 나오는 번역 발췌문에서는 ‘남성 승려를 뜻하는 비구(monk)’라는 용어 대신 ‘사람(one)’이라는 단어로 대체하였습니다. 왜냐하면 명상에 대한 가르침은 어떤 독자들에게도, 예를 들면 승려이든 재가자이든, 남성이든 여성이든 상관없이 누구에게나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것을 확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책과 다른 곳에서 한역 경전을 영어로 번역하면서 상호 비교를 쉽게 하기 위해 빨리어 용어를 사용하였지만, 한역의 원 자료에서 사용된 언어에 더 비중을 두겠다는 의도는 아닙니다. ‘다르마(Dharma)’나 ‘니르바나(Nirv??a)’와 같은 용어들은 예외입니다. 왜냐하면 이런 용어들은 이미 서구 출판물에서 흔하게 사용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옮긴이의 글

이 책의 번역은 공동 작업으로 이루어졌습니다. 한 명은 정신과 의사로서 불교와 뇌과학에 관련된 책을 여러 권 번역하였고, 한 명은 불교학자로서 불교심리학과 불교상담에 대한 논문과 책을 많이 발표하였습니다. 둘은 불교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교류하면서 아날라요(An?layo) 스님의 책을 공동 번역하는 뜻깊은 일에 함께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공동 번역을 통해 이 책이 갖고 있는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으리라고 기대하였습니다. 아날라요 스님은 훌륭한 책을 여러 권 저술하신 분으로서 교학과 수행을 겸비하고 있습니다. 스님의 불교에 관한 저술 경력을 보면 놀라울 따름입니다. 불교를 공부하는 입장에서 보면 스님의 부지런함, 성실함 그리고 공부에 대한 열정은 우리 스스로를 경책하는 마음을 불러일으킵니다. 스님은 남방불교를 공부하시는데, 빨리어 경전뿐만 아니라 한문, 산스끄리뜨어, 티베트어 경전도 함께 다루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초기불교를 연구하면서 빨리어 경전과 한문 경전을 함께 다루는 전통이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들어 빨리어 경전이 중심이 되고 있습니다. 이런 현실에서 스님의 방법론은 많은 시사점을 줍니다. 또한 남방 전통과 북방 전통을 함께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본서는 우리의 현실에 시사하는 바가 크고, 앞으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연구방향을 보여 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날라요 스님의 박사학위논문이 국내에 번역되어 있는데, 그 책은 빨리어 경전을 텍스트로 하고 있습니다. 스님의 박사학위 논문 이후의 연구 방법론은 본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서가 다루고 있는 주제 또한 공역자들의 관심사였습니다. 서구 심리학은 카밧진이 ‘마음챙김(sati, 알아차림)’을 도입한 이래 30년 동안 마음챙김에 기반한 수많은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현재는 그 관심분야가 ‘자비’로 옮겨가고 있는 중입니다. 마음챙김을 하고 난 이후에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한 대답을 붓다의 자비에서 찾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자비라는 주제에 대한 연구가 이제 막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공역자 중 윤희조는 자비와 관련된 논문을 2년 전에 쓴 적이 있지만, 서구에서 자비는 새롭게 등장하는 주제입니다. 자기 존중감 즉, 자존감이 기존의 패러다임이라면, ‘자기 자비’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자비라는 주제는 초기불교에서부터 다뤄지긴 하지만 대승불교에서 더욱 발전하게 됩니다. 공(空)도 마찬가지입니다. 공은 초기불교에서 처음 등장하는 주제이지만 대승불교의 핵심 개념입니다.
자비(연민)와 공은 서로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으므로, 둘을 함께 다루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공과 자비의 상태는 아마도 같은 상태일 것입니다. 아날라요 스님께서 본서에서 다루고 있는 이 두 가지 주제는 초기불교에서 출발하여, 대승불교에서 더욱 활발하게 논의되는 개념으로서 오늘날의 사회에도 많은 시사점을 던져 줍니다.
본서는 저자와 주제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신뢰와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특히 서구 심리학의 맥락에서 자기 자비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들에게는 자비의 불교적 맥락을 제대로 보여 주는 책이 될 것이고, 불교의 맥락에서는 스님의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접하게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마음챙김에 관한 서구 심리학의 연구를 보면서 불교에 기반한 개념화 작업이 빠진 채, 심리학자들의 개념화 작업에 기대어 마음챙김을 연구하는 현실이 항상 안타깝게 느껴졌습니다. 본서를 통해서 자비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가 불교에 기반한 개념에서 출발하기를 새삼 기대해 봅니다. 여러모로 항상 바쁜 가운데서도 책이 나오기까지 애써 주신 민족사 윤창화 사장님, 그리고 사기순 주간님, 최윤영 편집자님께 깊은 감사와 존중의 뜻을 전합니다.


아날라요 스님은 까시나 수행이나 호흡 수행도 수행자를 집중으로 이끌어주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깨달음의 길로 나아가지 못한다고 말한다. 반면 연민(자비) 수행은 집중은 물론 수행자의 태도와 정신적 상태까지 변화시킨다.

『디가 니까야』와 이에 대응하는 『장아함경』에서는 사선정을 수행자의 ‘행복’으로, 그리고 사무량심을 수행자의 ‘부(富)’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이 두 경전의 미묘한 차이는 다음과 같은 것입니다. 즉 연민을 포함한 사무량심을 함양하는 것은 행복의 원인일 뿐만 아니라 또한 부에 비견할 만한 정신적 상태에 도달하는 결과에 이르게 한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이런 차이에 내재된 핵심은 사무량심을 함양하는 것은 다른 정신적 평정보다 뚜렷한 이점을 갖는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면 까시나(kasi?a)와 같은 대상 또는 호흡을 대상으로 명상하는 것은 물론 집중으로 이끄는 뛰어난 잠재성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집중을 획득하는 것과는 별개로 그것이 까시나이든 호흡이든 명상의 대상으로 선택된 특별한 대상은 그 자체로는 해탈의 길로 나아가는 것을 지지해 주는 어떤 실질적인 유익함도 주지 못합니다. 반면 연민을 포함한 사무량심은 다릅니다. 깊은 집중으로 이끄는 능력에 더하여, 하나의 무량심이 명상의 대상으로 선택되었다는 사실이 그 사람의 태도와 정신적 상태에 변화를 야기하게 됩니다. (pp.121~122)

사무량심, 그중에서도 특히 연민은 다른 이에게 해를 끼치려는 의도를 갖지 않을 수 있고, 이전에 매력적으로 보이던 갈망과 감각적 욕망, 그리고 혐오로 반응하던 경향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집중이 아직 선정의 단계에까지 충분히 성숙되지 않았을 때 마음의 일시적 해탈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아날라요 스님은 이 책의 마지막 장에서 연민 수행에서 공 수행으로 나아가는 한 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스님이 서술하는 수행 방식은 사무량심의 함양이라는 맥락 안에 연민을 설정하고, 이후 계속해서 공을 향해 점진적으로 나아가게 되는 것이다.
아날라요 스님은 상좌부 불교에서 수행론의 집대성이라고 할 수 있는 『빠띠삼비다막가(Pa?isambhid?magga, 無碍解道)』에서 볼 수 있는 네 가지 무량심과 관련된 수행법에 대해 서술하면서 그리고 무량심의 명상 수행에 대한 주요한 단계들을 자세히 살핀다. 이를 통해 자신이 바라는 통찰을 얻기 위해서는 사무량심의 확산 수행과 깨달음의 요소를 함양하는 수행이 결합되어야만 한다고 말한다.
아날라요 스님은 명상 수행에서 사무량심을 어떻게 활용하여야 깨달음의 요소를 함양하게 되고 깨달음에 진전이 있는 결과에 이르는 지 그 핵심을 간단히 요약해 준다.
깨달음의 진전에 필요한 정신적인 자질을 가리키는 칠각지[七覺支]에는 마음챙김 · 법에 대한 탐구 · 에너지 또는 정진 · 기쁨 · 평온함 · 집중 또는 선정 · 평정심이 있다. 마음이 느슨해질 때와 조급해질 때를 고려하여 칠각지를 적절하게 가져와야 한다. 일단 깨달음의 요소들을 함양하고 그것들이 조화를 이루게 되면 실제 수행은 끊음 · 사라짐 · 소멸 · 놓아버림이라는 네 가지 통찰과 관련된 주제들이 결합하여야만 깨달음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런 수행의 과정에서 연민을 포함한 사무량심을 함양하는 것은 자신의 수행을 증진시키고 깨달음으로 나아갈 가능성을 높인다. 아날라요 스님은 그 외에도 사무량심 수행이 주는 많은 장점들을 언급한다.
아날라요 스님은 공을 성공적으로 함양하면 감각적인 것에 대한 모든 흥미 그리고 동일화와 자만의 모든 형태들을 버리게 된다고 말한다. 이것은 자아라고 할 만한 것은 없고, 자아에 속한 것도 없다는 것에 대한 명상으로 귀착된다. 아날라요 스님은 이와 관련된 『중아함경』의 해당 경전 구절들을 8장에 직접 번역하여 실어 놓았다.
아날라요 스님은 이 책에서 공을 향해서 점진적으로 나아가는 과정, 즉 깨달음으로 가는 여정의 전체 궤적을 단계별로 자세히 그려 보여 수행에 관심이 있는 모든 이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
이 책의 독자들이 각자의 요구와 성향에 따라서 아날라요 스님이 제시한 수행 방법을 자유롭게 이용하기를 희망한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 각자의 삶이 자비(연민)의 발판 위에서 모든 욕망과 번뇌를 소멸하는 깨달음으로 가는 여정에 동참하게 되길 희망해 본다.


목차


17대 까르마빠 성하의 서문 … 004
옮긴이의 글 … 006
약어표 … 009

서론 … 014

I _ 연민의 함양
1. 연민의 특징 … 020
2. 연민과 윤리성 … 024
3. 연민과 사성제 … 027
4. 연민과 가르침 … 032
5. 연민과 안거 … 037
6. 명상에서 연민 … 044
7. 명상에서 보는 연민의 대상 … 050
8. 요약 … 054

Ⅱ _ 연민의 맥락
1. 자애 … 058
2. 일상 행동에서 자애 … 063
3. 공격성에 직면하여 … 068
4. 마음의 아름다움 … 070
5. 연민과 더불어 기뻐함 … 075
6. 연민과 평정심 … 079
7. 연민과 다른 무량심들 … 088
8. 요약 … 091

Ⅲ _ 연민의 성숙
1. 자애의 이익 … 094
2. 확산하는 연민과 선정 … 101
3. 마음의 해탈로서 연민 … 107
4. 연민과 업 … 110
5. 연민과 통찰 … 115
6. 연민과 깨달음의 요소들 … 124
7. 연민과 무한한 공간 … 127
8. 요약 … 132

Ⅳ _ 공한 물질
1. 공하다는 것의 성질 … 136
2. 공을 향한 점진적인 진입 … 148
3. 땅 … 155
4. 무한한 공간 … 162
5. 무한한 공과 연민 … 171
6. 요약 … 174

Ⅴ _ 공한 마음
1. 무한한 의식[識無邊處] … 176
2. 의식의 특징 … 179
3. 의존적 발생 … 183
4. 바히야에게 주는 가르침 … 191
5. 일상생활의 공 … 199
6. 요약 … 212

Ⅵ _ 공한 자아
1. 무소유처(無所有處) … 216
2. 흔들림 없음 … 219
3. 무아(無我) … 226
4. 지각도 아니고 지각이 아닌 것도 아닌 것[非想非非想處] … 232
5. 무상(無相) … 236
6. 공의 실현 … 248
7. 공의 역동성 … 251
8. 요약 … 257

Ⅶ _ 실제적 가르침
1. 기반을 놓다 … 260
2. 연민과 다른 무량심들 … 264
3. 확산 수행 … 272
4. 공의 명상 … 278

Ⅷ _ 경전 번역
1. 「의도에 대한 경전」 … 290
2. 「공에 대한 짧은 경」에 대응하는 『중아함경』의 해당 경전 … 296
3. 「공에 대한 긴 경」에 대응하는 『중아함경』의 해당 경전 … 302

참고문헌 … 318
찾아보기 … 331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