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최근 뉴스, 인터넷 등에서 지속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4차 산업의 주제가 바로 ‘3D 프린팅’ 산업이다. 3D 프린팅은 세계경제 포럼(다보스 포럼)에서 4차 산업 혁명을 일으킬 미래 유망 기술로 꼽고 있는 분야며, 특히 제조 산업 중심인 한국 경제가 앞으로 생존할 수 있게 해 주는 분야이기도 하다. 따라서 우리나라 또한 정부 차원에서 3D 프린팅 인재를 육성해 산업에 즉시 투입할 수 있도록 전문 인력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 산업계 현실은 3D 프린팅 전문 인재의 육성이 부족한 상태이어서, 하루빨리 3D 프린팅 전문 인재 양성과 생태계를 조성함으로써 4차 산업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필자는 3D 프린팅 관련 인재 육성책으로 《3D 프린팅 디자인의 이론과 실제》라는 책을 출간하기로 했다. 이 책은 3D 프린팅의 정확한 정보나 전문적인 지식을 접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집필했다. 3D 프린팅의 디자인을 이해하려는 학도와 실무자들에게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3가지 개념으로 구성하였다.
첫째, 3D 프린팅의 기본 개념
둘째, DFAM(Design For Additive Manufacturing)의 방안과 사례
셋째, 3D 프린팅의 모델링을 위한 DFAM 방식으로 실습과 예제의 제시
특히 Additive Manufacturing 관련 제조 오퍼레이팅(operating)과 AM 제품, 3D 리모델링, 스캐닝, 후가공 등 3D 프린팅의 산업 융합 디자인을 다각도로 볼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이 책은 기술과 디자인의 융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휴머니즘이 녹아 있는 4차 산업 시대의 막을 열 DFAM에 대한 개념을 지식으로 정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독자들이 창의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의 3D 프린팅 산업 생태계를 성장시킬 수 있는 인력으로 성장하고자 할 때, 이 책이 도움되기를 바란다.
본인은 3D 프린팅 관한 전문가로서보다는 독자들보다 먼저 3D 프린팅 기술을 접한 사람으로서 용기를 내어 이 책을 저술했다는 것을 고백한다. 향후 독자들의 많은 성원을 통해 더욱 진전된 전문서적을 발간할 것을 약속한다.
끝으로, 이 책의 DFAM 학문의 길잡이가 되어 주신 Tom Page 박사에게 감사 인사를 올린다. 자료 수집에 도움을 준 (주)3D허브시스템즈 장슬기 디자인실장님과 (주)TORYUM 박기훈 대표님의 부록협찬에 매우 감사드립니다. 부디 이 책이 3D 프린팅 산업에 관심을 가지게 된 초행자들에게는 기본 이론을 정립하는 데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현업의 실무자들에게는 DFAM에 대한 이해가 더욱 커지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