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왜 김대중을 납치했을까?
그해 8월 ‘김대중 도쿄 납치 사건’의 전모를 파헤친다.
민주주의와 파멸적 독재권력과의 대충돌
1973년 8월 8일. 도쿄에 체류 중이던 유력 야당 대통령 후보 김대중이 백주 대낮에 호텔에서 사라졌다! 사건 현장은 한국중앙정보부에 의한 납치를 말하고 있었고, 그 배후에는 그의 정적인 박정희의 증오의 불꽃이 타오르고 있었다. 사건을 숨기기 위해 전전긍긍하는 한국정부, 계획의 정체를 파악한 일본 경찰, 사건에 관여한 전 자위대 장교, 미국 정부의 암투?등. 이 책은 1973년 8월에 일본 도쿄에서 있었던 김대중 전 대통령의 납치 암살 작전('도쿄 납치 살해 미수 사건' )에 대한 이야기이다.
박정희 독재정권이 장기집권을 위해 벌였던 잔악한 정치적 음모와 파멸적인 권력욕, 그리고 그에 대항하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목숨을 건 민주화 운동의 실체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독재정권에 맞서 당당히 투쟁했던 김대중 전 대통령과 그의 뒤에서 활동한 사람들의 존재감을 다시 되돌아볼 수 있는 책이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생사를 알 수 없었던 5일간의 끔찍한 시간!
1973년 8월 8일, 당시 일본에 체류 중이던 김 전 대통령은 도쿄 한복판 그랜드팔레스호텔 복도에서 건장한 체격의 괴한들에게 납치됐다. 괴한들은 인근 방으로 끌고 가 1차 살해시도를 하지만 여의치 않자, 마취시켜 정신을 잃게 한 뒤 안가로 이동했다. 김 전 대통령은 이튿날 아침 코를 제외한 얼굴 전체를 화물포장용 테이프로 가린 채 공작선 금룡호에 태워져 국내로 옮겨졌다. 이 과정에서 괴한들은 김 전 대통령의 몸에 추를 매달고 바다 속에 수장시키려 했지만, 미국 국무부의 다급한 개입과 압박으로 가까스로 죽음을 모면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생사를 알 수 없었던 5일간의 이야기들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그 사건은 동시대를 살아온 우리 국민들에게는 너무나 슬프고도 안타까운 이야기가 아닐 수 없었다. 파멸적인 권력욕이 부른 잔혹한 행위들. 우리 민족에게는 말로 다 표현하지 못할 크나큰 상처를 준 사건이었지만, 정치적인 유착으로 인해 상당기간 진상규명이 되지 못하고 파묻히고 말았다.
그 김대중 전 대통령의 납치 암살 작전('도쿄 납치 살해 미수 사건' )을 일본의 저명한 추리작가인 나카조노 에이스케가 위험을 무릅쓰고 두 팔을 걷어 붙였다. 취재를 바탕으로 대담한 필치로 그려낸 논픽션 소설이다!
■ 김대중 납치사건 주요일지
★ 1973년 8월 8일 : 도쿄 그랜드팔레스 호텔에서 김대중 납치사건 발생 .
★ 8월 13일 : 김대중 귀가
★ 8월 14일 : 서울에서 기자회견. 한국 정부, 김대중 납치사건 특별수사본부설치.(구국동맹행동대원들에 납치돼 서울로 연행돼 왔다고 사건경위 설명).
★ 8월 16일 : 김대중 가택 연금.
★ 9월 5일 : 일본수사본부, 수사결과 발표. 진상규명과 한국정부의 공식사과요구. 납치사건에 대한 항의표시.
★ 9월 23일 : 다나카 일본 수상, 김대중 납치사건 관련 기자회견.
★ 10월 26일 : 가택연금 해제.
★ 11월 2일 : 김종필 국무총리, 일본 방문해 다나카 수상에 납치사건에 대한 유감의 뜻이 담긴 박정희 대통령 친서 전달. 더 이상 문제 삼지 않겠다는 회답 친서 받음.
★ 12월 3일 : 납치사건의 책임자로서 이후락 중앙정보부장 경질.
★ 1974년 8월 14일 : 내사중지.
★ 1975년 7월 21일 : 내사종결
★ 1980년 : 이후락 박대통령의 지시가 있었음을 고백.
★ 1998년 6월 10일 : 미국의 비밀 문건 공개. 이후락 정보부장의 지시에 의한 부원들의 소행, 박정희 대통령의 승인 있었을 것으로 분석 .
★ 2007년 3월 : 김대중 대통령, 철저한 진상규명 및 한국-일본 정부의 사과 요구.
■ 김대중 연보
김대중 (1924년 1월 6일 ~ 2009년 8월 18일)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1998년 ~ 2003년).
노벨평화상을 수상(2000년 10월).-- 한국과 동아시아에서의 민주화와 인권 신장을 위한 공헌, 남북한 간의 긴장완화와 평화를 위한 역할, 일본 등 인근 국가와의 선린과 화해를 위한 노력으로 한국인 최초.
-------------
전남 신안군 하의면 후광리 출생.
43년 목포 상업고등학교 졸업,
92년 모스크바외교대학원 정치학 박사.
-------------
1951년 〈목포일보〉 사장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1973년 일본 도쿄 납치 사건
1976~8년 민주구국선언 사건으로 투옥
1980년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으로 구속, 사형선고
1982년 형집행정지 석방 도미
1985년 귀국 김영삼과 더불어 민주화추진협의회 공동의장
1988년 13대 국회의원
1994년 아시아 태평양 민주지도자회의설립, 상임공동의장
1994년 바스 대십자 훈장(영국)수상
1995년 새정치국민회의 창당
1998년 무궁화 대훈장 수상
1998년 국제인권연맹 인권상 수상
2004년 내란음모죄와 계엄법 위반에 대해 재심 청구
2006년 김대중 평화센터 이사장
2007년 코리아 소사이어티 선정 밴플리트상 수상
2007년 클린턴 글로벌 이니셔티브 연례회의 참석
2008년 24년만에 미국 하버드대 방문, 케네디스쿨 강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