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노동법 (제26판)

노동법 (제26판)

  • 김형배
  • |
  • 박영사
  • |
  • 2018-09-10 출간
  • |
  • 1580페이지
  • |
  • 185 X 255 X 63 mm /2308g
  • |
  • ISBN 9791130332598
★★★★★ 평점(10/10) | 리뷰(2)
판매가

69,000원

즉시할인가

68,31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68,31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제26판 머리말] 

 

이 책 제25판은 2016년 8월에 출간되었다. 예년대로라면 2017년 3월 초에 제26판을 펴냈어야 하는데 6개월 만에 개정판을 새로 제작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가능한 일이 아니어서 2017년 2월 말에 새로 보완할 내용과 그때까지의 최신 판례들을 반영한 32면 분량의 추록을 별쇄본(別刷本)으로 만들어 제25판에 추가하였다. 따라서 이번에 출간되는 제26판은 2017년과 2018년에 개정된 또는 시행되는 여러 노동관계법률과 새 판례들을 반영해 2년 만에 새판을 내는 셈이 된다. 

저자는 1970년도 초에 이 책을 처음 저술할 때에 각종의 법률들로 구성된 노동법의 통일적 체계를 중요시하면서 노동법 고유의 제도들을 명확히 설명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 당시 외국문헌을 통한 비교법적 연구가 저자에게 이론적 체계를 세우는데 크게 도움이 되었다. 우리나라가 산업화시대로 접어들면서 새로운 노동관계법들이 제정되고 노동법의 범위와 내용이 빠르게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하며 진보된 노사관계질서가 생성되기에 이르렀다. 저자는 2000년대 초에 산업의 구조적 변화와 노동현실이 노동법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노동시장과 노동법의 관계, 거꾸로는 노동법이 시장경제에 미치는 영향관계 등을 이 책의 서론 부분에서 비교적 자세히 다루었다(특히 신판 노동법, 2004, 참고). 오늘날 많은 선진 학자들이 노동법의 규범구조와 제도가 노동시장에 역행할 수 없다는 사실, 경제적 상황 속에서 노동법 규범의 운신의 폭은 제한되어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선진산업국가들이 보다 실효적인 우수한 노동관계제도를 마련하기 위하여 경쟁하고 있는 것은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함께 근로자 지위의 안정과 개선을 도모하려는데 있다. 

저자는 우리 노동법의 현재의 모습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노동법사적 배경을 충분히 파악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현재의 노동관계법을 갖추게 되기까지의 역사적 과정은 그 동안의 산업화과정과 함께 우리 노동법이 지닌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그 속에 안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뜻에서 저자는 이 책에서 노동법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논제들은 소문자로 표기하여 그대로 남겨두었다. 

이번 제26판에서는 우선 2017년과 2018년 초반에 개정?시행된 각종 법률들의 내용과 제25판 이후 2018년 7월까지 새로 나온 대법원 판례와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여러 개의 하급심 판례들을 충실하게 반영하였다. 대법원 판례들 중에서 처음 나온 판결이거나 기존의 판례에 비해 법리적으로 세밀하고 구체적인 판단을 하고 있는 판결들은 보다 자세히 소개하였다. 특히 새로운 판례나 논의의 여지가 있다고 생각되는 판결에 대해서는 저자 자신의 의견을 밝혔다. 더러 여러 지면에 걸쳐 자신의 견해를 피력한 것은 학자적 관점에서 다른 사고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독자들의 비판적 안목을 넓혀 주면서 판례의 견해를 재음미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서이다. 그 동안 우리나라의 노동판례는 쟁점별로 학계의 비판을 받는 사안들이 없지 않지만 많은 발전을 거듭해 온 것이 사실이다. 산업화의 진전에 따라 복잡한 노동문제와 새로운 사건들이 속출하고 있으며 시대 상황의 변화와 함께 기존의 법적 판단이 보완?수정되거나 새로운 상황인식과 가치관이 설득력을 얻어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 동안 산업안전보건법, 최저임금법, 남녀고용평등법, 산재보험법, 근로기준법 등이 새로 개정되었다. 산업안전보건법은 전면 개정을 위하여 입법 예고가 되어있는 상태이기도 하다. 이번 노동관계법 개정 중에서 근로기준법은 1주를 휴일을 포함한 7일로 하고, 1주의 최대근로시간을 휴일근로 포함 52시간으로 못 박으며, 휴일근로와 연장근로의 중복을 종래처럼 인정하지 아니함으로써 가산임금의 중복지급을 금지한 것, 산재보험법에서는 출퇴근 재해를 업무상 사고 및 업무상 질병과 나란히 업무상 재해의 한 유형으로 규정한 것, 남녀고용평등법에서는 직장 내 성희롱의 예방과 금지조치 등에 관하여 자세한 규정을 둔 것,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고객응대근로자의 건강보호에 관한 규정을 신설한 것, 등 주목해야 할 개정을 단행하였다. 그 밖의 다른 법률의 개정내용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하였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상당한 부분들을 삭제하거나 너무 자세한 부분은 압축하여 축약한 부분도 적지 않다. 그리고 순서를 바꾸어 체계상의 정돈을 함으로써 독자들의 이해에 도움이 되도록 한 곳도 여럿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이론적 설명과 판례를 고르게 반영하면서 균형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심층적 설명이 필요한 곳에서는 충분한 검토를 할 수 있도록 이론적 쟁점을 지적하였다. 제26판에서 새로 썼거나 보강한 중요 항목들은 머리말 다음에 부록으로 첨부하였다. 이번 판에서는 새로 쓰거나 보완?개정된 부분이 많았음에도 대체되거나 축약 또는 삭제된 부분이 적지 않아 결과적으로 크게 증면되지 않았다. 이 책은 아래한글체로 새로 편집·조판되었다. 

저자는 지금까지의 집필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다만 새로 부각되는 노동법상의 문제들을 반영하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이 책의 원고를 마치기까지는 비교적 오랜 시일이 걸렸으나 독자들의 이해력과 학습수준이 높아지고 있음을 감안하여 이에 부응할 수 있도록 각별히 노력하였다. 저자는 이 책을 완성하기까지 여러분들의 도움을 받았다. 내 곁에서 조교 역할을 해준 분들에게 우선 감사한다. 특히 금년 초부터 판례 검색, 원고의 교정과 타이핑 등의 일을 맡아 충실하게 수행해 준 이원준 군에게 감사한다. 이 군이 하는 일에 좋은 소식이 함께하길 빈다. 그리고 늘 학문적 대화의 상대가 되어준 박지순 교수에게도 감사의 뜻을 전하고 싶다. 끝으로 이 책의 편집?교정 등에 많은 수고를 해주신 박영사 김선민 부장님과 복잡한 원고를 깔끔하게 정리해 준 전수연 씨에게 이 자리를 빌어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 

 

2018년 8월 21일 

仁壽峰이 보이는 연구실에서 

金 亨 培 

Kim, Huyng-Bae

목차


제1장 노동법 서론
제1절 노동현실과 문제제기
[1] Ⅰ. 근로자의 보호필요성과 경제와의 관계 3
[2] Ⅱ. 노동법의 특수성 6
[3] Ⅲ. 노동법의 구조와 문제점 8
[4] Ⅳ. 현대산업사회와 노동현실의 변화 12
[5] Ⅴ. 산업구조의 변화 및 노동현실이 노동법에 미치는 영향 14
[6] Ⅵ. 현행 노동법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18
[7] Ⅶ. 노동법과 공공의 이익 23
제2절 노동법의 개념과 기능
[8] Ⅰ. 노동법과 근로자 26
[9] Ⅱ. 노동법의 기능 40
제3절 노동법의 연혁
[10] Ⅰ. 노동입법의 성립 44
[11] Ⅱ. 국가안보우선주의와 노동입법 47
[12] Ⅲ. 민주화시대와 노동법 개정 53
[13] Ⅳ. 경제위기시대와 노동입법 58
[14] Ⅴ. 사회적 합의모델과 노동입법 65
제4절 노동법의 구조와 법원
[15] Ⅰ. 노동법의 구조 73
[16] Ⅱ. 노동법의 법원 76

제2장 노동기본권
제1절 서 설
[17] Ⅰ. 노동기본권과 생존권 97
[18] Ⅱ. 노동기본권과 재산권 99
제2절 근로의 권리
[19] Ⅰ. 근로의 권리의 개념과 내용 101
[20] Ⅱ. 근로의 권리의 법적 성질 103
[21] Ⅲ. 근로의 권리에 대한 국가의 의무 104
[22] Ⅳ. 근로조건기준 법정에 관한 권리 106
제3절 근로3권
[23] Ⅰ. 서 설 110
[24] Ⅱ. 단 결 권 125
[25] Ⅲ. 단체교섭권 144
[26] Ⅳ. 단체행동권 148
[27] Ⅴ. 근로3권의 제한 152

제3장 개별적 근로관계법
제1절 서 설
[28] Ⅰ. 개별적 근로관계법의 성질과 지위 177
[29] Ⅱ. 근로기준법에 의한 근로자의 보호 180
[30] Ⅲ. 근로관계법의 기본원칙 182
[31] Ⅳ. 근로기준법의 성질과 내용 189
[32] Ⅴ. 근로기준법의 적용관계 191
[33] Ⅵ. 근로기준법의 체계 206
제2절 근로관계의 개념과 균등대우
[34] Ⅰ. 근로관계의 의의 208
[35] Ⅱ. 근로관계의 특색 211
[36] Ⅲ. 근로계약과 근로관계의 성립 212
[37] Ⅳ. 균등대우 215
[38] Ⅴ. 직장 내 성희롱과 괴롭힘의 규제 242
제3절 근로관계의 성립
[39] Ⅰ. 근로계약의 체결 250
[40] Ⅱ. 채용내정 278
[41] Ⅲ. 시용근로관계 284
제4절 취업규칙
[42] Ⅰ. 취업규칙의 의의 및 개념 290
[43] Ⅱ. 취업규칙의 법적 성질 291
[44] Ⅲ. 취업규칙의 작성과 신고에 대한 사용자의 의무 296
[45] Ⅳ. 취업규칙의 효력 301
[46] Ⅴ. 취업규칙의 불이익변경 305
[47] Ⅵ. 취업규칙의 해석과 적용시기 318
제5절 근로관계의 내용
[48] Ⅰ. 총 설 320
[49] Ⅱ. 근로자와 사용자의 근로계약상의 의무 321
[50] Ⅲ. 임 금 351
[51] Ⅳ. 임금채권의 우선변제와 임금채권보장법 404
[52] Ⅴ. 연봉제: 연공임금제의 변화 415
[53] Ⅵ. 근로시간 424
[54] Ⅶ. 휴게?휴일 및 휴가 463
[55] Ⅷ. 근로시간 및 휴게?휴일의 적용제외 489
[56] Ⅸ. 여성과 연소자의 보호 492
[57] Ⅹ. 안전과 보건 506
[58] ⅩⅠ. 재해보상 521
[59] ⅩⅡ. 기 숙 사 573
제6절 인사이동, 휴직, 징계
[60] Ⅰ. 서 설 575
[61] Ⅱ. 배치전환 576
[62] Ⅲ. 전 출 584
[63] Ⅳ. 전 적 590
[64] Ⅴ. 휴 직 594
[65] Ⅵ. 기업질서와 징계 603
제7절 사업변동과 근로관계의 이전
[66] Ⅰ. 의 의 625
[67] Ⅱ. 사업변동시 근로관계의 존속보호 630
[68] Ⅲ. 사업변동시 근로관계의 내용보호 648
[69] Ⅳ. 사업변동시 노동조합의 지위 664
제8절 근로관계의 종료
[70] Ⅰ. 근로관계의 종료사유 667
[71] Ⅱ. 해고의 자유에 대한 제한 691
[72] Ⅲ. 근로자측의 사유에 의한 정당한 해고 703
[73] Ⅳ.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 716
[74] Ⅴ. 변경해고 746
[75] Ⅵ. 정당성이 결여된 해고의 효과와 구제수단 755
[76] Ⅶ. 정년퇴직 773
[77] Ⅷ. 근로관계종료 후의 근로자의 청구권 777

제4장 비전형근로관계
제1절 서 설
[78] Ⅰ. 비전형근로의 개념과 유형 809
[79] Ⅱ. 비전형근로의 현실적 의미와 노동법적 보호필요성 812
제2절 기간제 근로관계
[80] Ⅰ. 서 설 816
[81] Ⅱ. 기간제근로의 사용제한 823
[82] Ⅲ. 기간제근로자에 대한 차별금지와 시정절차 833

제3절 단시간 근로관계
[83] Ⅰ. 서 설 845
[84] Ⅱ. 단시간근로에 대한 근로조건의 보호 849
제4절 파견근로관계
[85] Ⅰ. 서 설 855
[86] Ⅱ. 파견사업의 요건 862
[87] Ⅲ. 파견사업주와 사용사업주의 관계 866
[88] Ⅳ. 파견사업주와 파견근로자의 관계 870
[89] Ⅴ. 사용사업주와 파견근로자의 관계 875
[90] Ⅵ. 사용자의 직접고용의무와 차별적 처우의 금지 881
제5절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노무제공관계
[91] Ⅰ. 서 설 889
[92] Ⅱ.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개념과 요건 894
[93] Ⅲ. 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 대한 노동법의 적용관계 896

제5장 집단적 노사관계법
제1절 서 설
[94] Ⅰ. 집단적 노사관계법의 개념 907
[95] Ⅱ. 집단적 노사관계법의 구성 908
제2절 노동조합
[96] Ⅰ. 현행법상의 노동조합의 지위와 해석 911
[97] Ⅱ. 노동조합의 조직형태 922
[98] Ⅲ. 노동조합의 요건과 자주성 928
[99] Ⅳ. 노동조합의 설립과 심사 939
[100] Ⅴ.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상의 노동조합이 아닌 단체 952
[101] Ⅵ. 노동조합의 운영과 민주성 956
[102] Ⅶ. 조합원지위의 취득과 상실 983
[103] Ⅷ. 노동조합의 통제권 989
[104] Ⅸ. 노동조합의 활동 996
[105] Ⅹ. 노동조합의 해산과 조직변경 1007

제3절 단체교섭
[106] Ⅰ. 단체교섭의 의의와 방식 1023
[107] Ⅱ. 단체교섭의 당사자와 담당자 1028
[108] Ⅲ. 단체교섭의 대상과 방법 1052
제4절 단체협약
[109] Ⅰ. 총 설 1066
[110] Ⅱ. 단체협약의 성립 1072
[111] Ⅲ. 단체협약의 효력 1075
[112] Ⅳ. 단체협약의 효력확장 1111
[113] Ⅴ. 단체협약의 불이익변경 1120
[114] Ⅵ. 단체협약의 종료 1128
제5절 쟁의행위
[115] Ⅰ. 총 설 1137
[116] Ⅱ. 쟁의행위의 개념과 종류 1137
[117] Ⅲ. 근로자의 쟁의행위와 면책 1148
[118] Ⅳ. 근로자의 쟁의행위의 정당성 1152
[119] Ⅴ. 정당성이 없는 쟁의행위와 책임귀속 1192
[120] Ⅵ. 사용자의 쟁의행위 1211
[121] Ⅶ. 쟁의행위와 근로계약관계 1225
[122] Ⅷ. 쟁의행위와 제3자의 손해 1237
제6절 노동쟁의의 조정
[123] Ⅰ. 서 설 1247
[124] Ⅱ. 조정의 종류와 절차 1254
[125] Ⅲ. 공익사업에 있어서의 노동쟁의의 조정 1268
제7절 부당노동행위
[126] Ⅰ. 총 설 1271
[127] Ⅱ. 부당노동행위의 주체?종류 및 요건 1274
[128] Ⅲ.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구제절차 1320
[129] Ⅳ.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사법구제 1342
제8절 공무원과 교원의 집단적 노사관계
[130] Ⅰ. 공무원의 집단적 노사관계 1347
[131] Ⅱ. 교원의 집단적 노사관계 1356

제6장 협동적 노사관계법
제1절 총 설
[132] Ⅰ. 노사협의제도의 의의 1365
[133] Ⅱ. 경영의 의사결정과 노사협의 1370
제2절 우리나라의 노사협의제도
[134] Ⅰ. 연혁과 성격 1373
[135] Ⅱ. 구 조 1376
[136] Ⅲ. 노사협의제도의 미비점과 문제점 1388

제7장 노동위원회법
[137] Ⅰ. 노동위원회제도의 의의 1399
[138] Ⅱ. 노동위원회의 구성 1399
[139] Ⅲ. 노동위원회의 회의 1403
[140] Ⅳ. 노동위원회의 권한 1407
[141] Ⅴ. 노동위원회의 문제점 1409

제8장 고용의 안정?촉진 및 보험
[142] Ⅰ. 총 설 1413
[143] Ⅱ. 고용보험제도의 의의 1415
[144] Ⅲ. 고용보험법의 주요 내용 1418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