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오온과 유식

오온과 유식

  • 모로시게키
  • |
  • 민족사
  • |
  • 2018-09-30 출간
  • |
  • 336페이지
  • |
  • 152 X 224 X 22 mm /418g
  • |
  • ISBN 9791189269012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유식의 거장 세친이 저술한 『대승오온론』 본격 역주서!
초기불교의 근본개념인 ‘오온(五蘊)’으로
대승불교의 ‘유식(唯識)’을 해설하다!

『대승오온론』은 제목 그대로 불교의 근본 개념 중의 하나인 ‘오온(색온·수온·상온·행온·식온)’을 바탕으로 유식사상을 설명하는 책이다. 유식이란 ‘오직 식뿐이다’, 즉 이 세계에는 ‘식’이라는 마음 작용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런 유식사상은 프로이트나 칼 융의 심층심리학에 앞지르는 사고방식이라고도 하고, 현대사상의 창시자인 소쉬르의 언어학과 비슷하다고 보아 유식을 현대적이고 선진적 사상으로 이해하는 이들이 많다.
그런데 이 책의 저자 모로 교수는 유식사상의 보수적인 측면에 주목한다. 여기서 ‘보수적’이라는 것은 석가모니 부처님 시대부터 전해 내려 온 오온설이라는 전통적 틀로 대승불교인 유식사상을 해설한다는 의미다. 모로 교수는 유식사상은 대단히 어렵지만, 오온(五蘊) 등의 사상, 그리고 그것을 이어받아 정밀화한 아비달마불교의 사고방식에 의지하면 유식을 의외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고 말한다. 반면 이것들을 근거로 삼지 않으면 오해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오온설에서는 우리 인간을 비롯해 살아 있는 생물은 물질적인 것, 즉 신체와 감수작용·개념화·형성작용·식별이라는 정신적인 작용이 모인 것이라고 설명한다. 인간에게는 자아나 영혼과 같은 것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것은 다섯 종류의 요소의 모임(오온)에 불과하다는 것이 불교에서 오온설을 고안하게 된 포인트다. 오온을 구성하는 다섯 개의 그룹(색·수·상·행·식)은 각각 법이다. 12처와 18계도 동일하다. 불교에서는 인간 혹은 생물을 구성하고, 이것을 성립시키고 있는 요소로서의 12개의 법이나 18개의 법을 들어, 그것을 사용해서 설명하고자 했던 것이다. 『대승오온론』은 이런 12처·18계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대승오온론』은 유식사상을 대표하는 문헌으로 유명한 세친의 또 다른 저작 『유식삼십송』이나 이것을 십대논사가 주석한 것을 편집한 『성유식론』과 그 구성이 다르다. 『유식삼십송』 등은 처음에 팔식설(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말나식·아뢰야식)을 설명하고, 다음에 삼성설(의타기성·변계소집성·원성실성)·삼무성설(상무자성·생무자성·승의무자성)을 소개한다. 그리고 계속해서 수행의 5단계(자량위·가행위·통달위·수습위·구경위)에 대해 해설한다. 무착 보살의 주요 저작인 『섭대승론』에서도 동일하게 구성하고 있다. 그러므로 현재에도 유식사상이라고 하면 팔식설과 삼성설이 대명사로 되어 있다.
그러나 『대승오온론』은 어디까지나 오온·12처·18계가 기본이다. 『대승오온론』에도 팔식설을 설하고 있기는 하지만 오온 중에 식온 부분에서 설명을 하고 있으며, 『유식삼십송』처럼 중심적인 사상으로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도 않다. 또 『대승오온론』에서는 『유식삼십송』과는 달리 수온(受蘊)과 상온(想蘊)을 제외한 나머지 심소법 전체를 행온(行蘊)에서 설명하고 있다.
이 때문에 『대승오온론』은 세친의 많은 저작 중에서 설일체유부의 입장에서 저술한 『구사론』과 유식사상을 30개의 게송으로 집대성한 『유식삼십송』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저작으로 추측된다. 다시 말해 『대승오온론』은 부파불교에서 유식으로 사상적 입장을 바꾼 세친의 과도기 사상을 전하는 중요한 논서라고 할 수 있다.

아비달마를 소승불교와 연결시키는 것은 편견에 불과해…
유식학파는 대승의 아비달마다!

유식을 공부하려면 ‘유식 3년, 구사 8년’이라고 하는데, 여기서 ‘구사’란 ?아비달마구사론?(이하 ?구사론?으로 약칭)이라는 아비달마[abhidharma, 경전을 해설하거나 주석한 논(論)]를 대표하는 문헌을 뜻한다. ‘유식 3년, 구사 8년’이란 ?구사론?을 8년 공부하면 유식 공부는 3년으로 끝낼 수 있다는 의미이지만, 3년 또는 8년이라는 숫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구사론?으로 대표되는 아비달마를 아는 것은 유식을 이해하기 위해 중요하다는 것이다. ?유식삼십송?보다 보수적인 색채가 강하고, ?구사론?과 겹치는 부분이 많은 ?대승오온론?은 이런 의미에서 유식을 이해하기 위해 적합한 문헌이다.
저자는 아비달마를 부파불교를 대표하는 문헌으로 생각하여 ‘소승’의 대명사처럼 생각하는 것은 편견에 불과하다고 역설한다. 기원 전후에 재가자를 중심으로 대승불교가 흥기하면서 이전의 부파불교를 ‘소승’이라고 경멸하는 명칭으로 부르면서 비판하였는데, 이것이 지금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에 따르면 이런 식의 역사관은 적어도 학문의 세계에서는 성립할 수가 없다. 부파불교나 아비달마를 작고 열등한 ‘소승’으로 보려는 것은 어디까지나 대승불교가 유행한 동아시아적인 편견에 불과하다.
대승에도 아비달마가 있다. 아비달마란 부처님의 설법을 체계적으로 정비한 것이기 때문에 대승경전을 토대로 사상을 체계화한 아비달마가 있었다는 것이 이상하지 않다. ?중론?을 쓴 용수 보살은 역사상 최초로 이름이 알려진 대승아비달마 논사 중의 한 사람이다. 저자는 유식학파를 자신들이 대승의 아비달마라는 것을 강하게 의식하고 있었던 집단이었다고 본다. 그것은 유식학파가 ?대승아비달마경?이나 ?대승아비달마집론?이라는 문헌을 가지고 있었던 것에서도 알 수 있다.
저자는 아비달마=부파불교, 아비달마=소승이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아비달마를 보다 폭넓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대승오온론?은 오온이라는 전통적인 개념을 중심으로, 대승 특히 유식학파의 입장에서 불교 교리를 체계화한 아비달마 논서 중의 하나이다.


목차


일러두기 … 10

제1장 『대승오온론』을 읽기 전에 … 11

1. 시작하는 말 … 13
2. 저자 세친 … 16
세친의 전기 … 16
세친의 저작 … 28
●설일체유부 계통 저작?28 ●경전 주석서?28 ●유식 논서에 대한 주석서·29 ●중관파 논서에 대한 주석서·29 ●유식 논서·30 ●논리학 관련·30 ●그 이외의 저작·30
세친 2인설 … 32
3. 『대승오온론』에 대하여 … 37
『대승오온론』의 위치 … 37
『대승오온론』의 텍스트와 주석서 … 38

제2장 『대승오온론』을 읽다 … 43

1. 제목·저자·귀경게 … 45
귀경게 … 47
2. 『대승오온론』의 저술 배경 … 49
아비달마의 중요성 … 49
암기의 중요성 … 53
명상을 위한 암기 … 58
신비체험을 위한 암기 … 61
3. 『대승오온론』의 구성 … 64
전체의 구성 … 65
오위백법(五位百法) … 68

제3장 색온을 읽다 … 73

1. 색온(色蘊)의 종류 … 75
2. 네 가지 원소[四大種] … 78
사대종(四大種) … 78
사대종소조색(四大種所造色) … 80
사대종?사대종소조색에 의한 명상 … 83
오근(五根, 다섯 가지의 감각기능) … 86
오경(五境, 다섯 가지의 인식대상) … 88
무표색(無表色) … 92
●무표색과 계율·96 ●정신집중에 의해 생긴 물질적인 것·98 ●동아시아에서 발달한 무표색 연구·104 ●무표색과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107
3. 색이란 무엇인가 … 108
주관적 신체 … 108
문화와 아뢰야식 … 112

제4장 수온·상온·행온을 읽다 … 115

1. 수온·상온·행온을 읽기 전에 … 117
불교에서의 ‘마음’ … 117
오온과 오위백법 … 123
2. 수온(受蘊) … 126
3. 상온(想蘊) … 129
4. 행온(行蘊)의 종류 … 133
5. 심법(心法, 심소법) … 135
변행(遍行) … 138
●변행이란?138 ●촉(觸)·138 ●작의(作意)·141 ●수(受)·상(想)·142 ●사(思)·142
별경(別境) … 145
●욕(欲)·146 ●승해(勝解)·147 ●염(念)·149 ●사마디(三摩地)·153 ●혜(慧)·154
선(善) … 156
●신(信)·158 ●참(?)·괴(愧)·159 ●무탐(無貪)·162 ●무진(無瞋)·164 ●무치(無癡)·165 ●정진(精進)·166 ●경안(輕安)·167 ●불방일(不放逸)·168 ●사(捨)?170 ●불해(不害)·172
번뇌 … 173
●탐(貪)·173 ●진(瞋)·174 ●만(慢)?175 ●무명(無明)·179 ●견(見)?181 ●의(疑)·185 ●선천적인 번뇌·후천적인 번뇌?186
수번뇌(隨煩惱) … 187
●분(忿)·187 ●한(恨)?188 ●복(覆)?188 ●뇌(惱)·189 ●질(嫉)?190 ●간(?)·191 ●광(?)?191 ●첨(諂)·192 ●교(?)·193 ●해(害)·194 ●무참(無?)·무괴(無愧)?195
●혼침(?沈)·도거(掉擧)·196 ●불신(不信)?197 ●해태(懈怠)?198 ●방일(放逸)?199 ●실념(失念)?200 ●산란(散亂)?201 ●부정지(不正知)?202
불결정(不決定) … 203
●악작(惡作)?204 ●수면(睡眠)?206 ●심(尋)·사(伺)?207
6.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 … 210
심불상응행의 정의와 종류 … 210
팔식설 … 213
심불상응행 … 216
●득(得)?216 ●삼계(三界)·선정과 식과의 관계·218 ●무상등지(無想等至)·220 ●멸진등지(滅盡等至)·221 ●무상소유(無想所有)·223 ●명근(命根)·224
●중동분(衆同分)?225 ●생(生)·노(老)·주(住)·무상(無常)·227 ●명신(名身)·구신(句身)·문신(文身)?229 ●이생성(異生性)·233 ●그 이외의 심불상응행?233
7. 행온 전체의 결어 … 235

제5장 식온을 읽다 … 237

1. 식온(識?) … 239
식이란 무엇인가 … 239
2. 최승심(最勝心, 아뢰야식) … 243
아뢰야식 … 243
아뢰야식의 존재 증명 … 248
아뢰야식과 아다나식 … 253
3. 최승의(最勝意, 말나식) … 256
4. 온(蘊)에 대하여 … 259

제6장 12처와 18계 … 261

1. 일체법 … 263
2. 12처(十二處) … 265
12처와 오온의 대응 … 265
무위법 … 269
왜 ‘처(處)’라고 하는가? … 273
3. 18계(十八界) … 274
18계와 오온의 대응 … 274
오온과 12처·8계와의 대응 … 277
왜 ‘계(界)’라고 하는가? … 281
4. 오온·12처·18계를 설한 이유 … 283

제7장 제문분별(諸門分別) … 285

1. 18계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 … 287
물질적인 것[有色]은 몇 개인가? … 289
보이는 것[有見]은 몇 개인가? … 291
공간을 점하고 있는 것[有對]은 몇 개인가? … 292
번뇌에 관계하는 것[有漏]은 몇 개인가? … 293
삼계와의 관계 … 298
오온과의 관계 … 301
선(善)·불선(不善)·무기(無記)와의 관계 … 303
‘나’의 내측·외측 … 304
인식대상을 가지고 있는 것[有緣]은 몇 개인가? … 305
구상작용(분별)을 가진 것은 몇 개인가? … 306
신체에 관계하는 것[執受]은 몇 개인가? … 308
동류인 것[同分]은 몇 개인가? … 309
2. 결어 … 312

제8장 마치는 말 … 313
마치는 말 … 315

옮긴이의 말 … 318
참고문헌 … 322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