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조선시대 연시조 주해

조선시대 연시조 주해

  • 황충기
  • |
  • 푸른사상
  • |
  • 2009-10-30 출간
  • |
  • 558페이지
  • |
  • 153 X 224 mm
  • |
  • ISBN 9788956407166
판매가

42,000원

즉시할인가

37,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7,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연시조 파헤쳐 보기
시조란 문학 형식을 처음으로 이룬 사람들은 사대부였고 그 내용도 유교사상을 바탕으로 하였기 때문에 다른 문학에 비해 비교적 짧았고, 음악과 관련성이 깊어 지어지는 과정에서 즉흥적으로 창작되는 경우가 많아 단시조로 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작자가 사회현실이나 도학자적인 감상을 노래하기보다 자연을 완상하고 유유자적하는 유장(悠長)한 심정을 표현하기에 단시조보다는 연시조(聯時調:連時調)가 알맞았을 것이다. 연시조가 언제부터 있었느냐 하는 것도 문제가 되겠지만 고려시대의 어부사(漁父詞 또는 漁父歌)도 연시조의 형태로 볼 수 있고, 조선시대에 들어와 영상까지 지낸 맹사성과 황희도 <강호사시가(江湖四時歌)>와 <사시가(四時歌)>란 연시조를 지었다. 이것들은 사회적 현실이나 백성들은 계몽하기 위한 교훈적인 것이 아닌 자연을 완상하는 개인적인 감상을 노래한 것이고, 더구나 사계절을 두고 노래한 것이기 때문에 단시조보다는 연시조가 합당한 것일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시조의 예를 들어보고 그에 대한 주석과 해설을 겸하였다. 연시조에 대한 간단한 해설과 함께 옛 선조들의 자연에 대한 완상과 그 멋스러움에 한번 빠져보자.


목차


서문
일러두기

연시조 개관(槪觀)
1. 연시조(聯時調)냐 연시조(連時調)냐
2. 연시조는 언제부터 있었나
3. 연시조는 평시조만을 모아 놓은 것인가
4. 작가와 내용
5. 색다른 표현들

작가와 작품 일람
맹사성(孟思誠)∥<江湖四時歌>
황 희(黃喜)∥<四時歌>
이현보(李賢輔)∥<歸田錄>, <漁父短歌>
박 운(朴雲)∥<龍巖>
주세붕(周世鵬)∥<五倫歌>
이 황(李滉)∥<陶山六曲 前六曲>, <後六曲>
박 개(朴漑)∥<白鷗歌>
최학령(崔鶴齡)∥<續文山六歌>
이숙량(李叔樑)∥<汾川講好歌>
이후백(李後白)∥<瀟湘八景歌>
허 강(許?)∥<從先子燕京時作>
고응척(高應陟)∥<然然曲>, <晝夜曲>, <磨石曲>, <浩浩歌>
권호문(權好文)∥<閑居十八曲>
이 정(李淨)∥<楓溪六歌>
이 이(李珥)∥<高山九曲歌>
정 철(鄭澈)∥<訓民歌>, <酒問答>
장경세(張經世)∥<江湖戀君歌 前六曲>, <後六曲>
곽기수(郭期壽)∥<漫興>
이신의(李愼儀)∥<四友歌>, <短歌>
정광천(鄭光天)∥<述懷>, <病中述懷歌>
조존성(趙存性)∥<呼兒曲>
박선장(朴善長)∥<五倫歌>
김득연(金得硏)∥<山中雜曲>, <會酌菊酒歌>, <契友齊會歌>, <戱?赤壁歌>, , <山亭獨?曲>
신계영(辛啓榮)∥<戀君歌>, <歎老歌>, <田園四時歌>
이덕일(李德一)∥<憂國歌>
김상용(金尙容)∥<五倫歌>, <訓戒子孫歌>
박인로(朴仁老)∥<早紅?歌>, <五倫歌>, <辛酉秋與鄭寒岡蔚山椒井>, <立巖>, <慕賢>, <自警>
강복중(姜復中)∥<癸亥反正歌>, <淸溪慟哭六條曲>, <八月秋風謝延平大監贈扇歌>, <敬贈月沙大監歌>, <判官答歌>, <訪珍山郡守歌>, <爲祖爲父慷慨歌>, <水月亭淸興歌>, <和訓民歌>, <駒城李彌詞謹答永言>
송 타(宋禾? )∥<花庵九曲>
정 훈(鄭勳)∥<月谷答歌>
이 시(李蒔)∥<操舟候風歌>
방원진(房元震)∥<愛蓮曲>
이경엄(李景嚴)∥<扶餘懷古>
김광욱(金光煜)∥<栗里遺曲>
나위소(羅緯素)∥<江湖九歌>
윤선도(尹善道)∥<漫興>, <夏雨謠>, <五友歌>, <初筵曲>, <罷宴曲>, <夢天謠>, <遣懷謠>
이홍유(李弘有)∥<山民六歌>
이중경(李重慶)∥<漁父詞>, <漁父別曲 前三章>, <梧臺漁父歌>, <漁父別曲 後三章>
이정환(李廷煥)∥<悲歌>
장복겸(張復謙)∥<孤山別曲>
이휘일(李徽逸)∥<楮谷田家八曲>
김기홍(金起泓)∥<寬谷八景>
낭원군(郎原君)∥<宗親燕會宣?賜樂>, <釣魚臺和孝廟御製>, <五倫歌>
신 교(申?)∥<歸臨鏡吟>, <歸山吟>, <東遊吟>, <北征吟>
곽시징(郭始徵)∥<景寒亭感興詠懷歌>
이담명(李聃命)∥<思老親曲>
조유수(趙裕壽)∥<春州小詞>
안서우(安瑞羽)∥<楡院十二曲>
권 섭(權燮)∥<梅花>, <六詠>, <十六詠>, <郭都正從祖重?日壽詞>, <謂客>, <病中詠盆桃>, <獨自往遊戱有五詠>, <笑矣乎>, <悲來乎>, <黃江九曲歌>
권 구(權?)∥<屛山六曲>
이 삼(李森)∥<聖主鴻恩歌>
박순우(朴淳愚)∥<東遊錄>
이식근(李植根)∥<戀子詞>
안창후(安昌後)∥<閒說二十五幷詩歌>
김수장(金壽長)∥<奉賀親耕親蠶>
이 유(李?)∥<子規三疊>
이광명(李匡明)∥<贈參議公謫所詩歌>
신 지(申?)∥<永言>
채 헌(蔡?)∥<石門歌>
양주익(梁周翊)∥<感聖恩歌>, <又感恩曲>
위백규(魏伯珪)∥<農歌>
황윤석(黃胤錫)∥<木州雜歌>
남극엽(南極曄)∥<愛景堂十二月歌>
김상직(金商稷)∥<入山歌>
권익륭(權益隆)∥<風雅別曲>
신갑준(申甲俊)∥<歎誠曲>, <願學曲>, <慕賢曲>
조 황(趙榥)∥<人道行>, <箕?謠>, <酒老園擊壤歌>, <秉?吟>, <訓民歌>
유심영(柳心永)∥<金剛錄>
안민영(安玟英)∥<高宗 卽位 賀祝>, <石坡大老 回甲 賀祝>, <府大夫人 華甲 獻賀>, <蘭草詞>, <梅花詞>
이세보(李世輔)∥<月令時調>, <義巖別祭歌>

作家索引
作品索引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