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십우도 - 깨달음에의 안내자

십우도 - 깨달음에의 안내자

  • 조광호 (역해)
  • |
  • 비움과소통
  • |
  • 2015-05-01 출간
  • |
  • 296페이지
  • |
  • ISBN 9788997188710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2,800원

즉시할인가

11,52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1,52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서문 : 십우도란 무엇인가

제1장. 선(禪), 어떻게 이해하여 하나
제2장. 곽암의 십우도
1. 총설
2. 십우도해설
1) 심우(尋牛): 소를 찾다
2) 견적(見跡): 발자국을 보다
3) 견우(見牛): 소를 보다
4) 득우(得牛): 소를 얻다
5) 목우(牧牛): 소를 기르다
6) 기우귀가(騎牛歸家): 소를 타고 집으로 돌아가다
7) 도가망우(到家忘牛): 집에 돌아와 소를 잊다
8) 인우구망(人牛俱忘): 소와 사람 모두 잊다
9) 반본환원(返本還元): 본래의 근원에 돌아가다
10) 입전수수(入?垂水): 손을 드리우고 저자에 들어가다

제3장. 보명의 목우도
1. 보명의 전기
2. 목우도 해설
1) 미목(未牧): 아직 기르지 않다
2) 초조(初調): 처음으로 다스리다
3) 수제(受制): 규제를 받다
4) 회수(廻首): 머리를 돌리다
5) 순복(馴伏): 길들여지다
6) 무애(無碍): 걸림이 없다
7) 임운(任運): 흐르는대로 맡기다
8) 상망(相忘): 서로 잊다
9) 독조(獨照): 홀로 비추다
10) 쌍민(雙泯): 소, 사람 다 사라지다

제4장. 중국의 선

부록(인명록)

도서소개

이 책은 十牛圖를 공부하기 위한 전제로 선(禪)의 역사와 근본 뜻을 서술하고, 부록으로 선종의 중요 선지식에 대한 인명록을 첨부했다. 아울러 십우도 및 심우도의 저자와 10단계의 수행과정을 그림과 선시(禪詩)를 중심으로 숨은 뜻과 마음공부의 요체, 어구 풀이 등을 시도했다. 오늘날, 선(禪)에 대한 기초지식 없이 앉기만 하는 좌선(坐禪) 위주의 이른 바 ‘앉은뱅이 선(禪)’에서 벗어나 행주좌와 어묵동정(행주좌와 어묵동정) 가운데 활발발하게 살아있는 일상선(日常禪), 생활선(生活禪)의 지침서로 손색이 없도록 편집했다.
도망간 소(참나) 찾아 길들여서 대자유를 얻는 길
곽암의 십우도와 보명의 목우도 번역ㆍ해설

중국의 선종(禪宗)에서는 「본래의 自己 모습, 참된 自己」를 소에 비유하여 설명하였다. 많은 동물 중에 왜 소에 비유했을까? 아마도 소가 농경(農耕)사회에서는 인간과 가장 친하였고 「황소처럼 고집이 세다」하더라도 길들이면 순해지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선(禪)의 수행과 깨달음에의 과정을 「도망간 소를 데리고 돌아와 길들이는 수행의 과정」에 비유하여 10단계로 나누어 알기 쉽게 그림으로 설명하였다. 그것이 十牛圖이다.
십우도는 한 종류가 아니다. 그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이 보명(普明)의 목우도(牧牛圖)와 곽암(廓庵)의 십우도이고, 이외에 여러 종류의 十牛圖가 있다. 송(宋)나라 때의 청거(?馥)선사의 십이목우도(十二牧牛圖), 불국유백선사(佛國惟白禪師)의 八牧牛圖, 그리고 소대신 말을 그린 十馬圖, 또 티베트에는 코끼리를 그려 넣은 십상도(十象圖)가 있다. 십우도는 원래 道敎의 八牛圖에서 유래됐다는 설도 있는데, 소를 찾는 과정이기 때문에 심우도(尋牛圖)라고도 한다. 목우도, 십우도, 심우도 등의 명칭이 있으나 여기서는 특별히 구분하여 부르지 않을 경우, 십우도로 대표하여 부르기로 한다.
보명선사(普明禪師)의 목우도는 明代 이후에 중국과 한국에 많이 알려졌고, 일본에서는 주로 곽암선사(郭庵禪師)의 십우도가 알려졌다. 그러나 현재는 중국, 한국, 일본이나 곽암의 십우도가 가장 많이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사찰 벽화에는 주로 팔상도(八相圖)나 십우도가 그려져 있는 곳이 많은데, 십우도의 경우 대개 곽암의 십우도로 보면 옳다. 곽암의 십우도가 가장 많이 애독되는 것은 아마도 곽암 십우도의 그림이나 설명(제목, 序, 頌)이 선(禪)의 수행과정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때문일 것이다.
십우도에는 대개 천진난만한 동자(童子)와 소가 그려져 있다. 소는 우리들이 찾으려는 「참된 自己」,「마음의 소(心牛)」이고, 이를 선체험(禪體驗)을 통해 잡으려고 하는 선(禪)수행자가 동자의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최근에 나온 책에는 소와 동자의 그림을 희화(戱化)하여 마치 만화책 같은 것도 있다. 선(禪)이 그야말로 만화가 되었다.
곽암의 십우도에는 열 개의 원(圓)으로 된 공간 안에 다음 내용이 그려져 있다.

1. 소를 찾아 나서(심우尋牛),
2. 발자국을 보고(견적見跡),
3. 소를 보고(견우見牛),
4. 소를 붙잡아(득우得牛),
5. 소를 길들이고(목우牧牛),
6. 소를 타고 집으로 돌아간 다음(기우귀가騎牛歸家),
7. 집에 도착하여 소에 대한 생각은 잊어버리고(도가망우到家忘牛)
8. 사람도 소도 다 잊어버리는 단계에 이르고(인우구망人牛俱忘),
9. 본래의 자기, 근본으로 돌아갔다가(반본환원返本還源)
10. 시정으로 나와 속인들을 교화는 장면(입전수수入?垂手)이다.

곽암선사는 대수원정선사(大隨元靜禪師)의 법사(法嗣)로 임제선사(臨濟禪師)로부터 12대째의 법손(法孫)이라 하나, 생몰년(生沒年)을 비롯하여 그 전기(傳記)는 분명치 않다. 그가 살던 곳이 양산(梁山)이었으므로 양산곽암(梁山廓庵)이라고도 불린다. 현존본 십우도에는 자원(慈遠)이란 사람의 총서(總序)가 있는데, 이에 의하면 곽암이 지은 것은 제목(題)과 송(頌)과 도(圖)이다. 다음에 서(序)가 있는데, 이는 편찬자 자원(慈遠)의 것이라 한다. 그 다음에 석고이화상(石鼓夷和尙)과 괴납련(壞衲璉)화상의 화송(和頌)이 「화(和)」와 「우(又)」로 나누어져 나온다. 서(序)는 제목과 그림, 그리고 송(頌)에 붙인 선(禪)수행상의 교훈이 되는 짤막한 글이고, 송(頌)은 그림과 제목에 붙인 원작자 곽암의 송시(頌詩)이다. 곽암의 십우도는 자원, 곽암, 석고이화상, 괴납련화상의 합작품이라 하겠다.
「불립문자(不立文字)」를 중요시 하는 선종(禪宗)에서 깨달음의 과정을 문자로 표현한다는 것이 안 맞는 것 같지만, 깨달음의 길을 가는 수도자나 학습자에게는 필요할 것이다. 선시(禪詩)는 심오한 뜻을 짧은 문장으로 함축시키고 있는 만큼 대단히 관념적이고, 추상적이며, 난해한 것이 많다. 그래서 여러 가지 해석이 나온다.
또다른 십우도의 작자인 보명(普明)은 남조(南朝)의 승려로 국청보명(國?普明)선사라고도 불리운다. 태건(太建)14년(582)에 천태산(天台山)에 들어가 지자대사(智者大師)의 제자가 되었다 하니 곽암보다 훨씬 전의 사람이다. 보명의 목우도(牧牛圖)는 다음의 열개의 그림과 송으로 되어 있다.

1. 미목(未牧): 아직 기르지 않는다.
2. 초조(初調): 처음으로 다스리다.
3. 수제(受制): 규제를 받는다.
4. 회수(廻首):머리를 돌리다.
5. 순복(馴伏): 길들여지다.
6. 무애(無碍): 걸림이 없다.
7. 임운(任運): 흐르는대로 맡기다.
8. 상망(相忘): 서로 잊다.
9. 독조(獨照): 홀로 비추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