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겸재의 한양 진경

겸재의 한양 진경

  • 최완수
  • |
  • 현암사
  • |
  • 2018-09-15 출간
  • |
  • 400페이지
  • |
  • 196 X 233 X 36 mm /1312g
  • |
  • ISBN 9788932319407
판매가

55,000원

즉시할인가

49,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9,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겸재 정선이 진경산수화로 남긴 서울의 아름다운 옛 모습 속에서
면면히 이어져온 자연과 문화, 거기서 살아온 사람들의 역사가 고스란히 되살아난다!

조선성리학 이념이 주도하던 조선 후기 진경시대는 우리 문화가 세계 제일이라는 자존 의식이 가장 강렬했던 시대였다. 이 시대를 주도한 이들은 그 자부심을 바탕으로 한양 서울의 아름다운 경치를 시와 그림으로 당당하게 사생해내었는데 그 세대를 대표하는 이가 바로 겸재(謙齋) 정선(鄭敾)이다.
겸재는 자신이 나고 자라 평생 살던 터전인 북악산과 인왕산 아래 장동(壯洞) 일대를 중심으로 한양 서울 곳곳을 문화 유적과 함께 진경으로 사생해 남겨놓았다. 뿐만 아니라 서울을 3면으로 둘러싸면서 산과 시내를 만나 절경을 이룬 한강과 그 주변의 명승지 곳곳을 배를 타고 오르내리면서 진경산수화〔우리 국토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다는 전제 아래 토산(土山)과 암산(岩山)이 적당히 어우러진 우리 국토의 아름다운 산천을 소재로 음양 조화(陰陽調和)와 음양 대비(陰陽對比)의 『주역(周易)』 원리에 따라 화면을 구성하는 독특한 고유 화법(?法)〕로 표현했다. 그 덕분에 우리는 겸재 시대 서울의 옛 모습, 한양 진경을 눈으로 보고 생생히 느낄 수 있게 되었다.
이 책은 겸재의 한양 진경을 감상하며 옛 서울을 여행할 수 있게 한 화집이다. 그와 그의 시대가 남긴 우리 고유문화 절정기의 현장을 직접 확인하고, 거기에 얽힌 우리의 역사, 지리, 인물, 시문(詩文), 서화(書?), 종교, 이념 등을 서로 엮어 다채롭고 깊이 있게 해설하고 있어 그림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책이다.

풍수지리상으로 명당 중의 명당인 서울의 어제와 오늘
서울은 풍수지리에서 말하는 명당(明堂)의 조건을 완벽하게 갖춘 천하제일 명당이라고 불린다. 삼각산(북한산)이 조산(祖山)이 되고 백악산(북악산)이 현무(玄武)가 되며 낙산이 청룡(靑龍), 인왕산이 백호(白虎), 남산이 주작(朱雀)이 되어 거대한 비단주머니꼴을 하고 있다. 그 위에 동쪽의 안암산, 서쪽의 안산, 남쪽의 관악산이 한 겹 더 둘러싸서 겹주머니 형태를 보이고 있으니 천연의 요새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물길을 보면 한반도 안에서 제일 큰 강인 한강이 동북쪽에서 흘러와 서울 남쪽을 휘감아 돌며 서북쪽으로 흘러가 바다에 이른다. 천연의 해자(垓字)가 동?남?서 3면을 에워싼 형국이다.
이런 지리적 요건을 갖추기도 쉽지 않은데, 삼각산으로부터 내려온 산맥 전체가 백색 화강암으로 이루어져서 백악산, 인왕산, 낙산이 모두 한 덩이 거대한 흰빛 바위인 듯 솟구쳐 올라 있다. 그러니 그 사이사이에 펼쳐진 계곡은 기암절벽과 맑고 깨끗한 물, 그리고 솔숲 등 수목과 어우러지면서 그 아름다움은 절정을 이룬다. 뿐만 아니라 이런 산줄기와 시냇물들이 3면을 휘감아나가는 한강과 마주치면서 갖가지 낭떠러지와 산등성이, 모래벌판, 모래섬 등을 만들어냈으니 한양 서울의 강산풍광 역시 천하제일이었다. 조선 태조 3년(1394)에 한양 천도가 결정된 이후 조선왕조 500년 동안, 또 조선왕조 멸망 이후 1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한양이 서울이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여기에 있었다. 그사이 이 서울에서는 조선 전기 외래문화와 후기 고유문화의 초창과 절정, 쇠퇴를 차례로 겪었고 일제 강점기 이후에는 식민 문화에 압도당하는 고통을 받기도 했다.
이 책은 조선성리학 이념이 주도하던 조선 후기 진경시대를 이끈 세대의 대표 주자인 겸재 정선이 남긴 한양 진경 그림을 62개 항목(72폭)으로 나누어 싣고 그 그림이 그려지기까지의 내력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지은이는 직접 그 옛 그림의 장소를 찾아 상전벽해의 현장을 돌아보고 옛 모습과 지금의 모습을 교차해본다. 한 폭의 그림에는 그곳의 풍광만이 아니라 그것을 그림으로 담은 겸재의 마음, 그 그림을 기다리는 친구의 마음, 그리고 그곳을 스쳐가고 머물며 살아가던 옛 사람들의 자취가 가득하다. 특히 겸재가 양천현령으로 부임해 가며 친구인 사천(?川) 이병연(李秉淵)과 단둘이 석별의 정을 나누면서 시화환상간(詩畵換相看), 즉 ‘시와 그림을 서로 바꿔 보자’는 맹약을 하게 되는데 그 약속 장면을 그림에 담기도 했다. 그 약속에 따라 겸재는 양수리 일대부터 양천현(지금의 양천구 등) 일대에 이르는 한강 주변의 명구승지(名區勝地)도 화폭에 담아 부지런히 사천에게 보냈고 사천도 이에 화답하는 시를 빠짐없이 지어 보냈다. 그 그림과 시도 이 책에 실려 있다.
책의 말미에는 옛 그림의 장소를 지도에 표시해 실었기 때문에 독자들은 이 책을 들고 옛 그림의 장소를 찾아가 겸재가 느꼈을 법한 감회에 젖을 수도 있을 것이다.

겸재(謙齋) 정선(鄭敾)
겸재 정선(1676~1759)은 1676년(숙종 2) 1월 3일 한양 북부(北部) 순화방(順化坊) 창의리(彰義里) 유란동(幽蘭洞)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자는 원백(元伯), 호는 겸재(謙齋), 겸초(兼艸), 난곡(蘭谷)이다. 아버지 정시익(鄭時翊), 어머니 밀양 박씨(密陽朴氏)의 2남 1녀 중 맏아들로 태어나서 1689년(숙종 15년) 14세 때 아버지를 여의었다.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 1570?1652)의 후손인 김창집(金昌集, 1648?1722) 형제들이 나서 자라던 집인 악록유거와 이웃해 있던 겸재는 어려서부터 김창집의 아우들인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 1651?1708),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 1653?1722), 노가재(老稼齋) 김창업(金昌業, 1658?1721)의 문하에 드나들며 성리학과 시문서화(詩文書畵) 수련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고 또한 그들의 후원으로 진경산수화풍을 대성해낼 수 있었다.
농암과 삼연은 우암(尤菴)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의 학통을 이은 조선성리학의 거장들이었는데 그중에서도 특히 겸재의 스승인 삼연은 진경시(眞景詩, 우리 국토의 자연 경관을 소재로 하여 그 아름다움을 사생한 시)의 시종(詩宗, 시단의 우두머리)으로 당시 진경문화를 이끄는 중심인물이었다. 뿐만 아니라 노가재는 화리(畵理, 그림의 이치)에 정통한 사대부 화가였으니 이들의 훈도는 그림 재주를 천품으로 타고난 겸재로 하여금 족히 진경산수화풍을 창안해내고 그를 대성할 수 있게 하고도 남음이 있었다.
겸재가 진경산수화의 사상적 기반이 되는 조선성리학을 익혀 그 근본인 『주역(周易)』에까지 정통하게 되는 것은 삼연의 가르침 때문이었고, 화법(畵法)과 화론(畵論)에 정통할 수 있었던 것은 노가재의 가르침을 받은 결과였다. 이에 겸재는 『주역』의 음양(陰陽) 원리에 입각하여 이 원리로 화면을 구성해내는 새로운 진경산수화법을 창안해냈던 것이다. 이는 조선성리학파들이 출현을 간절히 고대하고 있었으나 그간 나오지 못했던 이상적인 신(新)화풍이었다. 그래서 겸재는 삼연에게 진경시의 의발(衣鉢)을 전수받은 동문(同門) 지기(知己)인 사천(?川) 이병연(李秉淵, 1671?1751)과 시(詩)?화(畵) 쌍벽(雙璧)을 이루며 당시 진경문화를 주도했다.
1716년(숙종 42년, 41세)에 관상감의 천문학겸교수(天文學兼敎授, 종6품)로 특채되어(『주역』에 정통한 까닭) 조지서(造紙署) 별제(別提, 종6품), 하양현감(河陽縣監, 종6품)을 거쳐 1729년(영조 5년, 54세)에 한성부(漢城府) 주부(主簿)가 되었고, 이후 청하현감(淸河縣監), 양천현령(陽川縣令) 등을 역임하였으며 1754년(영조 30년, 79세)에 사도시(司?寺) 첨정(僉正, 종4품)을 거쳐 1756년(영조 32년, 81세)에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종2품)에 제수되었다. 1759년(영조 35년) 3월 24일, 8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목차


머리말
초판 머리말
01. 인곡유거(仁谷幽居)
02. 독서여가(讀書餘暇)
03. 인곡정사(仁谷精舍)
04. 인왕제색(仁王霽色)
05. 옥동척강(玉洞陟崗)
06. 삼승정(三勝亭)
07. 삼승조망(三勝眺望)
08. 장안연우(長安烟雨)
09. 백악산(白岳山)
10. 독락정(獨樂亭)
11. 취미대(翠微臺)
12. 은암동록(隱岩東麓)
13. 대은암(大隱岩)
14. 은암회방연(隱巖回榜宴)
15. 북원기로회(北園耆老會)
16. 청송당(聽松堂)
17. 자하동(紫霞洞)
18. 창의문(彰義門)
19. 백운동(白雲洞)
20. 풍계유택(楓溪遺宅)
21. 청풍계(淸風溪)
22. 청휘각(晴暉閣)
23. 수성동(水聲洞)
24. 필운대(弼雲臺)
25. 필운상화(弼雲賞花)
26. 경복궁(景福宮)
27. 목멱산(木覓山)
28. 동소문(東小門)
29. 동문조도(東門祖道)
30. 서교전의(西郊餞儀)
31. 세검정(洗劒亭)
32. 녹운탄(綠雲灘)
33. 독백탄(獨栢灘)
34. 우천(牛川)
35. 석실서원(石室書院)
36. 삼주(三洲) 삼산각(三山閣)
37. 광진(廣津)
38. 송파진(松坡津)
39. 압구정(狎鷗亭)
40. 목멱조돈(木覓朝暾)
41. 양화환도(楊花喚渡)
42. 양화진(楊花津)
43. 선유봉(仙遊峯)
44. 이수정(二水亭)
45. 공암층탑(孔岩層塔)
46. 소요정(逍遙亭)
47. 양천현아(陽川縣衙)
48. 종해청조(宗海聽潮)
49. 소악후월(小岳候月)
50. 소악루(小岳樓)
51. 안현석봉(鞍峴夕烽)
52. 금성평사(錦城平沙)
53. 행호관어(杏湖觀漁)
54. 귀래정(歸來亭)
55. 낙건정(樂健亭)
56. 개화사(開花寺)
57. 사문탈사(寺門脫蓑)
58. 척재제시(?齋題詩)
59. 시화환상간(詩畵換相看)
60. 설평기려(雪坪騎驢)
61. 빙천부신(氷遷負薪)
62. 동작진(銅雀津)
겸재(謙齋) 정선(鄭敾)
한양 진경의 현재 위치
용어 해설
찾아보기(지명, 인명)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