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대한제국 황태자 이척

대한제국 황태자 이척

  • 김영구
  • |
  • 다솜출판사
  • |
  • 2010-08-02 출간
  • |
  • 444페이지
  • |
  • 188 X 254 X 30 mm /820g
  • |
  • ISBN 9788955622720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2,5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5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국제법 상 대한제국은
1919년 1월 21일까지 존속

『잘 몰랐던 한일 과거사 문제』 김 영구 著/ 다솜 출판사

대한 국제법 학회의 회장을 역임한 국제법 전문가 김영구 전 한국해양대 교수가 『잘 몰랐던 한일 과거사 문제』라는 책을 펴냈다. 김 교수는 새로운 한일간 어업협정이 체결되었을 때 누구보다 먼저 이 협정이 한국의 독도 영유권을 훼손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여 경종(警鐘)을 울린 학자다.

한일 과거사에 대한 국제법적 조명이라는 부제가 날린 이 저서에서, 김 교수는 순종은 대한제국의 황제가 아니며, 대한제국의 주권이 침탈되어 국가로서의 기능이 정지된 시기는 한일병합조약이 체결된 1910년 8월 22일이 아니라 고종의 황위가 일제에 의해 강제로 찬탈된 1907년 7월 20일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또 대한 제국의 현실적 실체가 소멸된 것은 고종이 일제에 의해 독살된 1919년 1월 21일로 봐야 한다고 국제법적 근거를 들어 주장하고 있다.

우선 김 교수는 “왕권이란 왕자신의 의사에 반하여 양위 될 수 없으며, 찬탄될 수도 없다”는 원칙은 1660년대에 이미 확립되어 있었던 실정 국제 공법이기 때문에 1907년 일제에 의한 고종이 황위 찬탈 행위는 위법이며 무효다. 따라서 순종은 대한제국의 황제가 아니며, 황제가 아닌 사람의 손에 의해 체결된 한일병합조약 또한 당연히 무효라고 주장한다.
고종을 강제 퇴위(退位)시킨 일제는 1907년 7월 24일 제3차 한일협약(정미7조약) 을 통해 대한제국의 행정, 입법 및 사법 기능을 장악하고 7월 31일에는 새 황제 순종의 이름으로 대한제국의 군대를 해산했다.
이로써 형해(形骸)만이라도 남아 있던 대한제국은 형식상으로나 실질상으로 이미 그 기능이 정지됐다는 입장이다.
김교수는 고종은 이미 7월 20일에 강제 퇴위되어 일제에 의해 황제로서의 기능을 물리적으로 저지당하고 있었으므로 제3차 한일협약은 한국측의 조약체결권자가 사실상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체결된 조약이기 때문에 원천 무효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대한제국은 고종이 일제에 의해 강제 퇴위되고 입법, 사법, 행정권이 박탈되고 군대가 해산됨으로써 국가적 기능이 정지됐지만, 고종이 일제에 의해 독살된 1919년 1월 21일까지 형식상으로나마 존재했다고 보아야 한다는 것이 김 교수의 주장이다.
김 교수는 대한제국의 국권이 일제에 의해 완전히 침탈된 시기를 한일병합조약이 체결된 1910년 8월 22일이라고 보는 것은 식민사관(植民史觀)의 영향이며, 그런 인식은 한일병합조약을 무효로 간주하고 있는 한국정부의 일관된 공식 입장과도 논리적으로 부합하지 않는다고 지적하고 있다.

일제의 한반도 지배는 군사적 강점
한일병합조약이 무효라면 한국을 36년간이나 무력으로 강점한 일본의 통치와 지배는 국제법으로 어떻게 정의 되어야 하는가? 이 의문에 대해 김 교수는 군사적 강점(belligerent occupation) 개념을 내 놓았다.
러일 전쟁 발발 직전인 1904년 1월 21일 일본은 고종이 선포한 전시(戰時)중립선언을 무시하고 진해만(鎭海灣)에 침입, 진해와 마산을 점령하고 인천에 상륙하여 서울을 점령했다.
대한제국은 중립국의 권리 및 의무로 볼 때 당연히 일본의 이러한 영토 침탈을 군사력을 사용해서 배제시켰어야 한다. 그러나 일본 군대와 맞설 병력이 없는 고종이 어쩔 수 없이 국토와 궁성(宮城)을 점령 당한 것이며 이는 군사적 강점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일제의 한반도에 대한 식민통치 지배와 강점을 군사적 점령으로 본다면 이 기간 동안 일본이 한반도에서 한국의 영토, 국민 및 정부에 대해 행한 모든 법률적 행위는 원천적으로 무효이며, 한국 영토 내에서의 자원 침탈 행위 및 한국민에 대한 강제적 조치들은 불법적 행위로써 일본 제국의 계승국가인 일본 정부에 법률상의 책임을 발생시킨다고 김 교수는 주장하고 있다.
김 교수는 1919년 1월 21일 대한제국의 실체가 소멸된 때부터 시작해서 2차 대전 종결 시까지 한국을 26 년간 군사적 강점한 것으로 해석할 경우 1948년 수립된 대한민국은 대한제국과 국가적 동질성을 유지하는 재수립(resurrected)된 국가가 되는 셈이라고 주장한다.
그 근거로 김 교수는 현행 대한민국 헌법 전문(前文)에서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국민은 3ㆍ1 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ㆍ19 민주 이념을 계승한다.’ 고 명시함으로써 임정(臨政) 건립 이전에 존재한 대한제국이 국가로서 소멸하지 않았다는 전제에서 출발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김용삼 기획 위원>


목차


우리의 불쌍한 황태자 전하
추천사 (김동길 교수)
서문 (대한출판문화협회 회장 백석기)

1 순종은 대한제국의 황제가 아니다
2 일제에 의한 고종 황제 독살 사건
3 일본의 한반도 지배와 통치는 국제법상 군사적 점령에 불과하다
4 대한민국의 국가적 계속성
5 왜 이런 문제를 논의하는가?
6 한일 과거사 문제에 관련된 법적 과제
7 고난에 찬 역사의 이랑 속에서 연단으로 빛나는 한국인의 참된 자화상을 찾아서

저자후기
참고문헌목록
저자 소개
려해연구소 소개

사항 색인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