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작법귀감

작법귀감

  • 백파긍선
  • |
  • 동국대학교출판부
  • |
  • 2010-06-10 출간
  • |
  • 336페이지
  • |
  • 153 X 224 X 30 mm /680g
  • |
  • ISBN 9788978012713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6,2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2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조선 후기 추사, 초의 등과 교류한 당대의 지성 백파 긍선이 집성한 불교의례

『작법귀감』은 조선후기 영조~철종 대의 선승인 백파긍선(白坡亘璇, 1767~1852)이 불교의 제반의식諸般儀式에 필요한 의식문을 편집하여 펴낸 종합의례서이다. 이 책은 1826년(순조 26) 전라도 장성長城 백양산의 운문암雲門庵에서 상하권 2책의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다. ‘작법’은 일반적으로 불가에서 통용되는 의식을 뜻하며 ‘귀감’은 본보기를 뜻하므로, ‘작법귀감’이라는 제목은 말 그대로 불교의 제반 의식에 통용되는 의식문의 모범이요, 규범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저자는 당시 재를 지낼 때 의식문이 일정한 격식이 없이 혼란스럽게 유통되는 상황을 문제로 인식하고, 기존에 있던 의식문의 착오를 교정하고 보충하여 종합적인 의식집을 펴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책은 기존의 의식문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체계화하고 있어 후대의 의식의 집전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받는다. 뿐만 아니라 이 책에서는 사성점보四聲點譜를 이용해 각 의식문의 성음의 높낮이를 사성(平聲·上聲·去聲·入聲)으로 표시하였고, <범례>에서는 각 글자들이 어떻게 불리는가에 대해서 구체적인 예를 들어 소개하고 있어, 당시 의식에서 구연되는 상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소중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 번역은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의 『작법귀감』(1872)과 『한국불교전서』 제10책(동국대학교출판부)의 해당 문헌을 저본으로 하였다.
이 책은 오늘날 통용되는 모든 불교의식 의례집의 근간이 되며, 우리나라 최초의 통합 의식집으로서 그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조선 후기 승원의 불교의식과 절차를 살피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출판사 리뷰>

백파긍선이 펴낸 『작법귀감』은 오늘날 모든 불교의식 의례의 근간根幹이 되는 의식서로서, 한국불교 의례변천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지 않다. 기존에 간행된 다른 의식서와 달리, 『작법귀감』에는 서문이나 협주 등에서 편찬자의 논평이 적지 않게 소개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당대의 현장에서 실행되고 있는 의례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백파가 당대에 생각했던 의식 진행의 문제점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소중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상하 2권에는 통상적인 불전재공의 작법절차인 삼보통청을 비롯한 각종 청문, 대령정의對靈正儀 등 재의식에 필요한 의식절차, 신중약례神衆略禮 등 신중에 관한 의식문, 비구십계比丘十戒 등 각종 수계의식, 분수작법, 새해 아침에 세배하는 의식인 축상작법, 가사이운 등 가사에 관한 의식문을 수록하고 있으며, 불상을 봉안할 때 부처님을 부르는 의식인 불상시창불·시왕번식·시왕각청·구병시식의 등 불교의식에 대한 절차와 방법을 상세하게 수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책은 오늘날 통용되는 모든 불교의식 의례집의 근간이 되며, 우리나라 최초의 통합 의식집으로서 그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조선 후기 승원의 불교의식과 절차를 살피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는 점은 부언을 요하지 않는다.

특히 <범례>에서 밝힌 바와 같이, 글자의 성음마다 4성 체제를 바로잡고자한 노력으로 인해 이 책은 오늘날 불교 음악과 4성 체제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의례는 3단(財施·法施·無畏施)을 갖추고, 이치에 있어서는 6도(布施·持戒·忍辱·精進·禪定·智慧)를 갖추어야 한다.”고 한 것에서, 우리는 백파긍선이 그의 선사상에 근거하여 이 의식집을 재편하였음을 볼 수 있으며, 이는 곧 여타의 의식집과 다른 독특한 점이라 할 수 있다.
부록 <간당론>에서 소개한 간당의식은, 선원에서 입선과 방선을 할 때 마음을 상징하는 장방형의 틀인 간당틀과 중생의 마음을 깨우치기 위해 사용하는 선채라는 법구를 이용하여, 선객들에게 깨우침을 독려하는 한국고유의 묵언작법?言作法이다. 간당은 선원에서뿐 아니라 예불 후 의식으로도 행해졌는데, 예불이 끝난 뒤 설법과 간당, 송주 가운데 하나를 행하는 것이 상례였다고 한다. 이런 의식이 자칫 사라질 뻔 했던 것을 백파의 글로 인해 다시금 재현해 볼 수 있다는 점도 이 책의 가치를 높여주는 대목이다.
현재 세계문화유산의 하나로 등재된 영산재가 연행될 때 일반 대중들은 그 장엄한 광경에 종교적 예술적 감동을 받고 있으나, 각각의 의식에서 현재 불려지는 가사의 내용에 대해서는 전혀 모르고 있고 이에 대한 공연 해설 역시 진행되지 않아 그 의미를 다 이해할 수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각각의 재에 대한 우리말 번역은 장차 영산재 등의 불교의식이 청중과 호흡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초석이 될 수 있다.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한국불교전서역주사업단에서는 한국불교전서에 수록된 모든 불교의식서를 현대어로 번역함으로써 의식연구에 일조함은 물론이고 과거의 문화유산을 현재적 감동으로 받아들이고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간행된 의식집은 작법귀감 한 권에 불과하지만 앞으로 사업이 진행되면서 고려, 조선시대의 모든 의식집을 쉬운 우리말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곧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한글본 한국불교전서를 펴내며 / 5
해제 / 7
일러두기 / 16

권상卷上
작법귀감作法龜鑑 서문 / 18
범례 / 20
삼보를 함께 초청함 三寶通請 ......... 23
관세음보살을 청함 觀音請 ......... 38
지장보살을 청함 地藏請 ......... 43
신중에게 올리는 간략한 예식 神衆略禮 ......... 46
산신을 청함 山神請 ......... 50
혼령을 부르는 바른 의식 對靈正儀 ......... 55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시식에 대한 의식 常用施食儀 ......... 68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혼령에 음식을 올리는 의식 常用靈飯 ......... 81
통용하는 진전 의식 通用進奠式 ......... 84
종사 영가에 음식을 올리는 의식 宗師靈飯 ......... 86
신중에게 올리는 큰 예식 神衆大禮 ......... 92
신중단에 아침저녁으로 하는 작법 神衆朝暮作法 ......... 103
신중의 위목 神衆位目 ......... 106
아미타불을 청하는 의식 彌?請 ......... 113
독성을 청하는 의식 獨聖請 ......... 116
성왕을 청하는 의식 聖王請 ......... 120
조왕을 청하는 의식 ?王請 ......... 127
비구에게 열 가지 계율을 주는 의식 比丘十戒 ......... 131
사미에게 열 가지 계율을 주는 의식 沙彌十戒 ......... 141
거사에게 다섯 가지 계율을 주는 의식 居士五戒 ......... 167
비구니에게 여덟 가지 경계를 주는 의식 尼八敬戒 ......... 170

권하卷下
향을 피우고 수행하는 작법 焚修作法 ......... 177
축상작법祝上作法 ......... 183
가사를 운반하는 의식 袈裟移運 ......... 193
가사를 점안하는 의식 袈裟點眼 ......... 195
가사 통문불袈裟通門佛 ......... 199
불상을 봉안할 때 부처님을 부르는 의식 佛像時唱佛 ......... 200
10대왕에게 공양을 올리는 간략한 예문 略禮王供文 ......... 202
하단의 신들을 관욕하는 법 下壇灌浴■ ......... 220
설주이운說主移運 ......... 225
시왕의 번을 쓰는 의식 十王幡式 ......... 235
삼단을 통합해서 전송하는 법 三壇合送■ ......... 236
나한에게 올리는 큰 예법 羅漢大禮 ......... 242
나한에게 올리는 간략한 예법 羅漢略禮 ......... 253
칠성을 청하는 의식 七星請 ......... 255
다비작법茶毗作法 ......... 264
병든 이를 구원하는 시식 의례 救病施食儀 ......... 292
파손된 불상 및 경전과 가사를 태워 보내는 법 破佛及經袈裟燒送法 ......... 300
순당식巡堂式 ......... 301
시왕을 따로따로 초청하는 의식 十王各請 ......... 306

부록 간당론看堂論 / 316
옮긴이의 말 / 328
찾아보기 / 331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