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호남 구석기문화의 탐구

호남 구석기문화의 탐구

  • 이기길
  • |
  • 혜안
  • |
  • 2018-08-24 출간
  • |
  • 312페이지
  • |
  • 198 X 268 X 22 mm /881g
  • |
  • ISBN 9788984946125
판매가

36,000원

즉시할인가

32,4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2,4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책의 연구사적 의의

한국의 구석기연구는 1964년 이래 80년대까지 공주 석장리유적, 연천 전곡리유적, 단양 수양개유적의 발견과 조사를 계기로 시작되고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며 발전해왔다.
이에 비하면 호남의 구석기연구는 1986년, 주암댐 수몰지역의 지석묘 조사 과정에서 구석기가 처음 발견되면서 비로소 시작되었으니 20년 가까이 불모지였다.
그러나 1995년부터 시작된 보성강유역의 구석기유적에 대한 학술조사, 1996년 호남의 역사가 중기구석기시대로 소급됨을 입증한 순천 죽내리유적의 발굴, 2004년에 국가사적으로 지정된 순천 월평유적의 연차 학술발굴, 그리고 전라북도 최초의 구석기유적인 2000년의 진안 진그늘유적의 발굴이 이어지며, 한국 구석기 연구의 중심이 호남으로 옮겨졌다는 평가까지 받았다.

이 책은 구석기 연구자로서 호남에 첫 번째 교수로 부임한 필자 이기길 교수가 30년 간 호남에서 유적을 찾고 발굴하면서 정리, 분석한 것들 중 국내외 학회지에 발표한 논문과 새로 쓴 글들을 모아 엮은 것이다.
아직까지 전라남도와 전라북도의 구석기문화를 함께 다룬 책은 없으니, 이 책은 호남의 구석기에 대한 첫 번째 종합서로서 지역학 연구의 좋은 사례라고 하겠다. 더불어 앞에 나열한 유적들에 관한 자세한 조사 내용과 거기서 출토한 유물들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구석기인들의 석기제작기술과 원거리교류, 인접한 일본열도의 구석기문화 및 양 지역의 비교 연구, 그리고 중요 유적의 보존과 활용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은 호남의 구석기시대와 문화에 대해 궁금해 하는 독자들의 갈증을 시원하게 풀어줄 것이고, 전문가에게는 호남에서 보고된 유적과 관련 논저에 대한 자세한 정보, 그리고 연구 성과와 경향을 한눈에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
나아가 한국사의 첫 장인 구석기시대를 이해하고 기술하는 데 있어 반드시 참고해야 할 필독서라 할 수 있다.
필자는 호남의 구석기시대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 있어 1차 학술자료인 유물과 유적을 열과 성을 다해 찾고 조사한 연구자이다. 그가 발굴한 유적 중에는 이 책에 서술된 국가사적 제458호로 지정된 순천 월평유적, 그리고 전라남도기념물 제176호와 제238호로 지정된 순천 죽내리유적과 장흥 신북유적이 있다.
거기서 출토한 귀중한 유물들이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되어 지금도 수많은 관람객을 맞이하고 있다. 더욱이 필자는 발굴조사와 연구에 그치지 않고 유적의 보존과 활용에도 큰 관심을 가져왔다.
학술 가치가 뛰어난 월평유적과 신북유적의 주민들이 ‘유적보존회’를 결성하였고, 국가나 도의 ‘지정문화재’로 등록되어 보호되고 있음은 그런 연유에서이다.
이 책은 역사 연구의 기초이자 1차 자료인 유적과 유물의 조사, 이어서 발굴 내용을 정확한 도면과 사진, 읽기 쉬운 문장으로 기술한 보고서의 발간, 다음으로 호남 구석기시대의 편년과 문화에 대한 구체화, 이를 바탕으로 한국 구석기문화의 재구성과 해석, 나아가 일본열도 구석기문화와의 비교 연구를 통한 호남과 한국 구석기문화의 성격과 의미 고찰, 끝으로 우리의 출발이자 뿌리와 이어지는 구석기시대 유적의 보존과 활용 등 ‘구석기 시대 유적을 어떻게 조사 발굴하고, 다른 사례들과 비교 정리하여 어떻게 보존하고 활용할 것인가’라는 문제에 대한 필자의 많은 고민과 그 해답이 담긴 ‘구석기유적 종합 매뉴얼’이기도 하다.
이 책을 읽으면서 독자들은 아프리카에서 기원한 구석기인들과 그 문화가 오랜 시간이 지난 후 지구 반대편 끝인 한국의 서남부에서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었는지에 대한 새로운 사실과 해석을 구체적으로 접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호남의 역사에 관심있는 분들뿐 아니라, 한국사 전공 연구자, 나아가 인접국인 일본, 중국, 러시아 등지의 구석기학자들에게도 한국의 구석기시대와 문화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데 참고되는 충실한 안내서가 될 것이다.


목차


화보
‘호남 구석기문화’ 탐구 4반세기

제1부 연구사
호남 구석기문화의 조사와 연구 성과-1986~2016년?
Ⅰ. 머리말
Ⅱ. 조사 성과
Ⅲ. 연구 성과
Ⅳ. 고찰
Ⅴ. 맺음말
[부록 1] 발굴유적 목록
[부록 2] 지표조사유적 목록

제2부 호남을 대표하는 구석기유적
제1장 순천 죽내리유적-호남 역사의 시원을 중기구석기시대로-
Ⅰ. 머리말
Ⅱ. 지층과 문화층
Ⅲ. 석기갖춤새와 변화상
Ⅳ. 시기 추정
Ⅴ. 맺음말

제2장 화순 도산유적-영산강유역의 중기~후기구석기문화-
Ⅰ. 머리말
Ⅱ. 자연환경과 고고환경
Ⅲ. 지층과 문화층
Ⅳ. 조사 성과
제3장 순천 월평 후기구석기유적-보성강 구석기인들의 아늑한 보금자리-
Ⅰ. 머리말
Ⅱ. 자연환경과 고고환경
Ⅲ. 지층과 문화층
Ⅳ. 돌감과 석기갖춤새
Ⅴ. 유적의 성격
Ⅵ. 맺음말
제4장 장흥 북교리 신북유적-한반도 북부와 일본열도를 잇는 거점-
Ⅰ. 머리말
Ⅱ. 자연환경과 고고환경
Ⅲ. 지층과 문화층
Ⅳ. 절대연대
Ⅴ. 유적의 성격
Ⅵ. 맺음말
제5장 진안 진그늘유적-금강 최상류의 사냥 캠프-
Ⅰ. 머리말
Ⅱ. 지층과 문화층
Ⅲ. 유적의 구조와 기능
Ⅳ. 맺음말
제6장 임실 가덕리 하가유적-섬진강 상류 구석기인들의 터전-
Ⅰ. 머리말
Ⅱ. 자연환경과 고고환경
Ⅲ. 지층과 문화층
Ⅳ. 학술발굴의 내용
Ⅴ. 석기제작소와 뗀석기
Ⅵ. 맺음말

제3부 구석기시대의 석기 연구
제1장 중기~후기구석기시대의 석기 제작기술과 변천
Ⅰ. 머리말
Ⅱ. 돌감 선택
Ⅲ. 떼기 기법
Ⅳ. 도구 종류
Ⅴ. 맺음말
제2장 죽내리유적의 돌감과 석기 만듦새
Ⅰ. 머리말
Ⅱ. 돌감의 종류와 특징
Ⅲ. 돌감과 석기 만듦새
Ⅳ. 맺음말
제3장 진그늘유적의 슴베찌르개
Ⅰ. 머리말
Ⅱ. 연구 대상
Ⅲ. 제작기법
Ⅳ. 형식 분류
Ⅴ. 무게와 크기
Ⅵ. 고찰
Ⅶ. 맺음말
제4장 한반도의 좀돌날석기문화
Ⅰ. 연구사
Ⅱ. 좀돌날몸돌에 대하여
Ⅲ. 좀돌날석기 문화의 양상
제5장 제주도에서 보고된 좀돌날석기
Ⅰ. 머리말
Ⅱ. 좀돌날석기의 정의와 형태 특징
Ⅲ. 주요 유적의 검토
Ⅳ. 고찰
Ⅴ. 맺음말

제4부 한반도와 일본열도의 석기군과 교류
제1장 한국 후기구석기시대 석기군의 종류와 성격
Ⅰ. 머리말
Ⅱ. 기존 견해의 검토
Ⅲ. 대표 유적의 분석
Ⅳ. 석기군의 종류와 성격
Ⅴ. 맺음말
제2장 일본 큐슈의 후기구석기문화
Ⅰ. 머리말
Ⅱ. 큐슈의 후기구석기문화
Ⅲ. 호남과 큐슈의 후기구석기문화 비교
Ⅳ. 맺음말
제3장 일본 토호쿠(東北)지방의 슴베찌르개
Ⅰ. 머리말
Ⅱ. 전형의 슴베찌르개와 형식 구분
Ⅲ. 토호쿠지방의 슴베찌르개
Ⅳ. 고찰
Ⅴ. 맺음말
[부록] 수양개유적, 진그늘유적, 용산동유적 출토 전형 슴베찌르개의 목록
제4장 구석기시대의 한·일간 교류
Ⅰ. 머리말
Ⅱ. 나이프형석기
Ⅲ. 각추상석기
Ⅳ. 석기의 연대
Ⅴ. 맺음말
제5장 Obsidians from the Sinbuk archaeological site in Korea?Evidences for strait crossing and long-distance exchange of raw material?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s and methods
Ⅲ. Source identification of Sinbuk obsidians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제5부 유적의 보존과 활용
제1장 전남지방 구석기시대 유적의 보존과 활용
Ⅰ. 머리말
Ⅱ. 보존 및 활용 방안
Ⅲ. 전망
제2장 순천 월평유적군과 구석기인의 길
Ⅰ. 머리말
Ⅱ. 순천 월평유적군
Ⅲ. 구석기인의 길
Ⅴ. 맺음말
제3장 일본 구석기유적의 보존과 활용
Ⅰ. 머리말
Ⅱ. 대표 사례
Ⅲ. 맺음말

참고문헌
호남 구석기문화의 탐구_ 출전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