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기술법무 길라잡이

기술법무 길라잡이

  • 우치다사메지마법률사무소
  • |
  • 세창출판사
  • |
  • 2015-10-05 출간
  • |
  • 440페이지
  • |
  • 152 X 224 mm
  • |
  • ISBN 9788984115705
판매가

36,000원

즉시할인가

35,64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5,64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많은 회사들이 특허와 관련하여 엄청난 비용을 사용하고 있는데, 기업의 경영자들은 이러한 비용의 실효성에 대해 항상 의문을 제기합니다. 특허책임자는 경영진을 상대로 이러한 비용의 효용성을 효과적으로 설득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중소기업ㆍ벤처기업의 경영자들은 특허가 중요하다는 것은 알고 있는데, 어느 시점에, 어떤 방식으로, 어느 정도의 금액을 특허비용으로 쓸 것인지 항상 주저하고 있습니다.
이 책에 많은 해답이 있습니다. 특허가 비즈니스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기업 경영에서 어떤 역할을 해 왔는지 일본의 많은 기업의 예를 들어 명쾌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특허권 취득은 결국 비즈니스의 성공을 위한 것이므로, 특허로 어떻게 비즈니스의 성공을 이룰 수 있는지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합니다.


목차


제1장 기술법무의 길라잡이
1 시장은 항상 왜곡되어 있다 3
2 기술법무의 길라잡이 7
3 지적재산과 법무를 결합하여 경계 없이 구사할 것 9
4 맺 음 말 13

제2장 지적재산 전략을 실현하다
제1 지적재산전략―이론편 17
1 서 론 17
2 이론의 개략적인 소개 18
(1) 제1이론: 필수특허 포트폴리오론 19
(2) 제2이론: 2축 마케팅 이론 20
(3) 제3이론: 지적재산권 경영정착 이론 21
(4) 제4이론: 기술의 일반화(commodity) 이론 22
3 필수특허 없이는 시장 참여는 불가능하다(필수특허 포트폴리오론=제1이론) 24
(1) 왜 「필수특허 없이는 시장 참여가 불가능하다」인가 ―구체적인 사례 검토를 통하여― 26
(2) 신규 참여자가 시장에 참여하는 방법 29
(3) 소수의 필수특허 보유자 리스크 30
(4) 필수특허 보유자 간 소송의 비즈니스적 의의 31
(5) 기업이 장기간에 걸쳐 지적재산권 취득에 투자하는 비즈니스적 이유 33
(6) 지적재산권의 코스트와 리턴 35
(7) 필수특허 보유자의 분석 36
4 2축 마케팅이론을 구사하여 연구개발(R&D;)에서 지적재산화로 나아가자(2축 마케팅이론 = 제2이론) 38
5 경영상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지적재산 전략이다.(지적재산 경영정착 이론 = 제3이론) 44
(1) 정착의 필요성 44
(2) 「정착」이란 무엇인가 45
(3) 구체적인 검토 47
6 지적재산 전략이론을 이용한 컨설팅 사례 50
(1) 필수특허 취득 프로세스를 이용한 상담 50
(2) 필수특허 포트폴리오론(제1이론)을 이용한 사업 평가 53
7 지적재산이론의 적용 한계(기술의 일반화 이론 = 제4이론) 56
(1) 기술의 일반화란 56
(2) 기술의 일반화를 지표로 다양한 제품의 시장점유율을 분석하다 61
(3) 기술 일반화의 정도를 평가한다 63
(4) 일반화되기 쉬운 제품과 그렇지 않은 제품 69
(5) 연구개발과 사업화에 임할 때 기술의 일반화를 중요한 요소로 고려한다 73
(6) 기술 일반화가 시작된 경우의 사업 전략 74
(7) 기술 일반화 환경 아래에서 지적재산활동 수행방식 76
8 지적재산전략(이론)의 시행―IT서비스업계를 예로 78
(1) 게임업계에서의 특허전략 79
(2) 온라인 광고업계에서의 특허전략 89
(3) IT 서비스업에서의 특허전략 92

제2 지적재산 매니지먼트―사례연구편 94
1 들어가는 말 94
2 일상적 지적재산 매니지먼트 활동 95
(1) 연구ㆍ개발성과로부터 발명(기술적 사상의 창작)을 발굴한다 95
(2) 발굴한 발명에 대하여 특허출원을 할 것인가의 여부 결정(사업 비즈니스 모델과의 적합성ㆍ노하우로의 보호 여부) 105
(3) 특허출원할 것을 결정한 사안에 대하여 “권리행사에 강하게” 특허출원의 서류를 기재한다 126
(4) 권리취득 과정에서의 활동 142
(5) 부분 정리 143
3 해외사업전개를 겨냥한 외국으로의 특허출원ㆍ권리화와 관련한 지적재산 매니지먼트 활동 145
(1) 들어가는 말 145
(2) 총론―해외의 사업전략(비즈니스모델)과 지적재산전략의 융합 145
(3) 각론―해외에서의 특허출원, 특허 취득 시 유의점 147

제3장 이기다! 리걸 프랙티스
제1 실천적 계약서의 기안법 159
1 계약서란 무엇인가? 159
2 계약서의 작성ㆍ검토에 필요한 능력 162
3 소송에서 계약서의 중요성 164
4 계약서의 유무에 따른 구체적인 불이익 169
5 계약서의 검토는 왜 비전문가에게 맡겨서는 안 되는가 171
6 계약서의 작성방법 176
(1) 양식의 함정 176
(2) 사고 과정 177
(3) 맺 음 말 194

제2 특허라이선스 계약 196
1 들어가는 말 196
2 특허라이선스 계약상의 주된 법률관계 196
(1) 계약당사자(①)에 대하여 197
(2) 실시허락대상(②)에 대하여 208
(3) 실시권(③)에 대하여 211
3 특허라이선스 계약에서의 종속된 법률관계 213
(1) 스킴 조항 213
(2) 리스크헤지 조항 228
4 주된 법률관계가 복수인 경우 238
(1) 노하우 라이선스계약 238
(2) OEM 판매계약 249
(3) 독점적 특허라이선스 251
5 맺 음 말 259

제3 비밀유지계약 260
1 비밀유지계약의 의의 260
2 비밀유지계약에서의 주된 법률관계 261
(1) 비밀유지계약에서의 주된 의무 261
(2) 배경이 되는 비즈니스를 고려하여 비밀유지계약을 검토한다 263
(3) 대상정보의 범위 265
3 비밀유지계약에서 종속된 법률관계 268
(1) 스킴 조항 268
(2) 리스크헤지 조항 269
4 비밀유지계약을 체결했다고 안심해서는 안 된다 ① 271
5 비밀유지계약을 체결했다고 안심해서는 안 된다 ② 273
(1) 함부로 비밀정보를 수령하지 않을 것 275
(2) 비밀유지의무기간을 짧게 할 것 276
6 일반 조항 276
(1) 계약기간과 잔존기간 277
(2) 준거법과 재판관할 279

제4 공동개발계약 281
1 공동개발계약이란 281
2 공동개발계약에서 주된 법률관계 282
(1) 주된 법률관계 282
(2) 대상의 특정 283
(3) 분담범위의 특정 286
3 공동개발계약에서의 종속된 법률관계 287
(1) 스킴 조항 287
(2) 리스크헤지 조항 297
(3) 윈윈(WinWin) 조항에 대하여 303

제5 공동출원계약 309
1 공동출원계약이란 309
2 공동출원계약의 주된 법률관계 311
3 공동출원계약의 종속된 법률관계 313
(1) 스킴 조항 313
(2) 리스크헤지 조항 317
4 계약서의 양식 328
5 분쟁을 막는 계약실무 329
(1) 공동출원으로 해야 하는가? 329
(2) 공동출원을 할 때 공유자 지분비율의 결정방식에 대한 유의점 332
(3) 해외특허지분에 대한 유의점 334
6 그래도 분쟁이 생긴다면 335

제6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계약 336
1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계약이란 336
2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계약의 성립을 둘러싼 문제 337
(1) 패키지 소프트의 경우 338
(2) Web에서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할 경우 340
(3)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위탁하는 경우 342
3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계약에서의 주된 법률관계 342
(1) 주된 법률관계 342
(2)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인가? 저작권의 양수인가? 343
(3)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의 경우에 가능한 것 343
4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계약에서의 종속된 법률관계 345
(1) 스킴 조항 346
(2) 리스크헤지 조항 346
5 오픈소스 소프트웨어(Open Source Software, OSS)에 대하여 351
(1)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란 351
(2) 카피레프트(Copyleft) 조항 352
(3) 라이선스의 호환성 등 356

제7 소프트웨어 개발위탁계약 358
1 소프트웨어 개발위탁계약이란 358
2 소프트웨어 개발위탁계약에서의 주된 법률관계 359
3 계약서의 양식 361
4 소프트웨어 개발위탁계약에서의 종속된 법률관계 362
(1) 소프트웨어는 완성되어 있는가? 363
(2) 하자가 있는 경우에는 무엇을 요구할 수 있는가? 367
(3) 벤더는 소프트웨어의 부품을 재사용할 수 있는가? 372
(4) 손해배상조항 381

제4장 기술법무의 진수
[사례 1] 사내 지적재산 매니지먼트 체제를 정비한 예 388
[사례 2] 지적재산의 분석ㆍ컨설팅의 예 391
[사례 3] 공동개발한 회사에서 단독으로 출원된 특허를 되돌린 경우 396
[사례 4] 고객으로부터 특허침해의 염려가 제시된 예 403
[사례 5] 기간계(基幹系) 업무시스템 발주의 기획ㆍ제안 단계에서 서포트한 예 407
[사례 6] 빅데이터 활용 서비스의 프라이버시 문제를 리스크헤지한 예 412
ㆍ USLF의 차별화 416

맺 음 말 419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