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지방분권과 관련하여서는 ① 1987년 이래 현행 헌법이 우리 지방정치과정에 어떻게 작용해왔는지, ② 지방자치개혁의 발전방향은 무엇이고, ③ 계승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가 진행 중이다. 지방자치는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여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의원을 지방선거를 통하여 선출하고 선출된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는 서로 협의하고 논의하여 지역 특성에 맞게 지방자치정책, 지방자치예산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근래에 있었던 초유의 탄핵 정국과 촛불집회에서 보듯이 전국적인 국민참여의 정치변화가 참으로 중요하며, 이와 관련하여 직접민주주의의 실천과정과 그 결과 등이 지방자치발전에도 중요하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그래서 첫째, 청와대정치(대통령과 행정부)의 실패, 둘째, 여의도정치(입법부)의 과제, 셋째, 광화문정치(시민사회)의 승리를 중심으로 요동치는 한국정치의 변화 과정과 19대 대통령 선출 이후 앞으로의 민주적 정치의 과제와 직접참여민주정치의 제도적 과제 등이 무엇인지를 담론 형식으로 정리하는 부분도 설정하였다.
이와 같이 우선 지방자치와 지방분권에 관한 논의를 하고, 이러한 쟁점이 현실적용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충청북도사례로 분석하였다. 즉 지방자치이론과 실천에 대한 관련성을 충청북도 광역자치단체장의 사례를 분석하면서 구체적으로 제시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