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인간 도리, 인간됨을 묻다

인간 도리, 인간됨을 묻다

  • 한정주
  • |
  • 글담
  • |
  • 2018-09-10 출간
  • |
  • 288페이지
  • |
  • 145 X 210 mm
  • |
  • ISBN 9791187147299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3,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인간됨이란 무엇이며,
우리는 지금 얼마나 인간답게 살고 있는가?”

갑질과 혐오가 난무하고 타인의 고통에 무감각한 도덕불감증 사회,
인간이 지켜야 할 기본 도리가 무너지고 있다!

폭언과 폭행으로 인간성의 바닥을 보여준 안하무인격 재벌가의 갑질, 법과 질서를 농단하며 온갖 악행과 비리를 저지르는 고위층에 관한 기사를 접할 때마다 우리는 “인간이 어떻게 저런 짓을!”이라며 탄식하곤 한다. 인간으로서 해서는 안 되는 일, 지켜야 할 최소한의 도리가 무엇인지를 너무나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 기준을 벗어나는 사람을 보았을 때 한마디로 ‘인간 같지 않은 인간’ 또는 ‘짐승만도 못한 인간’이라 한다.
그런데 최근 들어 이 같은 도덕성의 해리는 특수한 몇몇의 문제라기보다는 사회 전체의 분위기로 변해가는 것처럼 보인다. 익명성이라는 이름 뒤에 숨어 댓글로 사회적 약자를 향한 혐오와 원색적 비난을 서슴지 않는 사람, 카페나 식당 아르바이트생에게 무턱대고 반말과 막말을 하는 사람, 계약직 직원을 대놓고 무시하는 정직원, 높은 직급을 이용해 부하 직원을 괴롭히는 직장 상사 등 자기의 부정적인 감정과 욕구를 그대로 쏟아내는 것을 일상적인 일로 여길 정도다. 인간의 가치를 부와 권력으로만 평가함으로써 인간이 인간을 존중하지 않는, 인간성을 상실한 사회가 되어가고 있다.

인간의 형상과 본성을 본떠 만든 한자,
한자를 들여다보면 ‘인간다움에 이르는 길〔道理〕’이 보인다

한정주 작가는 오랫동안 동서양의 고전과 문헌 속에서 현대적 의미와 가치를 재발견해 흥미로운 주제로 엮고 재해석해온 고전연구가다. 연구와 저술을 위해 항상 수많은 한자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한 글자 한 글자를 깊이 들여다보는 일이 많다. 그러다 보니 뉴스나 신문을 통해 사회의 시끄러운 소식을 접할 때나 일상의 여러 가지 문제에 부딪힐 때마다 자연스럽게 그와 연관된 한자를 떠올려 성찰하는 버릇이 생겼다.
한자란 본디 인간의 형상과 본성을 본떠 만든 글자이기에 그 안에는 ‘인간성’이 깃들어 있다. 그렇기에 우리는 한자를 통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어주는 기본 도리’를 발견할 수 있다. 저자 역시 이 점에 주목했고 한자 하나하나의 의미와 구조를 깊이 들여다보며, ‘인간됨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질문하고, ‘인간의 도리란 무엇인가?’에 대해 고민하고, ‘나는 얼마나 인간답게 살고 있는가?’를 성찰했다. 《인간도리, 인간됨을 묻다》는 작가의 그 같은 질문과 고민, 성찰의 결과물이다.

‘부끄러울 치(恥)’는 마음속〔心〕 부끄러움이 붉어진 귀〔耳〕로 드러나는 것을 표현한 글자,
“부끄러운 것을 부끄러워할 줄 모르는 자를 어찌 사람이라 할 수 있겠는가?”

뉴스에 나올 만한 큰 잘못을 저지르고도 끝까지 자신은 죄가 없다고 소리치는 사람들을 보면 ‘부끄러울 치(恥)’ 자를 떠올릴 수 있다. 이 글자는 사람이 부끄러운 마음을 품으면 자기도 모르게 틀림없이 얼굴(귀)로 드러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사람이 대체 얼마나 뻔뻔하기에 낯빛 하나 바뀌지 않고 부끄러운 것을 부끄러워하는 마음조차 없을까? 수치심이 없다면 짐승과 다를 바가 무엇일까?
만약 누군가의 잘못으로 피해를 입어 그 사람을 책망하고 싶을 때는 ‘나무랄 책(責)’ 자를 생각해볼 수 있다. 가시 자(?)와 조개 패(貝)로 이루어진 이 한자는 ‘돈(조개)을 갚으라고 마치 가시로 찌르는 것처럼 추궁한다’고 해서 ‘나무라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당장 화를 내고 싶더라도 잠깐 숨을 고르고 이 한자에 담긴 의미를 떠올린다면 조금은 더 신중하게 행동할 수 있을 것이다.
믿을 신(信)은 사람 인(人)과 말씀 언(言)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인간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덕목은 ‘믿음’이고, 이 믿음의 근간이 되는 것이 바로 ‘말’이라는 뜻이다. 요즘에는 손가락으로 하는 말(SNS, 댓글 등) 때문에도 시끄러운 일이 많이 생기는데, 말을 하기 전에 ‘한번 뱉은 말은 주워 담을 수 없고, 한번 깨진 믿음은 회복하기 어렵다’는 믿을 신(信)에 담긴 의미를 되새겨본다면 좋지 않을까?

“인간은 본성을 거스를 때 더 인간다워진다”
인정이 사라진 각박한 세상에서 자기 성찰을 위한 길잡이 역할을 해줄 책!

‘어른을 공경하고, 아이는 보살피고, 이웃 간에 화목하고, 가진 것은 베풀고, 말과 행동은 경계하라’ 같은 이야기는 누구나 잘 아는 인간이 지켜야 할 기본 도리다. 하지만 세상은 점점 더 인간답게 살기 어려워지고, 심지어 인간답게 살면 오히려 손해라는 생각이 팽배한 게 사실이다. 인정(仁情)이 사라지고, 인간성은 매몰된 각박한 사회로 빠르게 변하고 있다.
타인을 불쌍히 여길 줄 알고, 옳고 그름을 가릴 줄 알고, 부끄러운 것을 부끄러워할 줄 알고, 겸손하여 사양할 줄 아는 것, 즉 측은지심, 시비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이야말로 인간의 기본 도리다. 그리고 이것은 인간을 짐승과 구분해주는 인간만이 지닌 고유한 ‘선한’ 본성이다. 하지만 인간은 욕심과 욕망 앞에 쉽게 흔들리는데 그것 역시 인간이 지닌 ‘악한’ 본성이다. 따라서 인간은 이런 악한 본성은 거스르고 선한 본성은 회복하기 위해 항상 노력해야 한다. 그래야만 인간이 인간다워질 수 있다. 우리가 지금 인간됨과 인간 도리를 돌아봐야 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목차


책을 펴내며 | 인간됨이란 무엇이며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1부| 수치심을 모르는 교만한 사람들에 대하여
恥(부끄러울 치): 부끄러운 마음이 없는 자를 어찌 사람이라 부를 수 있겠는가?
驕(교만할 교): 높으면 높을수록 곤두박질치기도 쉽다
改(고칠 개): 그중 가장 큰 잘못은 잘못이 무엇인지조차 모른다는 것이다
諂(아첨할 첨): 듣기 좋은 말 속에는 언제나 함정이 있다
賢(어질 현): 베풀지 않는 자의 부유함은 결코 오래갈 수 없다
滿(가득찰 만): 그릇은 가득 차면 넘치고, 사람은 가득 차면 반드시 잃는다
錢(돈 전): 돈을 잘 다루면 의로움이 깊어지고 함부로 하면 사람이 멀어진다
弘(넓을 홍): 관대하지 않더라도 옹졸한 사람은 되지 않기를
利(이로울 리): ‘의로운 이익’과 ‘사사로운 이익’
謙(겸손할 겸): 스스로를 낮추면 낮출수록 세상은 우러러본다
惑(미혹할 혹): 혹시나 하는 마음이 재앙을 불러온다
訥(말 더듬거릴 눌): 말만 앞세우고 행동이 그에 미치지 못함을 경계하라
禮(예절 예): 본성과 욕망을 거스를 때 인간은 더 인간다워진다

|2부| 배려심 없는 이기적인 사람들에 대하여
辱(욕보일 욕): 베풀며 모욕하는 것이 베풀지 않는 것만 못하다
嫌(혐오할 혐): 한자에 깊이 새겨져 있는 혐오와 차별의 감정
敵(원수 적): 인정사정 볼 것, 있다
傷(해칠 상): 남에게 상처를 주려면 자기 마음의 괴로움부터 겪어야 한다
仁(어질 인): 자기애는 사랑이 아닌 미움의 감정이다
恕(용서할 서): 내가 하고 싶지 않은 것은 남에게도 강요하지 말라
恩(은혜 은): 베풂에 보답을 바란다면 그것은 거래일 뿐이다
傾(기울 경): 기울어진 마음으로는 한쪽 세상밖에 볼 수 없다
潔(깨끗할 결): 더러움 속에서 깨끗함을 찾고 깨끗함 속에서 더러움을 가려내라
責(나무랄 책): 아무리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남을 나무랄 때는 똑똑해진다
和(화목할 화): 쌀 한 톨을 가지고도 모든 사람을 만족시키려면
義(옳을 의): 이로움을 마주할 때는 의로움을 먼저 생각하라
惡(미워할 오): 움켜쥐려 할수록 쥘 수 있는 것은 줄어들 뿐이다
偏(치우칠 편): 사람 귀가 두 개인 이유

|3부| 고단한 삶 앞에 흔들리는 나 자신에 대하여
善(착할 선): 인간을 가장 인간답게 만드는 길
思(생각할 사): 마음 밭을 가꾸기 위한 아홉 가지 방법
明(밝을 명): 자기 눈으로 자기 눈썹을 볼 수는 없다
完(완전할 완): 완전함을 좇지 말고 불완전함을 긍정하라
益(더할 익): 모자람을 넉넉함이라 생각할 수 있는 여유
悔(뉘우칠 회):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려면
疑(의심할 의): 내 발밑을 불편하게 하는 것은 칼인가, 화살인가, 의심하는 마음인가
靜(고요할 정): 혼탁하고 시끄러운 세상에서 고요하게 살아가는 법
望(바랄 망): 희망에 의지하지 않고, 절망에도 좌절하지 않으며
盛(성할 성): 가장 평안할 때 가장 큰 위태로움을 헤아리다
警(경계할 경): 실수도 결국 자기 자신의 생각과 행동에서 나온 것이다
容(얼굴 용): 말로는 속이기 쉬워도 얼굴까지 속이기는 어렵다
安(편안할 안): 어떤 사람이 삶의 만족을 얻는가?
哭(울 곡): 몸과 마음에 쌓인 감정을 풀어내는 최상의 치료법
苦(괴로울 고): 쓴맛을 견뎌낸 뒤에 맛보는 단맛이 가장 달다
較(견줄 교): 빨리 달리는 말이 새처럼 날지 못함을 부러워하랴
勝(이길 승): 인생의 승패를 가르는 결정적 한 수
智(지혜 지): 앎이 부족해도 마음에 밝음이 있다면
貧(가난할 빈): 자기 철학과 품격이 있다면 가난해도 불행하지 않다

|4부| 타인과 더불어 살아간다는 것에 대하여
寬(너그러울 관): 자기밖에 모르는 세상을 하나로 묶어주는 힘
染(물들 염): 어떤 물을 들이느냐에 따라 운명은 달라진다
孝(효도 효): 마음까지 모시지 않는다면 효를 다한 것이 아니다
寒(추울 한): 마음을 나눌 만한 진정한 벗을 가졌는가
忠(충성 충): 충성이란 맹목적 따름이 아닌 진실로 마음을 다하는 것
?(두려워할 척): 사람의 마음 바뀜을 두려워하되 원망해서는 안 된다
聽(들을 청): 잘 듣는 것만으로도 사람의 마음을 얻을 수 있다
信(믿을 신): 함부로 뱉은 말은 주워 담지 못하듯 한번 깨진 믿음은 회복하기 어렵다
樂(즐거울 락): ‘참된 즐거움’을 누리기 위한 세 가지 조건
面(얼굴 면): 자존심을 세워야 할 때와 굽혀야 할 때는 언제인가
訓(가르칠 훈): 옛사람에게 배우는 가르침의 기술
終(마칠 종): 처음과 끝이 한결같기 어려운 열 가지 이유
猜(시기할 시): 다른 사람의 능력과 지혜를 내게 유익한 것으로 만들려면
難(어려울 난): 현명함이란 말의 어려움을 잘 아는 것이다

도서소개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