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의 삶과 사상, 그리고 한국 사회에서 부르디외의 수용 문제를 성찰적인 관점에서 재조명하는 책. 부르디외 이론을 번역, 소개해온 문화연구자 이상길 교수의 20여 년간의 연구가 농축된 이 책은 부르디외의 삶과 학문 세계를 긴밀하게 연결하며 부르디외가 제시한 사회학적 방법론을 부르디외 자신에게 적용시켜 쓴 새로운 '사회학적 전기'라 하겠다.
한 통계에 의하면, 부르디외는 푸코, 하버마스, 기든스, 고프먼을 훨씬 뛰어넘어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인용되는 사회학자로 꼽혔으며, 매년 다양한 학문 분과에서 부르디외를 인용하거나 부르디외를 다룬 단행본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외국의 현황과는 대조적으로, 부르디외 이론에 대한 국내의 연구 상황은 놀랄 만큼 정체되어 있다.
우리 학계에서 부르디외 사회학을 논의하기 시작한 지도 20년 이상이 지났고, '장' '하비투스' '구별짓기'와 같은 부르디외의 개념들이 일상적으로 쓰이게 되었으며, 대부분의 저작이 우리말로 옮겨져 있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이러한 연구의 지체 상황은 의미심장하다.
이상길 교수는 지식의 역사성과 맥락 구속성, 그리고 현실에 밀착한 연구를 강조했던 "부르디외의 사유 전체가 어떤 면에서는 '지식인과 그의 활동에 대한 급진적인 비판'이자 사회학자로서의 근본적인 자기반성"이었음을 강조하며, 부르디외가 제시한 '성찰적 사회학'이 해외 이론의 생산적 수용과 학문의 탈식민화라는 우리 학계의 장기적인 과제를 위한 '도구'로서도 전략적인 가치를 지닐 수 있다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