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선통신시설은 과거 100여 년 동안 정보통신설비의 밑거름으로 성장하여 오늘날 우리나라가 IT 강국으로 발돋움하는 기초가 되었다. 과거 1980년대 초반은 국내의 전화 회선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더불어 통신선로설비와 전송·교환설비의 투자가 크게 증가하는 시기였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통신설계 전문용역이 탄생하였고, 필자는 설계 용역의 초기부터 오늘날까지 주로 유선통신 엔지니어링 분야에 종사하였으며, 오랜 기간 동안 통신설비의 변화와 발전과정을 현장에서 접하면서 경험하고 배운 설계, 건설, 감리 관련 노하우를 정리하여 이 책을 편찬하게 되었다.
《유선통신설비 설계ㆍ시공 핸드북》소개의 글
이 책은 정보통신설비의 설계와 통신망의 구축 등 선로시설을 다루는 실무자를 위한 이론과 현장에서의 실무를 관련 도면과 함께 구성한 책입니다.
또한 실무경험이 없더라도 기사시험이나 기술사시험을 준비하는 여러분들에게 해당 항목에 대한 내용을 쉽게 이해하도록 각 현장에서의 실무사항을 상세하게 설명하여 수검준비에 유용한 참고서가 되도록 하였습니다.
지금까지 유선통신설비의 선로시설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책이 많지 않은 실정임을 알고 있는 만큼 실무자 여러분에게 꼭 필요한 책이라고 생각됩니다.
책의 내용은 나날이 늘어나는 산업시설과 공공기관 등의 설비시설을 대비하여 ① 네트워크설비, ② 옥외통신설비, ③ 구내통신설비, ④ 기타 통신설비를 중심으로 유선통신설비의 구축기술에 대하여 최대한 넓고 깊게 다루었으며, 여기에 엔지니어링 현장에서 실무경험과 이론을 적용하고 응용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습니다.
또한 유선통신설비의 설계를 위한 기본지식을 전달하기 위하여 관련 법규와 지침, 예규 등을 실례를 들어 설명하였고, 설계도서 작성요령 등을 실례를 들어 구성하였습니다.
이 책은 필자가 그동안 공사 현장에서 접한 여러 실무경험과 축적된 자료 및 know-how를 모두 쏟아 관련 업무를 현장에서 실무를 담당하는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서술하는 한편, 부록에는 약어표와 NCS 능력단위 연관표 및 정보통신공사 시방서를 수록하여 참고하도록 하였습니다.
유선통신설비의 구축기술을 넓고 깊게 다루었다.
유선통신설비 설계를 위한 관련 법규와 지침, 예규 등을 설명
현장의 실무경험과 축적된 자료 및 know-how를 바탕으로 서술
약어표와 NCS 능력단위 연관표 및 정보통신공사 시방서를 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