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Block chain)은 4차 산업혁명을 이끌 핵심 기반기술로 주목받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정부, 금융기관, 글로벌 기업 등이 관련기술 개발 및 활용에 적극적인 상황이다. 세계경제포럼(WEF)은 2025년까지 전 세계 GDP의 10%가 블록체인에 저장될 것이라고 전망을 발표하였으며, 가트너와 WEF는 혁신기술 Top10에 블록체인을 포함하였다. 블록체인의 기반기술은 높은 보안성, 무결성을 제공하는 저장 플랫폼으로써, 비트코인(Bitcoin), 거래정보, 저작권 관리 등 다양한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으며 기존 ICT 시장 인프라뿐만 아니라 공공, 금융기관에 큰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과 함께 금융권의 신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핀테크(Fintech)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기존 금융기관의 수익성 및 신뢰도 하락에 따른 대안적 금융을 필요로 하면서 시작됐으며 영국을 중심으로 미국, 유럽 등에서 시작되어 빠르게 성장하며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인터넷 환경과 인공지능・SNS・빅데이터・블록체인 등의 첨단 ICT가 전통적 금융산업에 융합하면서 새로운 금융기술인 핀테크로 발현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 핀테크 서비스는 결제 및 송금, 대출 및 자금조달, 자산관리, 금융 플랫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통적 금융산업을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방향으로 선도하고 있으며 글로벌 다국적 거대 금융기관에서부터 벤처기업에 이르기까지 비즈니스와 생활 전반에 아우르는 금융의 혁신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블록체인과 핀테크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 기관들의 정보자료를 토대로 분석 정리하여 「블록체인/핀테크 기술/정책동향과 정보보호 분야별 산업 실태분석」을 발간하였다. 본서 제Ⅰ편에서는 블록체인 추진현황, 산업 정책동향 및 활용분야별 사례를 수록하였으며, 제Ⅱ편에서는 핀테크 기술 및 정책 동향, 금융서비스별 현황을 수록하였고, 제Ⅲ편에서는 개인정보보호산업 주요 동향 및 정보보호산업 분야별 현황을 수록하였다. 모쪼록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