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논리는 교재가 필요한 과목이 아닙니다.
PSAT시험은 지식이 아닌, 사고력에 기반한 시험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언어논리에 필요한 교재는 어떤 책일까
스스로에게 끊임없이 질문을 던졌습니다.
그 답으로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고민하고
문장으로 풀어내고 논리를 정리하는 일은 어렵지만 재미있는 작업이었습니다.
이 작업을 통해 스스로도 조금은 성장한 것 같습니다.
이 책을 쓰면서 언어논리 과목에서 저의 역할은 무엇일지 많은 생각을 했습니다.
제가 고민했던 시간들이 여러분에게 도움이 된다면 한없이 기쁠 것 같습니다.
부족한 저를 믿고 책의 출간을 도와주신 분들께도 인사를 전합니다.
고맙습니다.
뚜렷한 목표와 분별력을 가진 수험생을 응원합니다.
이현나 드림
1. 문제에서 답이 도출되는 과정인 [발문-지문-선지]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설명하였습니다.
:PSAT 시험의 특징과 대비법을 설명한 후 지문, 선지에 따라 part를 전개하였습니다. 문제의 실체에 접근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2. 지문의 유형과 효율적인 접근법을 제시하였습니다.
:답의 근거가 되는 지문을 수험적으로 의미 있게 독해하기 위한 접근법을 제시하였습니다. 잘 익히시면 실전에서 시간 단축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3. 선지의 구성법을 설명하였습니다.
:지문에서 선지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원리를 제시하고 이에 맞추어 해설했습니다. 학습 후에는 문제를 풀 때 함정 선지, 헷갈리는 선지가 수월하게 판단되실 겁니다.
4. 답이 도출되는 과정을 가시화하여 제시하였습니다.
:왼쪽엔 문제, 오른쪽엔 해설을 실어 한눈에 학습하기 편하도록 편집했습니다. 또한 해설에는 답이 도출되는 과정을 차례대로 기술하여 답이 도출되는 과정이 보이도록 하였습니다. 이를 반복적으로 읽고 학습하면 사고의 습관을 바로잡을 수 있습니다.
5. 구체적이고 실전적인 해설을 지향했습니다.
:밑줄과 날개를 이용하여 실제 학생들이 궁금해 하고 실수를 많이 하는 포인트를 함께 정리했습니다. 학생들의 답답함을 해소하고 부족한 점을 메우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최근 6개년의 5급공채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시험명이 따로 표기되지 않은 것은 5급공채 시험입니다.
2. 정답 번호를 따로 표시하지 않은 대신 선지마다 모두 ○×를 표시하였습니다. 이것으로 정답 표기를 갈음합니다.
3. 블로그(blog.naver.com/psatlhn)와 이메일(psatlhn@naver.com)을 통해 질문과 상담을 하실 수 있습니다.
4. 후에 발견되는 오타/오류는 블로그에 올려두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