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국역 한재집

국역 한재집

  • 이목
  • |
  • 문사철
  • |
  • 2012-03-25 출간
  • |
  • 542페이지
  • |
  • 148 X 210 mm
  • |
  • ISBN 9788993958454
판매가

35,000원

즉시할인가

31,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1,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다부(茶賦)」의 저자이며 ‘차의 아버지’(茶父)라 불리는 한재(寒齋) 이목(李穆: 1471-1498)의 문집 『한재집』이 전문 연구가 최영성 교수(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 의해 완역되어 나왔다. 한재 이목은 점필재 김종직(金宗直)의 제자로 1498년 무오사화 때 참화를 당한 ‘무오오현(戊午五賢)’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는 28세의 짧은 삶을 살면서 선비정신을 몸으로 보여주었다. 또 유학사상을 심학(心學)의 차원에서 체계화하는 데 힘썼다. 후학들이 그를 성균관 문묘(文廟)에 모시자고 조정에 청원한 사실은 그의 학문적 위상을 짐작하게 한다. 이목은 우리나라 차문화사에도 굵직한 발자취를 남겼다. 그의 「다부」는 초의선사의 「동다송(東茶頌)」과 함께 우리나라 대표적 차노래글의 하나이다. 그는 「다부」에서 차의 오공육덕(五功六德)을 노래하고, 기다(嗜茶)의 최고 경지를 ‘내 마음의 차’로 승화시켰다. 오심지차(吾心之茶)의 다도철학은 그의 차생활이 도학사상에 뿌리를 두었음을 의미한다. 유학자와 차의 관계, 도학과 다도의 관계를 잘 보여주는 것으로, 선가(禪家)의 ‘다선일미(多禪一味)’ 사상과 함께 조명해 보면 더욱 의미가 있을 것이다.


목차


서序

제1부 국역 한재집

『한재집』 해제
『한재집』 중간 서문 | 寒齋集重刊序
서(序)
부賦
1. 홍문관부-서(序)를 아우르다 | 弘文館賦 幷序
2. 여융부 | 女戎賦
3. 입춘부-서(序)를 아우르다 | 立春賦 幷序
4. 허실생백부-서(序)를 아우르다 | 虛室生白賦 幷序
5. 다부(茶賦)-서(序)를 아우르다 | 茶賦 幷序
6. 영주사부 | 永州蛇賦
7. 요가연부
8. 떠나는 사람에게 주다. 차례로 이별하며 부를 짓다 | 贈行次別知賦
9. 삼도부(三都賦)-서(序)를 아우르다 | 三都賦 幷序

오언절구
1. 조여숙과 청일암에서 글을 읽고 판창(板窓)에 쓰다
2. 을묘년(1495) 과거에 급제한 뒤 옥당(玉堂)의 여러 선생들이 ‘청운기초려(靑雲起草廬)’라는 글귀에 차운(次韻)하도록 명하기에 빠르게 짓다 | 乙卯登科後 玉堂諸先生 命次靑雲起草廬韻 走筆

칠언절구
1. 봄날 회포를 써서 불린자 완익(完翼)의 책상머리에 오언절구 연두체(連頭體)를 바치다
2. 압구정에서 『주역』을 읽다 | 讀易狎鷗亭
3. 눈이 갠 뒤 함흥 낙민정에 오르다 | 雪霽登咸興樂民亭
4. 권안대(權安代) 석지(石池) 가에서 계운(季雲)과 밤에 술 마시며 회포를 풀다 | 權安代石池上 與季雲夜飮書懷
5. 딱따구리 | 啄木
6. 영덕현령으로 부임하는 권향지(權嚮之)를 전송하다 | 送權嚮之赴任盈德縣令
7. 봄날 술을 권하며 | 春日勸人酒
8. 향렴 두 수
9. 김인로가 과거에 장원급제함을 축하하다 | 賀金仁老魁科

오언율시
1. 왜 봄인가 | 春所以 二首
2. 가을밤의 느낌 | 秋夜有感
3. 가을날 새벽 달빛 아래 중정(中庭)에서 혼자 술 마시며 회포를 적다 | 秋曙有月 中庭獨酌有懷
4. 산에 들어가다 | 入山
5. 새벽에 청강(淸江)의 여울을 건너다 | 曉涉淸江灘
6. 사제(舍弟) 미지(微之)가 개성으로 독서하러 떠나는데 전송을 하다 | 送舍弟微之之松京讀書
7. 문도(文度) 형의 ‘희우(喜雨)’ 시에 차운하다. 네 수를 주필(走筆)하다 | 次文度兄喜雨韻 四首走筆
8. 을묘년에 공주교수(公州敎授) 이운비(李云飛)를 향교로 방문하다 | 乙卯歲 訪公州敎授李公云飛于鄕校

칠언율시
1. 대마도로 사신을 떠나는 김시정 률을 전송하다
2. 차운오수 | 次韻五首
3. 안상공 침이 조천(朝天)하러 가는 것을 전송하다 | 送安琛相公朝天
4. 자진에게 주다 | 贈子眞
5. 성균관 사성 이문흥과 작별하며 주다 | 贈別李司成文興
6. 양재역 | 良才驛

칠언고풍七言古風
1. 용문산 부담암을 유람하다 | 遊龍門釜潭巖歌
2. 오십운에 창수(唱酬)하여 인로(仁老)에게 바치다 | 酬五十韻 呈仁老
3. 최 대사헌이 강릉으로 돌아가는데 전송하다-서(序)를 아우르다 | 送崔大司憲歸江陵 幷序
4. 지난날을 생각하며 자진에게 다시 주다 | 憶昨再贈子眞
5. 홍언국이 정승을 따라 선릉(先陵)을 배알하러 함창(咸昌)에 가는 것을 전송하다 | 贈別洪?國隨相公, 謁先陵咸昌 一首

사辭
칠보정(七寶亭)에서 연꽃을 감상하며 지은 글 | 七寶亭賞蓮辭

서書
김계운에게 주다 | 與金季雲

계啓
여러 생도들이 죄가 없음을 진정한 계 | 陳諸生無罪啓

책策
1. 천도책 | 天道策
2. 치란흥망책 | 治亂興亡策
3. 인재득실책 | 人才得失策

기記
당명황이 월궁에 노닐었던 일을 적은 글 속편 | 續唐明皇遊月宮記

해解
코끼리가 밭갈고 새가 김맸다는 것을 해설함 | 象耕鳥耘解

송頌
봉황이 조양에서 우는 것을 기림 | 鳳鳴朝陽頌

제문祭文
윤정승 호(尹政丞壕)를 제사하는 글 | 祭尹政丞壕文

발문跋文
1. 원집발 | 原集跋
2. 중간발 | 重刊跋
3. 역해발 | 譯解跋

습유拾遺
『심학장구집주대전』 초 | 心學章句集註大全抄

대고待攷
1.왕자의 제택이 사치스럽고 큼을 진정함 | 陳王子第宅侈大啓
2.절명가 | 絶命歌

사우투증士友投贈
1. 청량사에서 차운(次韻)하여 이목에게 답하다 | 五月十一日在淸凉寺次韻答李穆
2. 이진사 목에게 주다 | 贈李進士穆
3. 이중옹과 헤어지며 주다 | 贈別李仲敬
[부(附)] 화음(華陰)에 떨어져 살며 아이들에게 적어주다 | 華陰索居 書懷示兒輩(其二十一)

제여손헌시弟與孫獻詩
1.사형께서 기화를 거듭 만나 개장(改葬)하게 된 것을 애도하다 | 挽舍兄重遭奇禍改?
2. 증조의 제사를 모시고 느낀 바 있어 짓다 | 祭曾祖忌辰有感而作
3. 삼가 백촌공의 시에 차운하다 | 謹次柏村公韻
4. 삼가 한재 선조의 ‘탁목(啄木)’ 시에 차운하다 | 謹次寒齋先祖啄木詩

묘문墓文
1. 묘표 | 墓表
2. 보유 | 補遺
3. 묘지 | 墓誌

시장諡狀 및 종향소從享疏
1. 시장 | 諡狀
2. 문묘에 종사할 것을 청하는 소 | 請從享文廟疏
3.비망기 | 備忘記

부록附錄
1. 감구유부: 이중옹을 전송하다 | 感舊遊賦 送李仲雍
2. 감구유부 후서 | 感舊遊賦後序
3. 무오사화는 윤필상이 주장한 것이다 | 戊午之禍尹弼商之主張
4. 이목ㆍ김천령의 문학적 명성이 서로 같다
5. 『해동명신록』 이목전 | 李穆傳

연보年譜
한재연구논저총람寒齋硏究論著總覽

제2부 한재 이목론

고고呱呱의 성聲을 울리다
류분과 김종직의 문하에 나아가다
영ㆍ호남 사림이 만나다
사마시司馬試에 급제한 뒤 혼인을 하다
태학생의 리더가 되다
김수손의 수행원으로 중국에 다녀오다
수륙재를 비판하다가 공주에 귀양가다
장원급제하고 사가독서賜暇讀書의 은전을 받다
무오사화의 희생양이 되다
신원伸寃 되고 직언直言의 화신으로 추앙받다
심학心學의 원류를 찾다
「다부」를 지어 다부茶父로 받들어지다

찾아보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