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언어유형론

언어유형론

  • 루빙푸
  • |
  • 한국문화사
  • |
  • 2018-06-25 출간
  • |
  • 356페이지
  • |
  • 176 X 251 X 20 mm /714g
  • |
  • ISBN 9788968176470
판매가

27,000원

즉시할인가

26,19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6,19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중국어 연구자를 위한 언어유형론』은 陸丙甫, 金立? 교수의 『?言?型??程』(北京大?出版社 2015)을 한국어로 옮긴 것이다. 南昌大?의 陸丙甫 교수와 上海外??大?의 金立? 교수는 중국어 유형론 영역에서 선구적인 연구를 이끌어온 대표적인 학자이며, 『?言?型??程』은 현재 중국인 학자가 집필한 거의 유일한 유형론 전문서이다. 陸丙甫 교수는 1990년대 초 인지심리학에 입각한 언어구조 분석으로 학계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이후 현재까지 언어유형론적 관점에서 중국어와 여러 언어를 연구하고 있다. 특히 그가 제시한 의미 근접성(???近), 식별도 우선(可?度?先), 거리-표지 대응 규칙(距?-?志??律), 운율-형태의 비대칭(?律-形?的前后不??) 등의 개념은 이론의 발전으로까지 이어졌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최근의 언어유형론 연구에서는 화용적 기능요소의 작용에 주목하고 있으며, 『核心推??法』(1993), 「作?一??言共性的‘距?-????律’」(2004), 「?序??的?知解????可?度??序的普遍影?」(2005), 『??的?知心理?究』(2010), 「?含?系的??解?模式」(2010), 『?言?型及其功能基?』(출간예정) 등의 성과를 내었다. 金立? 교수 역시 「‘?’‘?’范?的本?特征及其?含共性」(2009), 「?普通?言?和?言?型?角度看??????」(2011)), 「普通?混合?序的?型??据及其?因」(2016) 등의 연구를 통해 언어유형론 연구에 앞장서고 있으며, 2011년에 출간된 저서 『什?是?言?型?』(『언어유형론이란 무엇인가』, 한국문화사 2015)에서 언어유형론의 연구 범위, 내용, 방법 등에 대해서 문답형식으로 소개한 바 있다.
다양한 언어 현상에 존재하는 보편성과 개별성을 규명하는 언어유형론은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화용론, 언어습득 등의 여러 언어학 영역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최근 중국어 연구에도 유형론적 연구방법의 적용이 눈에 띄게 확산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일반언어학과 중국어언어학을 아우르는 유형론 전문서인 『중국어 연구자를 위한 언어유형론』의 출판은 매우 시의적절하다. 이 책은 언어학 제영역의 유형론적 연구방법과 이론을 소개하고, 중국어를 비롯한 다양한 언어 자료 분석을 통하여 유형론의 이론과 적용을 폭넓게 제시하고 중국어의 예를 들어 언어보편성과 개별성을 규명한다. 현재 대부분의 언어유형론 서적이 영어권 출판물에 집중되어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중국어 연구자를 위한 언어유형론』은 앞으로 중국어를 연구하거나 배우는 다양한 독자의 학문적, 실용적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총 12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중국어의 음운, 품사와 어휘범주, 논항, 어순, 의미범주, 소유 구조와 사동 구조, 형태, 시제?상?양태에 반영된 유형적 특징을 이론적으로 해석하고, 유형론적 연구 성과를 의미지도와 현장연구에 적용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또한 학문적 엄밀성과 독자의 편의를 위하여 용어표를 제공하고 있다.
중국어 역사음운론, 음성학, 어휘론, 통사론을 전공한 다섯 명의 역자는 언어학 분야 간의 통합적 연구 및 유형론적 연구방법의 필요성을 공유하고 『?言?型??程』의 번역을 시작하게 되었다. 번역 작업을 하면서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었지만, 중국어의 특성을 유형론적 관점에서 새롭게 배우고 토론하는 즐거움은 번역의 어려움보다 훨씬 컸다. 이 번역서를 통하여 역자들이 느낀 학문적 즐거움이 독자들에게도 전해지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번역을 흔쾌히 허락한 저자 金立?, 陸丙甫 교수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이 책의 출판을 기꺼이 수락해준 한국문화사에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
다음은 이 책의 독자들을 위한 일러두기이다.

i. 인명과 서명은 원어로 표기하였다.
ii. 중국어는 간체자로 표기하고, 한국어의 한자어는 정자를 사용하였다.
iii. 용어표는 다음의 원칙을 따라 작성하였다.
a. 원서에 제공된 용어표를 바탕으로 원서 본문에 사용된 용어들을 추가하였다.
b. 용어표에 포함되었더라도 원서 본문에서 사용되지 않은 용어는 제외하였다.
c. 독자의 편의를 위해 용어표는 한국어-영어-약어-중국어 순으로 배열하였다.
d. 용어표는 본문 뒤 책의 끝머리에 배치하였다.
iv. 언어 색인은 다음의 원칙을 따라 작성하였다.
a. 각 언어에 대한 설명은 Ethnologue, Wikipedia, Omniglot, 百度百科 등 웹사이트의 자료를 참조하여 [역자 주]로 제시하였다.
b. 언어 색인은 [역자 주]에 포함된 언어명을 가나다 순으로 제시하고 괄호 안에 원어를 표기하였다.

* 3장, 5장, 8장은 문영희가, 7장, 9장, 11장은 신수영이, 4장, 5장, 7장, 10장은 이소림이, 서문, 2장, 6장은 이옥주가, 1장, 12장은 이현선이 번역하였다.

[책속으로 추가]
Greenberg는 언어유형론의 발전에 있어 시대의 획을 그은 인물이다. Greenberg 이전의 언어유형론은 인류 언어의 보편성을 추구하고 언어 규칙을 정리하여 여러 언어 현상 간의 상관성을 규명하는 연구가 많지 않은데, 일찍이 Roman Jakobson(1896-1982)이 언어들 간에 존재할 수 있는 세 가지 관계에 대해 제시한 바 있다. 첫째, 언어 현상 A와 B는 상호 존재 조건이 된다. 둘째, 언어 현상 A는 B가 존재하는 조건이다. 셋째, 언어 현상 A와 B는 무관하다. Greenberg는 그 중 두 번째 관계를 강조하였으며 이를 함축 관계(implicational relation)로 발전시켜 현대 언어유형론의 기본적인 기술 방법을 정립하였다. 이 책의 언어유형론에 대한 소개와 논의는 Greenberg 이후의 현대 언어유형론의 입장에서 다룬다.
언어유형론은 형식주의 언어학이나 기능주의 언어학과 같은 특정한 언어관을 지지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언어유형론 학자들은 언어 유형에 대한 연구를 하기 전에 기본적으로 언어와 언어 간에는 차이가 있음을 인정하며, 언어 간 차이의 이면에는 보편성이 내재되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한다. 언어유형론의 발전에 따라 언어유형론 학자들은 점차 언어 개별성과 보편성은 언어 내적 제약과 언어 외적 제약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언어 내적 제약은 주로 화자의 심리적 기제에서 비롯된다. Chomsky(2006:58)가 밝힌 바와 같이 언어는 일종의 심리 현상이기 때문이다. 화자의 심리 기제를 떠나서는 언어 기호가 아무런 의미를 가지지 못한다. 언어 외적 제약은 지리적 제약과 공동체적 제약 및 지리적, 공동체적 제약과 관련된다.
첫째, 언어 내적 제약은 언어 체계가 사람이 언어 기호를 처리하는 심리적 조작 기제의 제약을 받는 것이다. 대뇌의 작용 기제 및 선천적인 조건의 한계, 예를 들어 언어 기호를 즉시 처리할 때 필요한 기억 용량의 한계 등이 있어 언어의 통사 구조는 무한한 확장 없이 일정한 범위 내로 조정될 수밖에 없다. 즉, 어떤 언어의 문장이든지 사람의 즉시 처리능력의 제약을 벗어난 복잡한 통사 구조를 가질 수는 없다.
둘째, 언어 내적 제약은 언어 기호를 처리하는 과정이 본질적으로 대뇌 작용이기 때문에 언어의 해석과 부호화 과정에서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를 거두고자 하는 생물적 본능을 따른다는 것이다. 이러한 본능은 또한 언어의 통사 구조의 제반 특성 또는 표현 형식을 결정한다. 일례로 여러 언어의 문법에서 중간 삽입(center-embedding) 구조를 꺼리는 경향이 있다. 이는 부가 성분은 핵심 성분과 같은 쪽에 위치하려는 경향이 있고 의미 관계가 긴밀한 성분끼리 가까이 있으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의미적으로 관련이 있지만 문법적으로 비교적 거리가 있을 때에는 표지를 사용해야만 한다. 사람의 가치관도 언어에 반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명이 있는 대상을 생명이 없는 대상보다 더 중요시하고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정도의 차이도 언어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언어가 정보 전달을 위해 사용된다면, 정보의 초점과 비초점의 차이, 신정보와 구정보의 차이, 정보의 필요 등급도 언어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언어에 존재하는 이러한 기본 속성들은 현대 언어유형론에서 언어 보편성의 해석에서 더욱 선명하게 드러난다.
학파에 따라 연구 대상에 대한 인식과 연구 방법에 차이가 있다. 언어학 내에서는 형식주의 언어학과 기능주의 언어학의 차이를 볼 수 있다. 언어유형론의 언어관과 연구 방법은 형식주의 언어학 및 기능주의 언어학과 다르다. 형식주의 언어학에서 언어 보편성은 생득적인 심리 문법의 일부이다. 이러한 언어 보편성은 절대적이고 예외가 없으며 생물학적 특성 및 언어 습득과 관련된다. 언어유형론은 사람의 대뇌에서 일어나는 언어 기제에 대해 통일된 견해를 보이지는 않으나, 현재까지의 모든 연구에서 언어에는 다수의 보편성이 존재하고, 확률 상의 함축적 보편성을 지니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보편성에 대한 관점에 있어 유형론과 형식주의 언어학이 엄격한 의미에서 대립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연구 방법에 있어서 언어유형론은 형식주의 언어학에서 사용하는 연역법 또는 순서화된 조작법과 달리 귀납법을 사용한다. 언어유형론의 귀납법은 귀납으로 도출한 명제의 논항 사이에 존재하는 필연적 상관성을 규명한다. 이는 현대 언어유형론의 중요한 연구 방법이다.
형식주의 언어학이 연구 방법에 있어 언어의 형식적인 특징에 주목하고 규칙의 수립을 통한 형식화된 논리적 연역과 추론을 강조한다면, 기능주의 언어학은 구체적인 언어 현상에 대한 관찰을 통해 규칙을 도출하고, 사용자의 감정과 인지, 의사소통의 목적과 환경 등 요소를 통해 규칙을 해석한다. 언어유형론은 범언어적인 비교를 강조하고 부각시키며, 가능한 한 많은 수의 언어 간 비교를 통해 언어의 보편성 및 개별성을 찾고자 시도한다. 유형은 개별성에 기초한다. 왜냐하면 개별성 간의 차이가 서로 다른 유형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유형 간에도 개별성이 존재한다. 그렇지만 개별성은 보편성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기초로 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보편성을 특정 언어의 개별성으로 오인할 수도 있다. 언어유형론에서 보편성과 개별성은 상호 보완적이며, 보편성의 발견은 개별성의 발견의 전제가 된다. 언어유형론은 서로 다른 정도의 상대적인 보편성을 규명한다고 할 수 있다.
언어유형론에서 언어 보편성을 수립할 때 이론적으로 중요한 문제는 가능한 언어 형식과 불가능한 언어 형식을 규명하는 것이다. 그러나 불가능한 언어 형식은 결코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경향성일 뿐이다. 언어유형론은 여러 가지 언어 현상들 사이에 존재하는 함축적 관계, 즉 한 현상이 다른 현상의 존재를 전제로 하는지, 한 현상이 다른 현상의 존재의 필요 또는 충분조건이 되는지의 문제에 주목한다. 함축적 관계는 서로 다른 참조항 간의 상관성이다.
언어 보편성에 대한 기술과 해석에 있어, 형식주의 언어학이나 기능주의 언어학은 주로 한정된 자료의 기술을 통해 보편성을 수립하거나 이론적 가설을 설정한다. 그러나 언어유형론은 대부분 큰 언어 표본에 나타나는 범언어적 현상을 대조하고 기술하여 함축적 보편성을 도출하고 도출한 보편성에 대해 이론적 해석을 시도한다. 이론적 해석은 형식적일 수도 있고 기능적일 수도 있으나, 기능주의를 기본으로 한다(?丙甫, 金立? 2010). 원칙적으로는 이렇지만 제한적인 언어 표본을 바탕으로 제시한 함축적 가설도 배제하지는 않으며, 다시 더 큰 언어 표본을 통해 가설에서 검증으로 이어지는 추론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법은 이미 언어유형론 연구의 특징 중 하나가 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전통은 현대 언어유형론의 선구자인 Greenberg가 제창한 것이다.
만약 언어유형론이 보편성만을 찾기 위한 것이라면, 형식주의 언어학의 목표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언어유형론은 여기서 더 나아가 언어가 왜 이렇게 쓰이는지에 대해 해석하는 것을 이론적 목표로 삼는다. 한 언어가 말소리, 어휘, 통사에 특정 형식을 지니는지, 그 기제는 무엇인지를 해석하는 언어유형론의 관점은 형식주의 언어학 또는 기능주의 언어학과 다르다. 언어유형론은 언어 내부의 함축적 규칙을 추론함으로써 개별 언어의 특징을 해석하는 것을 우선으로 고려한다. 예를 들어 어떤 언어에서 문장의 앞쪽에 동사가 놓이면 그에 상응하는 통사 현상들이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전치사 언어나 절 형식의 관형어가 전치하는 언어도 각각 그에 상응하는 통사 현상이 존재한다. 함축적 규칙은 생물학의 DNA와도 같다. 생물학적으로 서로 다른 종 간의 차이 또는 개체 간의 차이는 유전자의 차이가 결정짓는 것이다. 언어 간의 차이도 언어적 유전자의 차이가 만들어 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개별 언어의 언어적 유전자가 그 언어의 형식적 특징을 결정한다.


목차


서문
韓文版序
한국어판 서문
역자 서문

1장 서론
1.1. 언어유형론
1.2. 전통적 형태유형론
1.3. 언어유형론의 연구 순서
1.4. 소결

2장 말소리와 음운체계 유형
2.1. 분절음 단위와 보편성
2.2. 초분절 음소: 음높이와 강세
2.3. 운율유형론
2.4. 소결

3장 품사와 어휘 범주 유형
3.1. 개방성 품사
3.2. 폐쇄성 품사
3.2.1. 대명사
3.2.2. 명사와 관련된 기능어
3.2.3. 동사와 관련된 기능어
3.2.4. 접속사 및 기타 품사
3.3. 소결

4장 기본 논항의 격 할당 유형
4.1. 기본 논항의 형태 표지 유형
4.2. 동사와 관련된 명사성 성분의 형태적 함축적 보편성
4.3. 통사적 주-대격과 통사적 능-통격
4.4. 소결

5장 어순 유형
5.1. 어순과 관련된 기본 개념
5.1.1. 어순과 어순 단위
5.1.2. 어순과 형태
5.1.3. 기본 어순
5.2. 명사구의 어순
5.2.1. 명사구의 기본 어순
5.2.2. 지시사와 명사
5.2.3. 수사와 명사
5.2.4. 형용사와 명사
5.2.5. 소유 성분과 명사
5.2.6. 관계절과 명사
5.2.7. 복수사와 명사
5.3. 동사구의 어순
5.3.1. 절의 기본 어순
5.3.2. 부정 불변화사와 동사
5.3.3. 동사와 부치사구
5.3.4. 주요 동사와 조동사
5.3.5. 계사와 술어
5.4. 종속절의 어순
5.4.1. 보문소와 종속절
5.4.2. 부사절과 주절
5.5. 어순 보편성에 대한 해석
5.5.1. 우세와 조화
5.5.2. 의미 근접성과 식별도 우선
5.6. 소결

6장 명사 형태 표지의 의미 범주
6.1. 수 범주
6.2. 성 범주
6.3. 인칭 범주
6.4. 소결

7장 소유 구조와 사동 구조
7.1. 소유 구조
7.1.1. 명사적 소유 구조의 부호화 유형
7.1.2. 부호화 형식과 소유주 유정성의 관련성
7.1.3. 부호화 형식과 소유 관계 하위범주의 관련성
7.2. 사동 구조
7.2.1. 사동 구조의 부호화 방식
7.2.2. 사동 구조 부호화 선택의 기타 기능적 요소
7.3. 소결

8장 형태 유형
8.1. 형태유형론의 발전
8.2. 격 표지
8.2.1. 격 표지의 구별 작용
8.2.2. 격 표지 체계
8.3. 일치 관계
8.3.1. 명사, 대명사와 동사
8.3.2. 일치 유형
8.4. 표지 위치
8.4.1. 핵심어/의존어 표지와 표지 위치
8.4.2. 절 구조의 표지 위치
8.4.3. 소유 구조의 표지 위치
8.4.4. 표지 위치의 통합적 유형
8.5. 기타 형태 유형
8.5.1. 접사
8.5.2. 중첩
8.6. 소결

9장 시제, 상, 양태 유형
9.1. 시제 범주 유형
9.2. 상 범주 유형
9.2.1. 공간적 관점상
9.2.2. 시간적 관점상
9.3. 동작 유형, 상황 유형과 상의 관계
9.4. 양태 범주와 부호화 유형
9.4.1. 서법과 양태의 관계
9.4.2. 양태의 분류
9.4.3. 양태의 부호화 방식
9.4.4. 시제-상-양태의 범언어적 보편성
9.5. 소결

10장 이론적 해석
10.1. 함축적 보편성의 기술과 유형론의 기능적 해석
10.1.1. 함축적 보편성과 4분법적 진리표
10.1.2. 가능성 등급
10.1.3. 두 가지 요소의 상호작용
10.2. 언어의 경제성과 도상성
10.2.1. 언어의 경제성
10.2.2. 언어의 도상성
10.3. 6가지 주요 도상성 원리
10.3.1. 말소리의 도상성
10.3.2. 복잡성의 도상성
10.3.3. 순서의 도상성
10.3.4. 의미 거리의 도상성
10.3.5. 식별도 우선의 도상성
10.3.6. 기능 변화와 형식 변화 간의 일치성
10.4. 소결

11장 의미지도
11.1. 의미지도의 기본 개념
11.2. 도표 형식의 의미지도
11.3. 마디-연결선 형식의 의미지도
11.4. 소결

12장 현지 조사와 자료 기술
12.1. 조사 계획과 목록
12.1.1. 조사 계획
12.1.2. 조사 목록
12.2. 언어 표본 수집
12.3. 언어 전사와 주석
12.3.1. 언어 주석의 유래와 발전
12.3.2. 라이프치히 주석 체계 및 이를 계승한 주석 체계
12.3.3. 문법 범주 표식
12.3.4. 중국어를 메타 언어로 하는 주석
12.4. 소결

용어표
찾아보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