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극의 원형을 찾아서 궁중의례

한극의 원형을 찾아서 궁중의례

  • 한국공연예술원(엮음)
  • |
  • 열화당
  • |
  • 2018-07-01 출간
  • |
  • 326페이지
  • |
  • 162 X 233 X 33 mm /698g
  • |
  • ISBN 9788930106184
판매가

45,000원

즉시할인가

45,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5,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궁중의례’와 공연예술을 잇는 아홉 가지 연구
[종묘제례 읽기](신현숙)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종묘제례(宗廟祭禮)’의 구조와 역할을 통해 유교국가인 한국의 제의적 퍼포먼스를 살폈다. [조선시대 의례의 연희자](김종수)는 정치와 형벌보다는 예(禮)와 악(樂)으로 나라를 이끌기 위해 제정한 의례의 연희자들을 면밀히 살펴보고 그들의 활약상을 들여다봤다. [조선시대 궁중의례와 건축공간](조재모)은 정치 무대이자 왕실의 생활공간인 궁궐의 양분된 의미를 짚고, 궁궐건축이 의례규정에 따라 어떻게 변모하고 운영되는지 상세히 밝혔다. [조선시대 제사음악에 담긴 유학사상](송지원)은 각종 제사의례에서 연행되는 악가무(樂歌舞)를 들어 그 음악이 하늘과 땅 그리고 인간과 맺는 고유의 관계를 고찰했다. [궁중의례의 복식미](백영자)는 신분제도에 따라 분화된 복식의 미를 그 특성과 상징으로 정리하고, 색채와 율동 등 세분화한 미적 특성의 보기로 궁중의례복을 소개했다. [빈례를 통해 본 조선시대 궁중 술문화](김종애)는 사신에 관한 예식을 기록한 항목인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빈례]를 통해 술에 관한 주례(酒禮) 의식과 조선시대의 외교를 그 예(禮)의 순차적인 과정으로 설명했다. [『화성봉수당진찬연(華城奉壽堂進饌宴)』에 드러난 음주의례의 특징](김상보)은 화성(華城, 수원) 봉수당(奉壽堂)에서 열린 진찬연(進饌宴)이 검약정신에 따른 접대의식이라는 점을 명확히 밝혀 절도를 지키는 규범의 가치관을 제시했다. [조선시대의 궁중상화](김태연)는 연회의 성격을 막론하고 쓰였으나 그 쓰임과 종류, 용어 등 문화재적 사료가 거의 남아 있지 않은 상화(床花, 綵花)를 소개했다. [중세 한ㆍ중ㆍ일 궁정의례와 연희](윤광봉)는 시대별 나라의 사정에 기반한 연희사라 할 만큼 송과 고려, 헤이안시대 일본의 연희가 불교와 더불어 발전되는 궁정문화예술을 진면목을 보여 준다.

우리다움의 뿌리를 찾아서
“‘자연스럽다’라는 건 나의 범주를 뛰어넘어 ‘우리’라는 개념에 적용되며 문화는 가장 ‘우리다울 때’ 한 민족의 삶의 그릇을 만들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공연예술원의 양혜숙(梁惠淑) 이사장은 ‘세번째 책을 펴내며’ 이렇게 말하고 있다. 이것은 “‘우리의 뿌리’와 ‘우리의 정서’가 어떠한 전통 속에 각인되어 있는지에 대해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느낀 각성에 다름 아닐 것이다. 즉 우리의 원형(原形), 그중에서도 공연예술이 깊게 뿌리내리고 있는 우리 전통의 의례를 ‘한극의 원형을 찾아서’ 기억하는 이 노력은 한국공연예술원의 궁극적 목표인 우리 정신문화의 기원을 다방면으로 재조명하는 가치있는 작업들일 것이며, 이것을 우리는 ‘우리다움의 여정’을 통해 새삼 깨닫게 된다.

한편 우리 문화의 뿌리를 찾는 대단원으로서 ‘전통과 응용’을 주제로 네번째 권이 곧이어 출간될 예정이다.


목차


세번째 책을 펴내며?-?양혜숙
A Summary Searching for the Roots of Korean Performing Arts: Royal Court Ceremonies
서설 / 궁중의례와 연희예술?-?윤광봉

종묘제례 읽기?-?신현숙
들어가는 말 / 종묘제례의 구조와 절차 / 종묘제례악: 제의적 연행 / 종묘제례의 유교적 담론 / 맺는 말

조선시대 의례의 연희자??-?김종수
들어가는 말 / 오례(五禮)와 악(樂) / 의례(儀禮)의 연희자 / 맺는 말

조선시대 궁중의례와 건축공간?-?조재모
의례와 건축공간 / 조선의 궁궐: 의례공간으로의 재정비 / 조선 궁궐의 운영규범, 『국조오례의』/
가장 화려한 궁중의례 진연례: 의례와 공간의 융통성 / 맺는 말

조선시대 제사음악에 담긴 유학사상?-?송지원
들어가는 말 / 조선시대의 유교적 국가제사 / 사천(祀天)의례와 음악 / 제지(祭地)의례와 음악 /
향인귀(享人鬼)의례와 음악 / 맺는 말

궁중의례의 복식미?-?백영자
들어가는 말 / 궁중의례 참여자의 복식 / 궁중의례 복식의 미적 특성 / 맺는 말

빈례를 통해 본 조선시대 궁중 술문화???-?김종애
들어가는 말 / 외국 사신을 접대하는 연향과 주례 / 사신 통과지역에서 접대 연향과 주례 /
사신 연향의 주례 특징과 의의

『화성봉수당진찬연(華城奉壽堂進饌宴)』에 드러난 음주의례의 특징?-??김상보
들어가는 말 / 검약정신을 따른 [봉수당진찬연] / 맺는 말

조선시대의 궁중상화??-??김태연
들어가는 말 / 궁중의례와 상화 / 봉수당진찬례 / 맺는 말

중세 한ㆍ중ㆍ일 궁정의례와 연희?-???윤광봉
들어가는 말 / 한중일의 사정 / 천자의 나라 고려 / 송대의 궁정과 악가무 / 중세 일본의 궁중과 악가무 /
고려의 사직제와 악무 / 맺는 말

주(註)
참고문헌
필자 약력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