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러시아 연방의 고려인 역사

러시아 연방의 고려인 역사

  • 박종효
  • |
  • 선인
  • |
  • 2018-06-10 출간
  • |
  • 399페이지
  • |
  • 160 X 235 X 27 mm /709g
  • |
  • ISBN 9791160681826
판매가

32,000원

즉시할인가

31,04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1,04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조선인의 러시아 이주사
Ⅰ. 조·러 국경 성립과 조선인 러시아에 이주
1. 조·러 두만강 국경 성립
2. 조선인은 우쑤리 지방의 옛 원주민
3. 러시아 영토가 된 우쑤리 지방에 조선인 최초 이주
4. 러시아 연해주에 조선 이주민 마을 출현
5. 함경도에 홍수와 흉년으로 대규모 난민 발생
6. 기근(饑饉)에 지친 난민 행렬과 참사(慘事)사건
7. 아무르주에도 조선 이주민 마을 출현
8. 남부 우쑤리 3개 관구의 조선인 마을
9. 조선인 임금 노동자(賃金勞動者)의 증가
10. 이주민이 수확한 농산물을 러시아군에 납품
11. 러시아어 교육과 정교회에 입교
12. 한까이, 수이푼, 수찬의 조선인과 정교회
13. 아무르주의 조선인 이주민 실정과 정교회 선교활동
14. 연해주의 조선인 이주민에게 러시아화 정책

Ⅱ. 조·러 육로통상 조약과 이주민 문제
1. 조선 이주민 국적문제와 거주증명
2. 유럽지역의 러시아인 이주민과 조선 이주민 차별
3. 조선 이주민 3개 그룹으로 분류(1890년)
4. 제2, 제3 그룹에 속한 조선 이주민 추방
5. 두홉스끼 총독의 우호정책과 조선 이주민
6. 러시아에 한인 이주민 다시 증가
7. 한인 자치(自治) 면(面) 구성
8. 러시아에 귀화한 한인의 마을
9. 얀치해면(Янчихинская волость)의 현황(1906년)

Ⅲ. 러·일전쟁과 한인의병
1. 러시아에 한인 정치망명가
2. 1906~1910년에 한인 이주민 급증(急增)
3. 연해주 까자끄 마을의 한인(1910)
4. 아무르주 한인 마을(1910)
5. 바이깔 동부주(자바이깔주)의 한인 남녀(1910)
6. 1910년 연해주의 한인 거주지와 인원
7. 운떼르베르게르 총독의 한인 배타정책과 곤다찌 총독의 우호정책
8. 비우호적인 한인 정책 폐지로 다시 이주민 증가
9. 한인 집단 거주지와 생활 형편
10. 지역 농지면적과 인구 비례에 의한 분여지 배정
11. 한인 이주민 중에 성공한 사업가 출현
12. 비귀화 한인 이주민과 분여지 문제
13. 한인이 재배한 농작물 종류와 그 재배 면적
14. 한인 양잠업자, 어민, 광부
15. 귀화 한인 학교 설립
16. 블라디보스또끄가 한국 독립운동의 중심지로 부상

제2장 러시아 한인 독립활동과 사회주의 운동
Ⅰ. 러시아 한인의 독립운동
1. 고종 러·일 평화회담 직전에 러시아에 특사 파견
2. 러·일 평화조약과 한인 의병부대
3. 헤이그(Hague) 특사 평화클럽에서 독립호소

Ⅱ. 무장 독립투쟁
1. 초기 의병활동을 러시아 당국이 묵인
2. 한·러 국경 부근에서 한인 의병활동 금지
3. 러시아 한인 이주민 사회에 친일 일진회 침투
4. 하얼빈 역에서 안중근 의거와 러시아 한인 이주민 사회
5. 한인 창의소(倡義所, 13도 의군) 창설과 목적
6. 성명회(聲明會)의 한일병합 반대 운동
7. 밀정(密偵)의 암약과 러시아 당국의 독립운동 금지
8. 권업회(勸業會)의 창립
9. 블라디보스또끄에 대한광복군정부 설립

Ⅲ. 미주(美洲)지역 독립운동단체 러시아에 진출
1. 미주의 ‘대한인국민회’ 러시아 지회 결성
2. 한글판 ?대한정교보? 발행
3. ‘대한인국민회’ 활동 금지와 ?대한정교보? 폐간

Ⅳ. 러시아 혁명과 한인의 독립운동
1. 2월 혁명 이후 고려족회(高麗族會) 발족
2. 고려인의 호칭과 고려족회의 활동
3. 한인계 러시아 여성 김-스딴께비치의 활동과 이동휘의 사회주의자로 전향
4. 김-스딴께비치의 과업과 한인사회당
5. 한족회(韓族會)의 결성
6. 대한국민의회 파리 강화회의에 대표단 파견
7. 쏘베뜨 러시아 정부의 한인 국민회 조직을 권장
8. 대한국민의회의 독립선언
9. 레닌과 박진순
10. 대한국민의회와 상해 임시정부와의 통합실패
11. 상해 임시정부 친미파와 친소파로 양분
12. 뽀따뽀프(А.С. Потапов)의 공작과 이동휘의 활약
13. 극동공화국에 다시 돌아온 끄라스노쇼꼬프
14. 러시아 자유시에서 ‘대한독립군단’ 참변
15. 남만 삼천과 독립군 김경천의 최후

제3장 러시아 극동 거주 한인 강제 이주
Ⅰ. 집단 이주시행
1. 제정 러시아 시대의 한인 집단이주
2. 소연방 초기 극동 국경지대의 한인 이주 계획(1937년 이전)
3. 일본의 중국 침략과 스딸린의 한인 이주계획 발표

Ⅱ. 소연방 한인 특별(강제) 이주 시행
1. 소연방 인민위원회와 전 소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 결의
2. 이주 통고를 받은 고려인의 반응

Ⅲ. 고려인 중앙아시아로 강제 집단수송
1. 제1차 수송열차
2. 수송열차의 실정(황 신겔(Хван Сын-Гер)의 증언을 중심으로)
3. 강제 이주지역을 국경지대에서 전 극동지역으로 확대
4. 제2차 수송열차
5. 제3차 수송열차
6. 고려인 교육대학(사범대학)과 문화시설 이전문제
7. 이주민 생활 대책과 보상금 지급 문제
8. 독·소(獨·蘇)전쟁과 고려인
9. 중앙아시아의 고려인 노동군으로 징집(徵集)
10.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고려인 현황
11. 15개 공화국으로 형성된 소연방 대 제국의 붕괴
12. 스딸린 치하에서 탄압받은 고려인의 복권

참고 문헌과 문서보관소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