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의 가장 확실한 트렌드 ‘초소형’
21세기 공간 혁신은 부동산의 미니멀화를 앞당기고
4차 산업혁명과 ICT의 발전은 도시와 농촌의 사용법을 뒤바꾼다
앞으로의 부동산 투자에 대한 놀랍도록 명쾌한 해답!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은 거대한 변곡점을 거치고 있다. 인구는 줄어들고 출산율은 떨어지는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었으며,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솔로 이코노미 시대를 맞고 있다. 여기에 4차 산업혁명과 ICT 기술이 결합하여 공간에 대한 재해석과 혁신이 이루어지고 있다. 공간의 개념이 바뀌면 기존에는 없던 새로운 개념의 부동산이 생겨난다. 쓸모없던 땅이 새로운 가치를 부여받아 멋진 상품으로 재탄생하는 것이다. 이는 무의미한 ‘크기’와 ‘규모’ 시대가 끝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돈에 대한 ‘촉’이 남다른 이들이 작은 부동산, 초소형 부동산에 관심을 갖고 투자에 나서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초소형 부동산이 매력적인 또다른 이유는 선택지가 다양하다는 데 있다. 자신에게 주어준 투자금과 목적, 취향에 따라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이 책은 이제 누구나 부동산 투자를 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2015?2018년의 부동산 과잉 시대와 향후 부동산 투자 상품의 변화를 제시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1부에서는 왜 지금 투자자나 부자, 일반인들이 초소형 부동산에 주목하는가를 살펴보았다. 초소형 부동산 인기 실태, 시장 트렌드 변화, 초소형 부동산 거래량 등을 주목했다.
2부에서는 1?2인 가구 증가와 초소형 부동산 열풍, 이것이 시사하는 바를 점검했다. 늘어나는 주거비 부담, 외국인 가구 증가, 월세제도 문제점 등도 살펴본다.
3부에서는 아파트에서 농지까지 초소형 부동산 옥석 찾기와 인구 고령화 시대 투자 유형 변화 그리고 초소형 주거시설, 초미니 상가, 자투리 땅 등에 대한 실투자 등을 짚어보았다.
4부에서는 지근 당장 시작하는 초소형 부동산을 주제로 선진국의 미니 주거시설 건립 붐, 한국의 초소형 부동산 투자 적지와 시기, 인구 고령화 시대에 인기를 끌 초소형 부동산 상품을 분석했다.
부록에서는 소형부동산에 투자해 성공한 이들을 살펴보았다. 성공한 이들 중에서는 다른 부동산 상품에 투자를 하지 않은 것에 대한 아쉬움도 드러낸 이들이 있었다. 가지 않은 길에 대한 아쉬움일 것이다.
안정적인 현재와 미래의 노후생활을 생각한다면 부동산 재테크는 일반인들이 관심을 가져야 할 필수불가결한 덕목이다. 이 책을 통해 시장의 흐름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삶의 질’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 재테크의 기회를 잡기 바란다.
· 왜 지금 초소형 부동산인가 ·
1. 인구와 가구변화가 초소형 부동산 열풍을 이끈다
고령화와 낮은 출산율로 인해 1인 가구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주거형태가 갈수록 미니멀화하고 있다.
2. 땅값이 올라갈수록 작은 부동산의 가치는 올라간다
가용 가능한 땅값이 올라갈수록 초소형 주택은 건설비용과 주거비 부담을 낮추기 때문에 가치가 올라간다.
3. 4차 산업혁명과 ICT의 발전으로 공간 혁명이 일어난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도심의 노후 주거시설, 자투리땅 등이 각광받으며 투자 1순위로 떠오른다.
4. 도심은 물론 교외의 가치가 상승한다
4차 산업혁명이 산업입지와 도시 공간을 전면적으로 재편시키면서 도심과 교외 모두가 일자리와 주거의 중심축으로 변화한다.
5. 정부의 정책 역시 초소형 부동산을 장려한다
인구변화는 정부정책의 방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잣대이고, 따라서 초소형 부동산을 장려할 수밖에 없다.
6. 작은 부동산은 누구나 쉽게 투자할 수 있다
아파트와 상가, 오피스텔, 도심형 생활주택, 교외의 자투리 땅 등 초소형 부동산은 종류는 다양하다. 직장인이나 주부, 은퇴예정자 등 누구나 쉽게 투자하고 가치를 높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