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자나무

한자나무

  • 랴오원하오
  • |
  • 아템포
  • |
  • 2015-06-26 출간
  • |
  • 328페이지
  • |
  • ISBN 9788954636643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6,000원

즉시할인가

14,4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4,4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일러두기 / 책을 읽기 전에 알아두면 좋은 배경지식 / 추천의 글
한자나무에 대한 간단한 소개 한자나무가 사용한 부호 설명 / 그림 문자의 해설 형식 / 한자의 비밀을 검증하는 원칙 / 갑골문으로 한자 시스템을 충분히 만들 수 있을까?

제1장 人
태아기
巳(뱀·태아 사) / 妃(왕비 비) / 包(쌀 포) / 祀(제사 사) / 示(보일 시) / 起(일어날 기) / ?(아름다울 이, 즐거워할 희) / 熙(빛날·희락할 희)
유아·아동기
젖을 먹는 아기 / 아이는 보호가 필요하다 / 글쓰기로 시작하는 학습 / 머리가 아래쪽을 향하고 다리가 위쪽을 향한 아이 / 아들과 손자 / 눈을 깜박할 때마다 한 마디씩 자라다
子(아들 자) / 孔(구멍 공) / 乳(젖 유) / 仔(자세할·어릴 자) / ?(어리석을 매) / 保(지킬 보) / 孚(믿음직할 부) / 存(있을 존) / 了(마칠 료) / 孑(외로울 혈) / ?(짧을·왼팔 없을 궐) / 字(글자 자) / 學(배울 학) / 覺(깨달을 각) / 敎(가르칠 교) / 孜(힘쓸 자) / 疏(소통할 소) / 流(흐를 류) / 毓(기를 육) / 育(기를 육) / 棄(버릴 기) / 充(채울 충) / 孕(아이 밸 잉) / 好(좋을 호) / 孫(손자 손) / 孟(맏 맹) / 季(끝·계절 계) / ?(혜성 패, 노할 패) / 勃(일어날·노할 발) / 悖(거스를 패)
성인기
노쇠기
노인을 보살피는 것이 ‘孝’이다 / 나이는 지혜를 쌓는다 / 불로장생의 염원
老(늙을 로) / 孝(효도할 효) / 考(생각할 고) / 耆(늙을 기, 이룰 지) / 壽(목숨 수) / 禱(빌 도) / ?(늙은이 모) / ?(늙은이 질)

제2장 사람의 자세 변화
두 발로 선 사람
눈을 크게 뜨고, 입을 벌리고 말하다 / 머리와 관계있는 한자 / 사람과 빛 / 도기를 잘 만드는 사람 / 양을 치는 사람 / 얼굴을 어떻게 묘사했을까 / 귀신의 외모 / 모자를 벗는 사람
見(볼 견) / 覓(구할 멱) / 兄(맏 형) / 祝(빌 축) / 兌(바꿀 태) / 稅(세금 세) / 閱(볼 열) / 兒(아이 아) / 兀(우뚝할·평평할 올) / 元(으뜸 원) / 冠(갓 관) / 寇(도적 구) / 完(완전할 완) / 光(빛 광) / 亮(밝을 량) / 堯(요임금 요, 높을 요) / 燒(사를 소) / 羌(오랑캐 강) / 貌(모양 모) / 兇(흉악할 흉) / 鬼(귀신 귀) / 畏(두려울 외) / 免(면할 면) / 娩(낳을 만) / 勉(힘쓸 면) / 晩(늦을 만) / ?(토끼 토) / 逸(편안할·달아날 일) / ?(원통할 원)
무릎을 꿇고 앉은 사람
허리를 굽히고 무릎을 꿇은 노예 / 무릎을 꿇고 앉은 사람 / 마주 보고 있는 사람 / 말을 모는 사람 / 웅크리고 앉은 사람 / 단 위에서 주인의 시중을 드는 하인
令(하여금 령) / 聆(들을 령) / 服(옷 복) / 印(도장 인) / 抑(누를 억) / 報(갚을 보) / 邑(고을 읍) / 肥(살찔 비) / 巴(꼬리·땅 이름 파, 바랄 파) / ?(진휼할 휼) / 즉(곧 즉) / 卿(벼슬 경) / 鄕(시골 향) / 卯(토끼 묘) / 柳(버들 류) / 留(머무를 류) / 貿(무역할 무) / 聊(애오라지 료) / 昴(별 이름 묘) / 劉(죽일 류, 성씨 류) / ?(나 앙) / 迎(맞을 영) / 午(낮 오) / ?(풀 사) / 御(거느릴 어) / 秦(진나라 진) / 犯(범할 범) / 氾(넘칠 범) / 危(위태할 위) / ?(누워 뒹굴 원) / 卷(책 권, 말 권) / 巽(부드러울 손) / 選(가릴 선) / 饌(반찬 찬, 지을 찬) / 撰(지을 찬)
누운 사람
가로눕혀진 시체 / 누워서 쉬는 사람 / 꼬리와 엉덩이
死(죽을 사) / 屍(주검 시) / 尺(자 척) / 局(판 국) / 屠(죽일 도) / 居(살 거) / 屋(집 옥) / ?(샐 루) / 屛(병풍 병) / 犀(무소 서) / 尿(오줌 뇨) / 屈(굽힐 굴) / 尻(꽁무니 고) / 殿(대궐 전) / 臀(볼기 둔)
다른 사람과 상호 작용을 하는 사람
다른 사람과 상호 작용을 하다
比(견줄 비) / 皆(다 개) / 庇(덮을 비) / 北(북녘 북, 달아날 배) / 乖(어그러질·얌전할·영리할 괴) / 化(될 화) / 貨(재물 화) / 訛(그릇될 와) / 尼(여자 중 니)
사라져서 안 보이는 사람
떠도는 사람 / 도망친 사람 / 뭔가를 잃은 사람
?(빌 개) / 曷(어찌 갈) / 望(바랄 망) / 罔(그물 망, 속일 망) / ?(망할 황) / 盲(눈 어두울 맹) / 忘(잊을 망) / 喪(상사 상)
입을 크게 벌리고 숨을 내쉬는 사람
입김을 부는 사람 / 침을 흘리는 사람 / 고개를 돌리는 사람
吹(불 취) / 歌(노래 가) / 飮(마실 음) / 炊(불 땔 취) / 欣(기쁠 흔) / ?(침 연) / 羨(부러워할 선) / 盜(도둑 도) / 次(버금 차, 머뭇거릴 차) / 欲(하고자 할 욕) / ?(목멜 기) / 旣(이미 기, 쌀 희) / 肄(익힐 이) / 疑(의심할 의) / ?(일찍이 참, 바꿀·쇠할 체) / 愛(사랑 애)
땅을 떠나지 못하는 사람
흙 위에 선 평범한 사람 / 흙을 빻는 사람
呈(드릴 정, 한도 정) / 聖(성인 성) / 聽(들을 청) / 廳(관청 청) / 廷(조정 정) / 庭(뜰 정) / 淫(음란할 음) / 任(맡을 임) / 妊(아이 밸 임)
이웃 국가의 국민
변경의 이웃 국가 / 물에 가라앉는 사람 / 이웃 국가의 깃발
方(방위 방) / 旁(곁 방) / 邊(가

도서소개

『한자나무』는 나무 모양의 그림으로 한자의 파생 관계를 알려준다. 이 관계도를 이용하면 외국인이나 아이에게 한자가 파생되어 만들어지는 재미있는 이야기를 소개할 수 있다. 한자나무는 가장 간단한 방식으로 한자의 발전 맥락은 물론 부수까지 배울 수 있는 도구이고, 더불어 중국 문화의 정수까지 맛보게 해준다.
지금, 한자에 관한 모든 상식이 파괴된다!
‘사람[人]’에 관한 한자 500자의 기원을 다시 쓴다!


뼛속까지 ‘이공계 사람’인 정보학과 교수가
10여 년간 갑골문을 연구해 내놓은 新한자해설서!



전기기계학과를 졸업하고 컴퓨터에 정통한, 뼛속까지 ‘이공계’인 사람이 문자학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면 어떤 결과가 나오게 될까? 대만 국립 타이베이 상업기술대학에서 현재 정보학과 부교수로 있는 저자 랴오원하오(廖文豪)는 이공계 출신임에도 지난 10여 년 동안 갑골문이나 금문(金文) 등 중국 고문자에 심취해 연구해왔다.
저자는 지금까지 쌓인 중국 고문자 학자들의 연구결과를 따라가며 공부했지만, 하면 할수록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많았다고 한다. 일례로 부수(部首)는 한자를 구성하는 일부분이자 대부분의 한자가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자를 분류할 때 중요한 기준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부수가 똑같더라도 반드시 서로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완전히 다른 한자이지만 그 변천과정을 보면 아주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들도 많았다
그래서 저자는 자신의 주특기인 컴퓨터의 정보처리 기능을 활용해 한자들 사이의 연관관계를 계통화하면서 한자의 기원을 쉽고 설득력 있게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했고, 그 결과로 ‘한자나무’라는 한자의 파생 관계도를 만들어냈다. ‘한자나무’ 파생 관계도는 저자가 갑골문 및 금문 등 고문자를 토대로 새롭게 만든 ‘그림 문자’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그림 문자는 현대 한자를 쉽게 연상시켜 한자 학습에도 큰 도움을 준다. 신간 《한자나무》(랴오원하오 지음, 김락준 옮김, 아템포 역간)는 이러한 저자의 10여 년간의 중국 고문자 연구 결과를 엮은 것으로, 특별히 ‘사람[人]’과 관련 있는 한자 500자의 기원을 정리했다. 책은 대만에서 2012년도에 1권이 출간된 이후 현재까지 시리즈로 4권까지 출간될 만큼 대만과 중국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한자나무’는 나무 모양의 그림으로 한자의 파생 관계를 알려준다. 이 관계도를 이용하면 외국인이나 아이에게 한자가 파생되어 만들어지는 재미있는 이야기를 소개할 수 있다. 한자나무는 가장 간단한 방식으로 한자의 발전 맥락은 물론 부수까지 배울 수 있는 도구이고, 더불어 중국 문화의 정수까지 맛보게 해준다. 독자들은 한자나무를 통해서 모든 한자의 부수가 가지는 뜻을 알 수 있고, 또한 한자에 숨어 있는 고대 문명을 이해할 수 있다. _본문 20쪽, ‘한자나무에 대한 간단한 소개’ 중

저자는 파생 관계에 맞게 한자들을 소개하고 있는데, 예컨대 ‘繁(번잡할 번)’의 파생 경로는 이렇다. 한자를 만든 사람은 먼저 옆으로 서 있는 사람, ‘人(사람 인)’을 만들었다. 이후 이 사람이 무릎을 꿇고 앉은 채 두 손을 가지런히 모은 모습에서 단정한 여인 ‘女(여자 녀)’가 파생되었다. 그리고 ‘女’의 가슴에 두 개의 점을 더해 젖 먹이는 능력이 있는 어머니 ‘母(어미 모)’를 파생시켰다. 어머니의 머리에 세 가닥 머리카락을 더하면 ‘每(매양 매)’가 되어 ‘어머니의 머리카락’을 뜻하고, 여기에서 ‘모든’이라는 의미가 생겼다. ‘每’ 옆에 한 손과 빗이 더해지면 ‘敏(민첩할 민)’이 되고, 빠른 속도로 머리카락을 정리하는 손, 즉 민첩함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敏’ 밑에 땋은 머리 ‘?(실 사)’를 더하면 ‘繁(번잡할 번)’이 되고, 교차시켜 땋은 머리가 된다(본문 21~22쪽 참고).

또한 저자는 한자 기원에 대한 합리적인 해석을 위해 5가지 검증 원칙을 세웠다. ①갑골문, 금문의 자형에 부합해야 한다. ②역사적인 사실이나 선진시대의 서적 기록에 부합해야 한다. ③모든 한자 부호에 대한 해석은 일치해서 그 한자 부호를 포함한 다른 한자에서도 똑같이 쓰여야 한다. ④파생된 뜻을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⑤자형과 뜻이 일관성 있게 변화해야 한다.

幸(다행 행)의 원래 뜻은 ‘죄인이 차고 있던 수갑’이었다?!
夷(오랑캐 이)는 큰大 활弓을 잘 다루는 민족으로 해석될 수 없다?!

신간 《한자나무》에는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던 한자에 대한 상식을 송두리째 깨는 내용이 많다. 예를 들면 ‘幸’(다행 행)의 갑골문과 금문을 살펴보면 ‘幸’의 원래 뜻이 죄인들에게 채우던 나무수갑임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서 현재의 자형과 뜻을 갖게 된 것일까? 저자에 따르면 고문자 ‘幸’자의 변화를 살펴보면 갑골문 및 금문을 지나 전서(篆書)에 이르면 나무수갑의 형상을 딴 상형문자에서 ‘夭’(일찍 죽을 요, 원래 뜻은 ‘큰 보폭으로 걷는 사람’이다_본문 239쪽 참고)와 ‘?’(거스를 역)이 합쳐진 회의문자로 변화한다. 즉 ‘(운 좋게) 거꾸로 도망치는 사람’을 나타내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죄인들이 탈출하는 사건이 많았던 당시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