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특수교육의 이해 9
Ⅰ. 특수아동의 정의 10
1. 특수아동의 다양한 정의 10
2. 관련 용어의 정의 11
3.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정의 13
Ⅱ. 특수아동의 분류 14
1. 발생률과 출현율 14
2. 특수아동으로 분류 시 고려 사항 14
3. 교육적 관점에서의 특수아동의 능력 분류 14
4.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분류 15
5. 명칭 사용의 장단점 16
Ⅲ. 특수교육 18
1. 특수교육의 정의 18
2. 특수교육의 목적 19
3. 특수교육의 특징 20
4. 특수학교(급) 교육에서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을 위한 교육의 기본 성격 20
5. 특수교육의 배치(연계적 서비스 체계) : 최소 제한 환경의 원리 적용 22
6. 특수교육의 주요제도 23
7. 생태학적 구조(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구조) 26
Ⅳ. 특수교육 서비스 28
1. 특수교육의 과정 28
2. 특수교육 서비스의 계획과 제공(특수교육의 과정 특수교육의 절차 및 단계) 29
3.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31
02 통합교육 33
Ⅰ. 통합교육의 개요 34
1. 통합교육의 정의 34
2. 통합교육의 역사 37
3. 통합교육의 실천 44
4. 통합교육을 위한 지원 46
5. 통합교육의 단계 분류 46
6. 통합교육의 효과 및 단점 47
7. 통합교육의 배치 유형 50
Ⅱ. 협력적 접근 52
1. 정의와 필요성 52
2. 협력적 접근의 형태 52
3. 협력적 접근(협력 모형)의 실제 71
Ⅲ. 보편적 학습 설계 89
1. 보편적 학습 설계(UDL)의 정의 89
2. 보편적 설계와 보편적 학습설계의 차이 91
3. 보편적 학습설계의 핵심적 특성들 간의 관계 91
4. 보편적 학습설계의 의의와 이론적 배경 92
5.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 94
6. 통합교육과 보편적 학습설계 102
7. 보편적 교수학습설계의 적용 절차(PAL 절차) 106
Ⅳ.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적 전략 107
1. 교수적 수정(교육과정 수정 혹은 교수 적합화) 107
2. 차별화된 수업 163
Ⅴ. 장애 유형별 통합교육 방안 166
1. 지적장애 아동 166
2. 학습장애 167
3. 시각장애 168
4. 지체장애 169
5. 건강장애 169
6. 청각장애 170
7. 의사소통장애 171
8. 정서?행동장애 171
9. 자폐범주성 장애 172
10. ADHD(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172
Ⅵ. 사회적 통합 173
1. 사회적 관계 형성의 어려움 173
2. 사회성 기술 및 능력 평가 174
3. 사회적 관계 지원 방안 175
03 개별화 교육 179
Ⅰ. 개별화 교육 계획(IEP)의 정의 180
Ⅱ. 개별화교육 계획의 기능 181
1. 개별화교육 계획의 기능 181
2. IEP 양식 181
Ⅲ. 개별화 교육 계획에 대한 법적 내용(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 교육법) 182
Ⅳ. 개별화 교육 계획 수립(작성)?실행 183
1.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운영 자료의 성격 및 기본 방향 183
2. 개별화교육의 수립?운영 183
3. 개별화교육계획의 수립?운영 절차(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절차) 184
4. 개별화교육계획의 수립 188
5. 개별화교육계획의 문제점과 가능한 해결책 200
Ⅴ. 삽입교수 201
1. 삽입교수 201
2. 교육과정의 수정 204
Ⅵ. 개별화 가족 서비스 계획 (IFSP) 205
04 진단 및 평가 207
Ⅰ. 평가 208
1. 평가의 개념 208
2. 평가의 단계 210
3. 사정방법의 종류 214
4. 사정방법의 분류 217
5. 교육진단 218
Ⅱ. 측정 223
1. 기본 개념 : 기술통계(수량적 자료를 체계화하고 설명하는 통계) 223
2. 표준화 232
3. 점수의 유형 238
4. 타당도 246
5. 신뢰도 251
Ⅲ. 사정 258
1. 검사 258
2. 관찰 262
3. 면접 282
4. 교육과정 중심 사정 295
5. 수행 사정 306
6. 포트폴리오 319
Ⅳ. 검사도구 326
1. 지능 326
2. 적응행동 338
3. 학습 342
4. 자폐 349
5. 운동 지각 검사 353
6. 언어 357
7. 유아 363
05 전환교육 375
Ⅰ. 전환교육의 개요 376
1. 전환교육의 배경 376
2. 직업교육과 진로교육 및 전환교육의 관계 376
3. 전환교육의 정의 377
Ⅱ. 전환교육의 과정 380
1. 사정 380
2. 개별화전환교육계획(ITP) 404
3. 훈련 416
4. 배치 : 직업배치, 주거배치, 고등학교 이후의 교육배치 선택 425
5. 추수지도(사후 서비스) 449
Ⅲ. 전환교육을 위한 교수 전략 450
1. 전환목표와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의 통합 450
2. 실생활 상황에 학업내용 적용하기 451
3. 직업중심 학습 : 고용으로의 전환을 위한 교육 452
Ⅵ. 전환교육 관련 과제 454
1. 자기 결정기술(Selfdetermination skills) 454
2. 자기 결정력 모형 455
3. 자기 결정기술 지도 469
4. 자기 결정과 동기이론 472
5. 일상생활기술 가르치기 477
6. 고등교육 준비시키기 478
7. 취업 준비시키기 479
06 가족지원 481
Ⅰ. 부모 교육 482
1. 부모교육의 개념 482
Ⅱ. 장애아 아동과 가족 489
1. 장애아가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489
2. 장애아동 부모의 갈등과 대처방법 491
Ⅲ. 가족지원 493
1. 가족지원의 개념 493
2. 가족지원의 목적 및 원리 495
3.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종류 및 특성 497
4. 가족지원의 패러다임 변화 499
5. 가족 중심 접근 500
Ⅳ. 개별화가족지원계획(Individualized Family Service Plan : IFSP) 517
1. IFSP 원리 517
2. IFSP 과정 518
3. IFSP 개발 및 시행을 위한 초학문적 팀 접근 519
4. 개별화가족서비스계획(IFSP) 구성요소 521
5. 위험요인을 가진 가족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적 구조 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