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글로컬 시대의 지역 정책

글로컬 시대의 지역 정책

  • 이정록
  • |
  • 푸른길
  • |
  • 2018-04-09 출간
  • |
  • 260페이지
  • |
  • 154 X 227 X 13 mm /383g
  • |
  • ISBN 9788962914467
판매가

16,000원

즉시할인가

14,4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4,4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책을 펴내면서

제1부 서울과 지방, 농촌 문제

01. 청와대 ‘일자리 상황판’에 지방(地方)은 없다/ 02. ‘참여정부 시즌 2’를 기대하는 지방(地方) 주민들/ 03. 대선 후보들, 농촌 주민 삶의 질에 관심을/ 04. 소록도에서 비롯된 국격(國格) 지키는 리더십/ 05. 광주광역시 광산구가 ‘기업 하기 좋은’ 까닭/ 06. ‘링거 연명’ 지방에 일자리 공급 수액도 끊나/ 07. ‘청년이 돌아오는 구례’의 비결/ 08.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쓸쓸한 첫돌/ 09. 대한민국 국정(國政), 순천 시정(市政)만 같았으면/ 10. 대권 잠룡들, ‘슈퍼 초고령’ 농촌을 가봤나/ 11. 노량진 공시족(公試族)을 농촌으로 하방(下放)하라/ 12. 이대(梨大) 사태를 보며 ‘서울 상대’를 떠올린다/ 13. 지방은 언제까지 대선(大選) 공약에 목매야 하나/ 14. 새만금 사업의 활로(活路)는 요원한가/ 15. 새로운 성공 신화에 도전하는 ‘순창고추장’/ 16. 전국에 있는 ‘옴천초등학교’의 고민/ 17. ‘끊어진 이웃’ 남해와 여수를 연결해야/ 18. 여수·순천·광양의 도시연합 실험/ 19. ‘광주형(型) 일자리’ 가능하려면/ 20. 농어촌 다문화 가정에 일자리를/ 21. ‘완도 전복’의 유통 혁명/ 22. 귀농·귀촌을 전국화하려면

제2부 지역 사회와 리더십

01. ‘야하타 하루미(矢幡治美)’를 꿈꾸는 박병종 고흥군수/ 02. 지역사회가 화순군수를 주목하는 이유/ 03. ‘마이크 더건’ 같은 광주시장, 어디 없나/ 04. ‘국제 모란 공원’이 보여준 강진군의 변신과 리더십/ 05. ‘완도전복주식회사’가 지역사회에 던지는 메시지/ 06. 영광 ‘톤래삽협동조합’ 사람들의 꿈/ 07. 광주상공회의소 회장에 대한 지역사회 관심/ 08. 윤장현 광주시장과 이낙연 전남지사의 1년 성적표/ 09. 이낙연 지사는 청년을 어떻게 데리고 올 셈인가/ 10. 무안공항과 광주공항 통합, 윤장현 시장 의지에 달렸다/ 11. ‘오세훈 데자뷔’와 윤장현 시장/ 12. 풍금 소리 들리는 보성 득량역에 가보자

제3부 지역 사회와 지역 문제
01. ‘에너지밸리 R&D;센터’ 입지 갈등 해법/ 02. 한국전력에 거는 지역사회의 기대/ 03. 쓰나정 ‘1억엔금괴’와 함평군 ‘황금박쥐’/ 04. 광주대도시권 신(新)교통 정책은 있는가/ 05.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에 관한 공상(空想)/ 06. ‘인구 절벽’ 아래로 떨어지고 있는 전남/ 07. ‘지방소멸론(論)’의 전남지역 적용 가능성은/ 08. 윤 시장과 이 지사의 레토릭과 연구원 통합 장애물/ 09. 광주전남연구원은 왜 ‘별거(別居)’하려고 하는가/ 10. 대구 청라언덕에서 광주를 생각한다/ 11. 프리미엄 아웃렛 투자유치 소식이 달갑지 않은 이유/ 12. ‘수소자동차’를 놓고 경쟁하는 광주·울산·충남/ 13. 광주시민은 ‘행복해질 용기’를 가졌는가/ 14. 도시 활성화를 고민하는 광산구민(區民)들/ 15. ‘슬로건’에 나타난 민선 6기 지자체장의 지역비전/ 16. ‘무돌길’ 안내 표지판을 재정비하자/ 17. ‘완도전복’을 둘러싼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18. 강진 토속미(味)를 뽐내는 ‘홍춘이보리밥’

제4부 기업과 지역사회
01. 세계 초일류 기업 ‘KOMATSU’와 고마쓰(小松)/ 02. 소피아 앙티폴리스 뿌리내림과 지역 상공인들/ 03. 세계적 지퍼 기업 ‘YKK’ 본사의 지방 이전/ 04. 독일 자동차 산업의 메카, 슈투트가르트/ 05. 자동차 기업도시 도요타와 지역상공회의소

제5부 광양만권과 지역 정책
01. 정의화 국회의장의 ‘섬진강市’ 구상/ 02. 여수국가산업단지, 광양만권 산업화의 인큐베이터/ 03. 광양만권 어젠다를 선도하는 여수상공회의소/ 04. 박람회장 사후활용과 여수세계박람회 성과는 별개다/ 05. 왜 순천정원박람회를 성공했다고 하는가?/ 06. 기업도시 광양, 계속 성장할 수 있을까/ 07. 순천 인구, 언제까지 증가할 수 있을까/ 08. 여수상공회의소가 마련한 ‘여수음악제’/ 09. 한국의 ‘모카커피’를 만들겠다는 고흥/ 10. 순천을 마케팅하는 ‘화월당 과자점’

제6부 광주·전남 발전과 지역 정책
01. ‘먹고사는’ 걱정을 덜어줄 도지사·시장·군수를/ 02. 새로운 리더십을 가진 지자체장을 기대하며/ 03. 한전공대를 만들 ‘제2의 박태준 회장’은 어디에/ 04. 무안 공항을 ‘동네’ 공항으로 둘 순 없다/ 05. 제주~목포 해저고속철 공론화하자/ 06. ‘서울~제주 KTX’ 건설 논의를 주목할 이유/ 07. ‘에너지 신(新)산업’ 육성과 한전의 에너지밸리/ 08. 전남에도 ‘지역부흥협력대’를 만들자/ 09. ‘삼십이립(三十而立)’의 광주 발전, 전남에 달렸다/ 10. 살리나스시(市) ‘스마트 농업’과 전남의 미래전략/ 11. 전남공무원교육원을 중남부권으로 보내자/ 12. ‘화순역~벌교역’ 간 관광열차를 운행하자/ 13. 광주 전남 ‘기업가 박물관’을 만들자


목차


책을 펴내면서

제1부 서울과 지방, 농촌 문제
01. 청와대 ‘일자리 상황판’에 지방(地方)은 없다/ 02. ‘참여정부 시즌 2’를 기대하는 지방(地方) 주민들/ 03. 대선 후보들, 농촌 주민 삶의 질에 관심을/ 04. 소록도에서 비롯된 국격(國格) 지키는 리더십/ 05. 광주광역시 광산구가 ‘기업 하기 좋은’ 까닭/ 06. ‘링거 연명’ 지방에 일자리 공급 수액도 끊나/ 07. ‘청년이 돌아오는 구례’의 비결/ 08.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쓸쓸한 첫돌/ 09. 대한민국 국정(國政), 순천 시정(市政)만 같았으면/ 10. 대권 잠룡들, ‘슈퍼 초고령’ 농촌을 가봤나/ 11. 노량진 공시족(公試族)을 농촌으로 하방(下放)하라/ 12. 이대(梨大) 사태를 보며 ‘서울 상대’를 떠올린다/ 13. 지방은 언제까지 대선(大選) 공약에 목매야 하나/ 14. 새만금 사업의 활로(活路)는 요원한가/ 15. 새로운 성공 신화에 도전하는 ‘순창고추장’/ 16. 전국에 있는 ‘옴천초등학교’의 고민/ 17. ‘끊어진 이웃’ 남해와 여수를 연결해야/ 18. 여수·순천·광양의 도시연합 실험/ 19. ‘광주형(型) 일자리’ 가능하려면/ 20. 농어촌 다문화 가정에 일자리를/ 21. ‘완도 전복’의 유통 혁명/ 22. 귀농·귀촌을 전국화하려면

제2부 지역 사회와 리더십
01. ‘야하타 하루미(矢幡治美)’를 꿈꾸는 박병종 고흥군수/ 02. 지역사회가 화순군수를 주목하는 이유/ 03. ‘마이크 더건’ 같은 광주시장, 어디 없나/ 04. ‘국제 모란 공원’이 보여준 강진군의 변신과 리더십/ 05. ‘완도전복주식회사’가 지역사회에 던지는 메시지/ 06. 영광 ‘톤래삽협동조합’ 사람들의 꿈/ 07. 광주상공회의소 회장에 대한 지역사회 관심/ 08. 윤장현 광주시장과 이낙연 전남지사의 1년 성적표/ 09. 이낙연 지사는 청년을 어떻게 데리고 올 셈인가/ 10. 무안공항과 광주공항 통합, 윤장현 시장 의지에 달렸다/ 11. ‘오세훈 데자뷔’와 윤장현 시장/ 12. 풍금 소리 들리는 보성 득량역에 가보자

제3부 지역 사회와 지역 문제
01. ‘에너지밸리 R&D;센터’ 입지 갈등 해법/ 02. 한국전력에 거는 지역사회의 기대/ 03. 쓰나정 ‘1억엔금괴’와 함평군 ‘황금박쥐’/ 04. 광주대도시권 신(新)교통 정책은 있는가/ 05.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에 관한 공상(空想)/ 06. ‘인구 절벽’ 아래로 떨어지고 있는 전남/ 07. ‘지방소멸론(論)’의 전남지역 적용 가능성은/ 08. 윤 시장과 이 지사의 레토릭과 연구원 통합 장애물/ 09. 광주전남연구원은 왜 ‘별거(別居)’하려고 하는가/ 10. 대구 청라언덕에서 광주를 생각한다/ 11. 프리미엄 아웃렛 투자유치 소식이 달갑지 않은 이유/ 12. ‘수소자동차’를 놓고 경쟁하는 광주·울산·충남/ 13. 광주시민은 ‘행복해질 용기’를 가졌는가/ 14. 도시 활성화를 고민하는 광산구민(區民)들/ 15. ‘슬로건’에 나타난 민선 6기 지자체장의 지역비전/ 16. ‘무돌길’ 안내 표지판을 재정비하자/ 17. ‘완도전복’을 둘러싼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18. 강진 토속미(味)를 뽐내는 ‘홍춘이보리밥’

제4부 기업과 지역사회
01. 세계 초일류 기업 ‘KOMATSU’와 고마쓰(小松)/ 02. 소피아 앙티폴리스 뿌리내림과 지역 상공인들/ 03. 세계적 지퍼 기업 ‘YKK’ 본사의 지방 이전/ 04. 독일 자동차 산업의 메카, 슈투트가르트/ 05. 자동차 기업도시 도요타와 지역상공회의소

제5부 광양만권과 지역 정책
01. 정의화 국회의장의 ‘섬진강市’ 구상/ 02. 여수국가산업단지, 광양만권 산업화의 인큐베이터/ 03. 광양만권 어젠다를 선도하는 여수상공회의소/ 04. 박람회장 사후활용과 여수세계박람회 성과는 별개다/ 05. 왜 순천정원박람회를 성공했다고 하는가?/ 06. 기업도시 광양, 계속 성장할 수 있을까/ 07. 순천 인구, 언제까지 증가할 수 있을까/ 08. 여수상공회의소가 마련한 ‘여수음악제’/ 09. 한국의 ‘모카커피’를 만들겠다는 고흥/ 10. 순천을 마케팅하는 ‘화월당 과자점’

제6부 광주·전남 발전과 지역 정책
01. ‘먹고사는’ 걱정을 덜어줄 도지사·시장·군수를/ 02. 새로운 리더십을 가진 지자체장을 기대하며/ 03. 한전공대를 만들 ‘제2의 박태준 회장’은 어디에/ 04. 무안 공항을 ‘동네’ 공항으로 둘 순 없다/ 05. 제주~목포 해저고속철 공론화하자/ 06. ‘서울~제주 KTX’ 건설 논의를 주목할 이유/ 07. ‘에너지 신(新)산업’ 육성과 한전의 에너지밸리/ 08. 전남에도 ‘지역부흥협력대’를 만들자/ 09. ‘삼십이립(三十而立)’의 광주 발전, 전남에 달렸다/ 10. 살리나스시(市) ‘스마트 농업’과 전남의 미래전략/ 11. 전남공무원교육원을 중남부권으로 보내자/ 12. ‘화순역~벌교역’ 간 관광열차를 운행하자/ 13. 광주 전남 ‘기업가 박물관’을 만들자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