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 러닝과 머신 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작동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은 최근 전 세계 각종 기업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 경영을 전방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2017년 정부는 인공지능 기술 관련 R&D에 1630억원을 투입한다고 밝힌 바 있는데, 이는 2016년 관련 예산 1106억 원에 비해 47% 증가된 규모다. 먼저 산업적 수요가 높은 언어·시각·음성 지능 분야의 원천기술 개발 등을 발전시키고, 중장기적 기술 우위 확보를 위해 선도적으로 차세대 학습·추론 등 AI 기술을 연구하는 'AI 국가전략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인공지능 기법이 발전하면서 구글 등의 음성인식 정확도는 약 95%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직 스마트 스피커의 시장 추세는 언어권별로 나뉘어져 있지만 인공지능이 언어의 장벽을 넘어설 때, 주요 플레이어를 중심으로 한 급속한 시장통합이 전망된다. 시장조사 기관 GMI(Global Market Insight)는 2024년에 스마트 스피커 시장이 11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의 경우, 국립국어원은 인공지능의 핵심기술인 한국어 자연어 처리를 위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총 155억 어절의 말뭉치를 구축하는 국어 정보화 사업 계획을 마련했다.
또한 컴퓨터 비전과 딥 러닝에 의해서 구현되기 시작한 인공지능 이미지/영상인식 기술은 우리 산업과 사회 속에 혁명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각종 산업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는 가운데 의료 영상 진단기술, 자율주행차, 스마트홈, 보안 및 영상감시 산업, 산업용 로봇의 시각기능, 스마트 팩토리, 국방 및 우주항공, 헬스케어, 가전, 금융, 스마트 쇼핑,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가치 실현의 기반이 되어 가고 있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혁신적으로 변화하는 인공지능의 전반적인 흐름과 새로운 기술을 파악하고 AI구현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 연구기관의 정보자료를 토대로「지능정보기술 분야 인공지능 5대 핵심기술 및 SW/HW 연구동향」을 발간하였다. 본서 1편에서는 국내외 인공지능 기술 산업동향을 다루었고, 2편에서는 언어인지·학습·추론지능, 음성지능, 시각지능 기술별 개발동향과 시장현황을 세부적으로 다루었으며, 3편에서는 인공지능 하드웨어의 최신기술 산업동향을 수록하였다.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