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준비마당. 세계경제 기초 다지기
01 왜 세계경제를 공부해야 할까?
-세계경제를 통해 숲을 바라보자
-무엇이든 기본기가 중요하다!
02 금리와 물가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금리와 통화량, 물가의 불가분 관계
03 세계경제에서 환율은 왜 중요할까?
-환율, 세계경제의 흐름을 좌우하는 가치
-여러 위험요소를 동반하는 정부의 환율개입
04 세계경제에서 돈은 어디서 어디로 흘러갈까?
-돈의 흐름이 곧 경제다
[내공 플러스]우리나라에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이 중요한 이유는?
05 세계경제에서 인플레이션은 언제 발생할까?
06 기준금리는 누가 정할까?
-통화량과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기준금리
첫째마당. 미국 경제
07 트럼프는 미국 경제를 어디로 이끌고 있을까?
-자유무역에 반대한 미국인들
-중국과의 무역전쟁이 낳을 보복제재로 인한 경제 피해
-중국의 환율이 마음에 들지 않는 트럼프
-트럼프의 감세정책과 인프라 투자
-여러 난관을 극복해야 하는 트럼프
08 트럼프 대통령과 재닛 옐런의 불협화음 결말은?
-달러 통화량을 조절하는 미국의 중앙은행
-밀고 당기는 미국 정부와 연준의 관계
-엇박자를 냈던 트럼프와 재닛 옐런
09 트럼프는 우리나라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트럼프의 정책들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칠 영향
10 금융위기 이후, 미국은 무엇을 했을까?
-헬리콥터 벤의 등장
-돈을 풀어 경기상승을 노리는 방법들
-경기가 살아날 때까지 달러를 풀 수 있다?
-미국이 양적완화를 할 수 있었던 이유는?
11 유동성 공급에는 어떤 문제점이 있을까?
-많은 나라가 돈 풀기에 동참한 이유
-유동성 공급에 따른 필수불가결한 부작용
-우리나라의 정부부채는 양호할까?
12 미국은 어떻게 부채공화국이 되었을까?
-초강대국 미국이 빚더미에 앉은 사연
-미국의 재정적자가 많아진 이유는?
-금융위기 이후의 재정적자
-미국의 부도위기와 신용등급 강등
13 미국은 왜 계속 금리를 올릴까?
-미국이 출구전략을 펼친 이유
-미국 연준의 테이퍼링 선택
-조금씩 금리를 인상하는 미국
-미국의 금리인상이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
14 세계경제의 트라우마, 글로벌 금융위기
-지금 다시 금융위기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
-경제위기를 몰고 오는 유동성 과잉
-물가상승과 금리인상
-서브프라임은 어떻게 파산했나?
-신용이 안 좋은 사람에게 왜 대출을 해줬을까?
-투자은행과 주택금융업체
-금융위기가 찾아오다
[내공 플러스]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과 LTV
15 영화 〈빅 쇼트〉와 공매도 기법
-가격 하락에 베팅하는 공매도 투자의 위험성
16 미국의 달러패권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달러는 미국에 어떤 혜택을 가져다줄까?
-브레튼우즈 체제의 탄생
-미국에 금이 많아진 이유
-베트남전쟁과 브레튼우즈 체제의 붕괴
-1차 오일쇼크의 발생
-위기를 딛고 부활한 달러
-달러패권을 무너뜨리려면?
[내공 플러스]트럼프는 이란의 경제제재를 부활시킬까?
17 달러의 힘은 앞으로 더 강해질까?
-‘달러의 힘’이 만들어주는 공정거래
-달러의 경쟁자가 나타날까?
18 셰일가스는 미국 경제를 구할 수 있을까?
-조지 미첼의 끈질긴 노력으로 빛을 본 셰일가스
-미국의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셰일가스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치킨게임
둘째마당. 중국 경제
19 중국의 비전과 시진핑의 꿈
-소강사회란 무엇일까?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까?
20 덩샤오핑, 오늘날의 중국을 만들다
-마오쩌둥의 실패
-덩샤오핑, 중국을 살찌게 하다
-마오쩌둥과 양탄일성
-양탄일성을 이어받은 덩샤오핑
-미국과의 좋은 분위기를 이어받다
[내공 플러스]김정은이 핵무기를 만드는 이유와 북한 경제
21 중국과 미국의 갈등, 공생관계가 깨질까?
-소련의 붕괴와 중국의 ‘도광양회’
-시진핑의 야심, 미국과의 불편한 관계
-중국이 기침하면 우리나라는 어떻게 될까?
22 급성장한 중국 경제, 문제는 없을까?
-중국 경제 성장의 씁쓸한 단면이 된 유령도시
-투자로 먹고사는 중국
-중국을 위협하는 지방정부와 기업의 부채
23 중국 경제의 불안요소, 그림자금융
-그림자금융의 성장
-중국 경제를 위협하는 자산관리상품
24 중국 부동산 가격이 비싼 이유는 무엇일까?
-집 한 채 사는 데 40년 걸리는 중국
-중국의 부동산 버블은 어떻게 생겨났나?
25 위안화는 기축통화가 될 수 있을까?
-위안화의 SDR통화바스켓 가입
-위안화는 달러를 따라잡을 수 있을까?
26 중국은 왜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설립을 주도했을까?
-중국 주도의 아시아 인프라 투자
-중국의 원대한 꿈, 일대일로와 대동사회
27 중국 주식시장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을까?
-세 개의 주식시장
-외국인 투자의 문, 선강퉁과 후강퉁
셋째마당. 유럽 경제
28 통합과 분열의 갈림길에 선 유럽
-유럽통합의 장점은 무엇일까?
-분열을 고민하는 유럽
29 영국은 왜 브렉시트를 선택했을까?
-판을 뒤엎은 영국의 국민투표
-하드 브렉시트 vs 소프트 브렉시트
-브렉시트로 인해 흔들리는 파운드화
30 골칫덩이가 된 유로존, 어떤 문제가 있을까?
-유럽 돼지들의 위기로 시작된 유럽 문제
-마음대로 금리를 내릴 수 없다고?
-왜 돼지들보다 미국 경제가 빨리 살아났을까?
-유로존과 돼지들 문제의 해결방법은?
31 그리스는 왜 유로존을 탈퇴할 수 없었을까?
-무의미해진 국민투표
-그리스의 비극은 어디서 시작되었을까?
-왜 그렉시트를 하지 않았을까?
-그리스와 유로존의 운명은?
32 독일의 특명, 유로존을 사수하라!
-유로존은 독일에게 무엇을 주었나
-누군가에게는 과분한 유로화
-독일은 유로존의 재정통합을 이뤄낼 수 있을까?
-미국과 멀어지고 중국과 가까워진 독일
33 프랑스, 유럽통합의 길을 선택하다
-르펜, 프렉시트를 주장하다
-만약 프렉시트를 했다면?
-독일과 더욱 가까워진 프랑스
34 이탈리아는 유로존을 떠날 수 있을까?
-총체적 난국의 이탈리아
-렌지 총리의 사임과 이탈렉시트
35 스페인 경제, 살아날 수 있을까?
-살아나는 스페인 경제
-노동개혁으로 경제성장의 불씨를 살리다
[내공 플러스]스페인의 노동개혁이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점은 무엇인가?
36 유로캐리트레이드와 우리나라 주가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금리를 따라 가는 돈의 흐름
37 유럽중앙은행의 양적완화, 언제까지 가능할까?
-돈 풀기에 동참한 유럽
-유럽의 출구전략과 한국 경제
38 유로화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브레튼우즈 체제에서 킹스턴 체제까지
-유럽통화협정에서 유럽통화시스템까지
-고정환율의 문제점은 무엇이었을까?
-영국은 왜 유로화를 사용하지 않을까?
-유로화와 유로존이 탄생하다
넷째마당. 일본 경제
39 일본 경제의 위기는 어디서 시작됐을까?
-비극의 시작, 플라자합의
-경제위기의 주범인 유동성 과잉이 찾아오다
-해외로 진출한 와타나베 부인
-자산버블이 붕괴되다
[내공 플러스]우리나라 경제 호황에 기여한 플라자합의
40 일본 경제, 유동성 함정에 빠지다
-통화량의 종류
-유동성 함정이란?
-유동성 함정에 빠진 일본
41 고령화는 일본을 어떻게 바꿨을까?
-빨리 늙어버린 일본
-고령사회는 자산가격에 어떤 영향을 줄까?
-고령사회는 사회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
-고령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
-은퇴하지 않는 나라, 우리나라
42 아베의 강력한 처방전, 아베노믹스
-아베노믹스의 내용은 무엇일까?
-삼성전자처럼 세금을 내고 싶다고?
-아베노믹스의 성공적인 부분
[내공 플러스]일본기업들의 실적이 좋아졌는데 무역적자가 발생한 이유는?
43 일본이 빚더미에 올라앉았다고?
-국가부채의 ‘왕중왕’은 어디일까?
-일본은 빚 갚는 데 돈을 얼마나 쓸까?
-미국 금리인상은 일본 정부부채와 어떤 관계가 있을까?
44 ‘마이너스 금리’라는 가보지 않은 길을 가다
-마이너스 금리의 강수, 그 결과는?
[내공 플러스]글로벌자본과 엔캐리트레이드
45 아베노믹스가 실패한다면?
-배수의 진을 친 일본
-우리나라는 다음 카드가 있을까?
46 우리나라 부동산 가격도 일본처럼 폭락할까?
-2015년부터 우리나라 주택가격이 상승한 이유는?
-주택가격에 버블이 생기지 않았던 이유는?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거나 폭락할까?
다섯째마당. 신흥국 경제
47 성장하는 베트남 경제와 윈-윈(win-win)할 수 있을까?
-도이머이 개혁과 베트남 경제의 성장
-베트남의 인구 보너스
-우리나라가 베트남의 수출 산업을 이끌고 있다고?
-베트남 경제에는 어떤 문제가 있을까?
48 인도 경제, 코끼리가 날아오를 수 있을까?
-BRICs에서 누가 가장 잘나갈까?
-IT 인력의 요람
-젊은 사람들이 차고 넘치는 인도
-인도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모디 총리
49 자원 부국, 브라질과 러시아 경제는 어떤 특징이 있을까?
-자원이 풍부한 브라질과 러시아 경제
여섯째마당. 4차 산업혁명과 세계경제
50 4차 산업혁명은 우리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킬까?
-4차 산업혁명과 초연결사회
-인공지능과 초지능화사회
51 자율주행차가 바꿀 우리의 미래
-사람이 운전할 필요가 없는 새로운 차의 등장
52 4차 산업혁명의 기반기술 ‘블록체인’
-비트코인의 등장과 기존의 금융거래
-블록체인은 어떤 장점이 있을까?
-블록체인의 단점은 무엇일까?
-블록체인은 초연결사회의 보안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을까?
53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기축통화가 될 수 있을까?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성장
-가상화폐는 기축통화가 될 수 있을까?
54 수익률 1,000% 가상화폐 투자, 어떻게 해야 할까?
-가상화폐에 투자하는 방법은?
-가상화폐 투자에는 어떤 위험이 있을까?
약어 표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