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신동엽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매니지먼트 분야 교수. 미국 예일 대학교에서 조직이론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된 연구 관심분야는 신제도이론, 네트워크 이론, 조직경제학, 경영사 등이며, 학생들과 경영자들을 대상으로 경영 패러다임 전환과 21세기형 경영, 전환기의 위기와 리더의 전략적 역할, CEO 리더십, 창조성과 혁신, 전략적 위기경영, 조직설계와 변화, 예술과 창조 경영, 비전과 성장, 거시 조직이론, 조직행동론 등을 강의해왔다. 주요 기업들의 사외이사와 CEO 자문을 맡아왔고 한국인사조직학회장과 서울스프링국제실내악축제 조직위원장을 역임했다.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Organization Science, Poetics를 비롯해 국내외 주요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저서로 《21세기 매니지먼트 이론의 뉴패러다임》, 《창조성의 원천》이 있으며, 한국인사조직학회의 《K-매니지먼트》, 한국전략경영학회의 《퍼 펙트 체인지》, 《직각혁신이 답이다》(이상 공저) 등을 통해 최근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경영과 경제 패러다임의 역사적 대전환에 대해 역설해왔다.
저자: 최강식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연세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공부하고 미국 예일 대학교에서 기술진보가 인적자본 투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경제학회 이사, 학술지 《경제학연구》의 편집위원장을 지냈으며, 국민경제자문위원회, 규제개혁위원회 등에서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연세대학교 경제학부대학 학장으로 재임하면서 국내 최초로 송도국제캠퍼스에서 1학년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RC(Residential College) 교육 프로그램을 총괄하였고, 전국대학교양교육협의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관심사는 교육 투자, 기술진보, 일자리 문제 등이며, 최근에는 4차 산업혁명이 노동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 치중하고 있다.
저자: 양동훈
서강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미국 미네소타 대학에서 인사노사관계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인사관리학회, 한국인사조직학회, 한국윤리경영학회 부회장으로 봉사 중이며, 인간과 노동이라는 주제에 관심을 갖고 연구와 집필, 그리고 사회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비정규직 서포터즈, 서울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 상공회의소 중소기업위원회 자문교수 등을 역임했고, 미국 인사관리자협회인 SHRM(The Society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의 한국대표단 자문교수로 글로벌 HR 트렌드를 한국에 소개하고 있다. 저서로 《누구를 리더로 세울 것인가》, 《초고령사회, 조직 활력을 어떻게 높일까》(이상 공저), 역서로 《경영학원론》, 《조직행동론》(이상 공역) 등이 있으며, “일하기 좋은 기업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 “한국형 일하기 좋은 기업 지표와 노동생산성” 등 국영문 논문 다수가 있다.
저자: 한준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Management Science,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등에 논문을 발표했다. 한국사회학회 및 한국조사연구학회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