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1 행정학 총론
CHAPTER 1 행정학의 기초이론
SECTION 1 사회현상의 조작적 개념화
1. 정부, 국가, 정치, 시장, 사회의 개념화
2. 시장(경제)와 사회
3. 신공공관리론과 뉴거버넌스론
4. 국가, 정부, 정치
5. 행정(공행정)과 경영(사행정)
6. 행정변수와 행정(정부)의 기능
SECTION 2 행정이념
1. 행정이념의 본질
2. 합법성(legality)
3. 능률성ㆍ효과성ㆍ생산성, 그리고 가외성
4. 민주성
5. 합리성(rationality)
6. 사회적 형평(social equity)
7. 사회적 자본과 투명성
8. 공익(public Interest)
9. 행정이념 간의 관계
CHAPTER 2 사회현상의 접근방법
SECTION 1 서설
SECTION 2 인간에 대한 접근방법과 인간관리
1. 서론
2. 과학적 관리론
3. 인간관계론
4. 과학적 관리와 인간관계론의 관계
5. 행태론과 현상학, 행정문화
SECTION 3 행정과 환경(생태론, 상황론, 체제론)
1. 생태론(ecological approach)
2. 체제론적 연구(시스템이론)
SECTION 4 공공선택이론(public choice theory)
1. 형성배경
2. 의의
3. 주요 내용과 특성
4. 공공선택이론에 대한 평가
CHAPTER 3 행정이론의 발달과 전개
SECTION 1 행정학의 기원과 발달
1. 서론
2. 고전적(기술적) 행정학
3. 기능적 행정학(통치기능설, 정치행정 일원론)
SECTION 2 시장실패와 현대국가(행정권의 강화)
1. 국가의 성격 변화
2. 시장실패와 행정권의 강화
3. 권력분립의 변화와 행정국가의 형성
4. 현대 행정국가의 주요 특성
SECTION 3 발전행정과 한국행정학
1. 서론
2. 비교행정론
3. 발전행정
4. 1960-70년대 한국의 행정
SECTION 4 행정권의 강화와 행정책임론 및 행정통제
1. 행정책임과 확보 필요성
2. 행정책임의 유형
3. 행정책임의 경향과 행정통제
4. 외부통제
5. 내부통제(자율적 통제, 관리통제)
SECTION 5 전환기의 신행정론
1. 의의
2. 신행정론의 주요 내용과 특성
SECTION 6 정부실패, 신공공관리론과 뉴거버넌스론
1. 정부실패
SECTION 7 정보화 사회와 전자정부, 지식사회
1. 정보화 사회
2. 정보화 사회의 특성
3. 우리나라 정보산업의 제 문제
4. 전자정부(Electronic Government)
5. 지식관리(knowledge management)
CHAPTER 4 행정과 정책학
SECTION 1 정책의 본질과 제 유형
1. 정책의 의의와 특성
2. 정책의 유형
3. 정책과정과 제 이론
SECTION 2 정책의 주요과정
1. 정책의제형성
2. 정책결정론
3. 정책집행과 정책평가
PART 2 행정조직론과 인사행정론
CHAPTER 1 행정조직론
SECTION 1 조직의 기초이론(조직구조론)
1. 조직계보
2. 조직의 유형
3. 고전적 조직의 제 원리
4. 기업과 정부조직의 기본모형 - 관료제(bureaucracy)
5. 계선과 막료, 그리고 위원회조직
6. 현대적 조직 - 반관료제(anti-bureaucracy)와 애드호크라시(adhocracy)
7. 네트워크조직(1990 - 현재)
SECTION 2 조직목표와 평가
1. 조직의 목표
2. 목표의 유형
3. 목표의 변동
4. 조직평가의 기준으로서의 효과성
5. 목표관리(Management By Objective;MBO)
6. 균형성과지표(Balanced Scored Card)와 TQM(Total Quality Management)
SECTION 3 인간(motivation theory)
1. 조직(직장)과 인간(나)의 관계변천
2. 인간의 성격유형 - 인간의 조직에의 적응 -
3. 동기부여이론(motivation theory)의 체계와 변화
4. 동기부여이론의 내용이론 A
5. McGregor의 X?Y이론(Argyris의 미성숙?성숙인과 연계)
6. Herzberg의 위생?동기요인(2요인이론)
7. Schein의 동기부여이론
8. McClelland의 성취동기이론
9. Foss의 Z이론, Ouchi의 Z이론
10. 동기부여이론의 과정이론
11. 동기부여이론과 인적자원관리
SECTION 4 조직과 환경
1. 서론
2. 조직의 환경에의 적응양태
3. 조직과 환경에 관한 제 이론
4. 상황과 조직구조 변형
5. 상황변수와 기본변수의 관계
SECTION 5 리더십이론
1. 서론
2. 리더십의 접근방법과 제 이론의 변화
3. 리더십의 제 유형
4. 리더십의 유형과 생산성 및 사기앙양
SECTION 6 조직관리론
1. 의의
2. 의사소통(COMMUNICATION)
3. 커뮤니케이션과 문화(조선 닷컴, 2016.2.11. 윤희영)
4. 공공관계(Public Relation)
SECTION 7 권위 및 권력과 갈등관리
1. 서론
2. Authority, Power(force), influence
3. 권위와 권력의 유형
4. 갈등관리
SECTION 8 조직발전과(OD), 조직혁신(Innovation), 조직학습
1. 인간주의적 조직발전(OD)
2. 창의적인 변화-쇄신과 학습
3. 조직학습
CHAPTER 2 인사행정론
SECTION 1 인사행정과 인사제도
1. 인사행정의 본질
2. 인사행정의 발달전개
3. 중앙인사행정기관
4. 인사행정제도
5. 적극적 인사행정(최근 인사행정)
6. 대표성(적) 관료제
SECTION 2 공직의 분류체계
1. 서론
2. 경력직과 특수경력직(국가공무원법 제2조, 2015.12.24.)
3. 폐쇄형, 개방형
4. 직위분류제와 계급제
5. 고위공무원단제(SES ; Senior Executive Service)
SECTION 3 인사행정의 3대 기능과 주요 내용
1. 인사행정의 3대 기능과 체계
2. 인력계획과 공무원의 임용(채용과 배치)
3. 승진(수직적 인사이동)과 배치전환
4. 공무원의 능력발전
5. 공무원의 사기앙양
6. 정년(停年)제도
SECTION 4 공무원의 행동규범
1. 공무원의 윤리
2. 정치적 중립(political neutrality)
SECTION 5 우리나라 인사제도의 실태
1. 기존 인사행정제도사와 현행 인사체계의 연계
2. 엽관주의, 실적제도, 직업공무원제
3. 우리나라 공무원 구성의 특성
PART 3 행정업무론
CHAPTER 1 사무관리의 총설
SECTION 1 사무의 본질
1. 사무의 의의
2. 사무의 종류(분류)
3. 사무의 구성요소
4. 경영과 관리와 운영
SECTION 2 사무관리(office management)
1. 의의와 특성
2. 사무관리의 목적
3. 사무관리의 대상과 기능
SECTION 3 사무관리의 원칙과 과정
1. 사무관리의 기본원칙
2. 사무관리의 과정
SECTION 4 사무기계화(OA)와 사무개선
1. 개요
2. 사무기계화와 사무자동화(Office Automation)
3. 사무개선과 사무 간소화
SECTION 5 사무시설과 사무환경
1. 중요성
2. 관리대상
3. 사무실의 배치
4. 책상 및 사무집기의 배치
5. 물리적 환경
CHAPTER 2 공문서의 관리
SECTION 1 공문서 관리와 범주(종류와 유형)
1. 서론
2. 사무관리의 내용
3. 문서의 의의와 필요성
4. 공문서의 종류와 분류
SECTION 2 문서관리Ⅰ(문서관리의 본질과 기능 및 절차)
1. 문서관리의 본질
2. 문서관리의 일반적인 절차와 세 가지 기능
3. 전자문서시스템과 업무관리시스템
4. 문서처리의 원칙
5. 문서관리의 표준화
SECTION 3 문서관리Ⅱ(문서의 작성)
1. 문서작성의 의의와 필요성
2. 문서작성의 일반원칙
SECTION 4 문서관리Ⅲ(공문서 기안의 구성과 작성)
1. 문서의 기안
2. 기안의 종류
3. 기안문의 절차와 구성
4. 기안문의 원칙과 협조
SECTION 5 문서관리Ⅳ(문서의 효력과 성립)
1. 문서의 효력
2. 문서의 성립
3. 문서의 성립 ?결재
4. 문서의 등록과 발신 및 관인
5. 문서의 접수ㆍ처리와 문서번호의 관리
6. 문서의 보관과 보존과 폐기
SECTION 6 문서관리Ⅳ(서식관리과 관인관리)
1. 서식의 제정
2. 서식의 제정 방법과 설계의 일반 원칙
3. 서식의 승인과 제공
4. 관인의 관리
5. 행정업무의 관리
6. 정책실명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