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펀더멘탈 정치학 최종정리 Vol1  기본이론 편

펀더멘탈 정치학 최종정리 Vol1 기본이론 편

  • 김희철
  • |
  • 윌비스
  • |
  • 2018-03-27 출간
  • |
  • 355페이지
  • |
  • 190 X 260 mm
  • |
  • ISBN 9791159624841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9,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펀더멘탈(fundamental) : ‘기초적인, 기본이 되는, 토대를 이루는, 필수적인, 중요한’ 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정치학의 기초, 기본, 토대를 확고히 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목적의식 하에 ‘펀더멘탈 정치학(fundamental politics)’이라고 책이름을 정했습니다.

 

본 교재는 5급 공채 일반행정직의 필수과목인 정치학을 준비하는 분들이 2차 시험 직전에 정치학의 기본이론을 최종적으로 정리할 수 있도록 만든 수험교재입니다. 이미 시중에 출간된 펀더멘탈 정치학 기본이론편을 요약 정리한 교재입니다. 

이 책이 출간될 시점에도 새로운 정치현상이 발생했으며 그에 따라 새로운 연구 성과가 쏟아져 나오고 있기 때문에 이 책에서 그 모든 것을 다 반영할 수 없었음을 넓은 마음으로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추가로 학습해야 할 부분은 학원 강의를 통해 보충하셔서 시험에 만전을 기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제1부
비교정치 3
제1장 정치란 무엇인가? 4
제1절 정치의 기본개념 4
Ⅰ. 정치의 핵심 _ 4
Ⅱ. 이상주의와 현실주의 _ 4
Ⅲ. 정치를 바라보는 4가지 관점 _ 5
Ⅳ. 국가현상설과 권력현상설 _ 9
제2장 정치권력(Political Power) 11
제1절 권력의 기본개념 11
Ⅰ. 권위(authority)와 권력(power) _ 11
Ⅱ. 권력과 민주주의 _ 12
Ⅲ. 권력의 3가지 차원 _ 13
제2절 권력의 정당성(legitimacy) 14
Ⅰ. 정당성의 역할 _ 14
Ⅱ. 권위의 세 가지 종류 _ 14
제3장 정치체제(Political System) 17
제1절 구조(structure)와 기능(function) 17
Ⅰ. 구조주의(structuralism) _ 17
Ⅱ. 기능주의(functionalism) _ 17
Ⅲ. 체계이론(system theory):‘체제론’이라고도 한다. _ 17
제2절 민주적 정치체제의 두 유형:자유민주주의와 비자유민주주의 18
Ⅰ. 자유민주주의(Liberal democracy) _ 18
Ⅱ. 비자유 민주주의(Illiberal democracy) _ 19
제3절 비민주적 정치체제의 두 유형:전체주의와 권위주의 21
Ⅰ. 전체주의(totalitarianism) _ 21
Ⅱ. 권위주의(authoritarianism) _ 22
제4절 현대(modern) 세계의 정치체제 23
Ⅰ. 서구의 다두정(western polyarchies) _ 23
Ⅱ. 신민주정(New democracies) _ 23
Ⅲ. 동아시아 정치체제(East Asian regimes) _ 24
제4장 권력구조(Power structure) 26
제1절 대통령제(Presidentialism) 26
Ⅰ. 미국의 대통령제 _ 26
Ⅱ. 대통령제의 특징 _ 27
Ⅲ. 대통령제의 장점 _ 28
Ⅳ. 대통령제의 문제점 _ 29
제2절 의원내각제 35
Ⅰ. 내각제의 기본개념 _ 35
Ⅱ. 내각제의 총리 _ 37
Ⅲ. 내각제의 유형 _ 37
Ⅳ. 소수 정부(minority government):소수파 정부 _ 41
Ⅴ. 내각제의 안정성과 효율성 _ 41
Ⅵ. 내각제의 장점 _ 43
Ⅶ. 내각제의 단점 _ 45
제3절 이원집정제:이원정부제 46
Ⅰ. 등장배경 _ 46
Ⅱ. 특 징 _ 46
Ⅲ. 프랑스의 이원집정제 _ 47
Ⅳ. 이원집정제는 분권형 대통령제인가? _ 48
Ⅴ. 이원집정제의 장점 _ 48
Ⅵ. 이원집정제의 단점 _ 49
Ⅶ. 이원집정제의 성공조건 _ 50
제4절 결론:권력구조론의 정치적 함의 50
Ⅰ. 권력구조와 정치문화 _ 50
Ⅱ. 권력구조 논의의 필요성 _ 51
제5장 대 표 52
Ⅰ. 개 념 _ 52
Ⅱ. 대표의 모델들 _ 52
Ⅲ. 결 론 _ 57
제6장 선 거 58
Ⅰ. 선거의 중요성 _ 58
Ⅱ. 선거의 주요 기능 _ 58
Ⅲ. 선거제도 _ 59
Ⅳ. 선거의 의미 _ 70
제7장 투표행태 71
Ⅰ. 투표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_ 71
Ⅱ. 투표율 _ 75
Ⅲ. 의무투표제 _ 79
Ⅳ. 현직의원의 이점(incumbency advantage) _ 79
Ⅴ. 국민투표(Referendum) _ 80
Ⅵ. 결 론 _ 80
제8장 정당(Political Party) 81
제1절 정당의 기본 개념 81
Ⅰ. 정당의 기본 개념 _ 81
Ⅱ. 정당의 기능 _ 82
Ⅲ. 제도로서의 정당:키(V. O. Key)의 분류법 _ 85
Ⅳ. 정당형태:원내(院內) 정당과 원외(院外) 정당 _ 85
제2절 정당의 존재 가치 86
Ⅰ. 반(反)정당주의론:정당은 ‘사라져야 할 해악’이다 _ 86
Ⅱ. 정당불가피론:정당은 ‘필요악’이다 _ 86
Ⅲ. 정당필수론:정당 없이 민주정부 없다 (by 버크) _ 87
제3절 정당 조직 88
Ⅰ. 정당 조직의 역할 _ 88
Ⅱ. 정당조직의 유형 _ 88
Ⅲ. 정당의 성공과 정당조직 _ 88
Ⅳ. 정당의 자금 _ 90
Ⅴ. 당내민주주의:정당의 공천을 중심으로 _ 91
Ⅵ. 정당의 역사적 변천 모델 _ 96
제4절 정당의 사회적 기반(social base) 103
Ⅰ. 서유럽 _ 103
Ⅱ. 동유럽 _ 104
Ⅲ. 사회적 균열과 정당체계 _ 105
제5절 정당체계(party system) 105
Ⅰ. 기본 개념 _ 105
Ⅱ. 구분 기준 _ 106
Ⅲ. 주요 정당체계 _ 106
Ⅳ. 정당체계와 경제성과 _ 111
Ⅴ. 선거제도와 정당체계 _ 112
Ⅵ. 정당체계와 민주주의 _ 112
제6절 정당의 쇠퇴 113
Ⅰ. 정당의 쇠퇴 현상 _ 113
Ⅱ. 정당의 쇠퇴 원인 _ 113
Ⅲ. 정당 쇠퇴론에 대한 비판 _ 114
Ⅳ. 결 론 _ 115
제9장 의회(Assembly) 117
제1절 의회의 기본개념 117
Ⅰ. 의회의 정의 _ 117
Ⅱ. 의회의 기능 _ 117
제2절 의회의 구조 119
Ⅰ. 양원제 _ 119
Ⅱ. 위원회(committee) 제도 _ 121
제3절 의회 운영 방식 122
Ⅰ. 본회의(plenary session) 중심 의회 _ 122
Ⅱ. 상임위원회(standing committee) 중심 의회 _ 122
Ⅲ. 의회의 운영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_ 122
제4절 의회와 행정부의 관계 123
Ⅰ. 정책을 결정하는(policy-making) 의회 _ 123
Ⅱ.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policy-influencing) 의회 _ 123
Ⅲ. 행정부에 지배되는(executive-dominated) 의회 _ 125
제5절 의회의 제도화(institutionalization) 126
Ⅰ. 기본 개념 및 특징 _ 126
Ⅱ. 제도화 수준을 높이기 위한 조건들 _ 126
Ⅲ. 한국 의회의 제도화 _ 128
제6절 의회의 쇠퇴 129
Ⅰ. 규율이 강한 정당(disciplined party)의 출현 _ 129
Ⅱ. 큰 정부(big government) _ 130
Ⅲ. 리더십의 부족(lack of leadership) _ 130
Ⅳ. 이익집단과 대중매체의 영향력 증대 _ 130
제7절 의회의 부흥(rise) 131
Ⅰ. 소통 장치로서의 의회 _ 131
Ⅱ. 의회업무의 전문화 _ 131
Ⅲ. 평 가 _ 131
제10장 집단정치(Group politics) 132
제1절 집단(group) 정치의 중요성 132
제2절 이익집단(interest group) 132
Ⅰ. 정당과의 비교 _ 132
Ⅱ. 사회운동과의 비교 _ 133
Ⅲ. 이익집단의 종류 _ 133
제3절 집단정치의 모델들 135
Ⅰ. 다원주의 모델 _ 135
Ⅱ. 조합주의(Corporatism) 모델 _ 140
Ⅲ. 신우파 모델(New Right model) _ 143
제4절 집단정치의 영향력 결정요인 147
Ⅰ. 정치문화 _ 147
Ⅱ. 제도적 구조(institutional structure) _ 148
Ⅲ. 정당체계(party system) _ 148
Ⅳ. 공공정책의 스타일 _ 149
제5절 집단의 영향력 행사 방법 및 수단 149
Ⅰ. 집단이 이용할 수 있는 자원들 _ 149
Ⅱ. 집단이 이용할 수 있는 주요 접근 통로 _ 149
제6절 이익집단에 대한 찬반 논쟁 151
Ⅰ. 찬성론 _ 151
Ⅱ. 반대론 _ 152
제7절 이익집단과 대의 민주주의 간의 관계 153
Ⅰ. 보완관계 _ 153
Ⅱ. 대체관계 _ 153
Ⅲ. 결 론 _ 153
제11장 사회운동 154
Ⅰ. 기본개념 _ 154
Ⅱ. 역 사 _ 154
Ⅲ. 신사회운동(New social movement) _ 154
Ⅳ. 탈산업사회와 신사회운동 _ 156
Ⅴ. 구체적 실제 사례 _ 157
제12장 정치 커뮤니케이션 158
제1절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개념 158
Ⅰ. 정의와 중요성 _ 158
Ⅱ.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순기능과 역기능 _ 158
제2절 여론과 대중매체 158
Ⅰ. 여론(public opinion) _ 158
Ⅱ. 대중매체(mass media) _ 160
제3절 대중매체에 관한 이론들 160
Ⅰ. 다원주의 모델 _ 160
Ⅱ. 지배 이데올로기 모델(the dominant-ideology Model) _ 161
Ⅲ. 엘리트 가치 모델 _ 162
Ⅳ. 시장 모델 _ 162
제4절 대중매체와 민주주의 163
Ⅰ. 공적 토론과 정치 참여의 촉진 _ 163
Ⅱ. 권력남용의 견제 _ 163
Ⅲ. 권력과 정치적 영향력의 재분배 _ 163
Ⅳ. 민주주의의 작동 메커니즘 제공:전자민주주의 _ 164
제5절 대중매체와 거버넌스 164
Ⅰ. 정치 리더십의 변환(transformation) _ 164
Ⅱ. 정치문화의 변화 _ 165
Ⅲ. 정책결정 과정의 변화 _ 165
제13장 정치문화(Political Culture) 166
Ⅰ. 정치문화의 중요성 _ 166
Ⅱ. 정치문화의 기본개념 _ 166
Ⅲ. 정치문화 연구의 등장배경 _ 166
Ⅳ. 정치문화의 구성요소 _ 166
Ⅴ. 정치문화의 연구대상 _ 167
Ⅵ. 정치문화의 종류 _ 168
Ⅶ. 시민문화에 대한 비판 _ 170
Ⅷ. 마르크스주의 관점 _ 171
Ⅸ.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_ 173
Ⅹ. 탈물질주의(post-materialism) _ 174
?. 정치문화와 민주주의 발전 _ 176
제14장 법과 정치(Law and Politics) 177
제1절 헌 법 177
Ⅰ. 헌법의 특징 _ 177
제2절 법에 대한 두 가지 관점 177
Ⅰ. 자유주의 관점 _ 177
Ⅱ. 보수주의 관점 _ 178
제3절 사법부 178
Ⅰ. 사법부의 정치적 영향력 _ 178
Ⅱ. 재판관은 정치적인가? _ 179
Ⅲ. 재판관은 정책을 만드는가? _ 180
제15장 하위국가 정치 181
제1절 중앙집권화와 지방분권화 181
Ⅰ. 중앙집권화의 장점 _ 181
Ⅱ. 지방분권화의 장점 _ 181
제2절 중앙-지방 관계(Center-periphery relationships) 182
Ⅰ. 단일제(unitary system) _ 182
Ⅱ. 국가연합(confederation) _ 182
Ⅲ. 연방제(federal system) _ 183
제3절 지방분권화와 민주주의 186
Ⅰ. 참여의 기회 확대 _ 186
Ⅱ. 사례:미국의 직접민주주의 _ 186

제2부
정치경제 189
제1장 경제체제(Economic system) 190
제1절 경제체제의 두 종류:자본주의와 사회주의 190
Ⅰ. 자본주의의 핵심 내용:경제적 의사결정의 분권화 _ 190
Ⅱ. 사회주의의 핵심 내용:경제적 의사결정의 집중화 _ 190
Ⅲ. 구분의 모호함 _ 190
제2절 자본주의 경제체제 190
Ⅰ. 기업자본주의(enterprise capitalism) _ 190
Ⅱ. 사회자본주의(social capitalism) _ 192
Ⅲ. 집단자본주의(collective capitalism) _ 194
제3절 자본주의의 수렴(convergence) 196
Ⅰ. 수렴 명제(convergence thesis) _ 196
Ⅱ. 수렴 명제에 대한 반론 _ 196
Ⅲ. 평 가 _ 197
제4절 간섭국가와 규제국가 197
Ⅰ. 개입국가(interventionist state):혹은 간섭국가 _ 197
Ⅱ. 규제국가(regulatory state) _ 197
제2장 동아시아 발전국가 198
제1절 발전국가의 기본 개념 198
Ⅰ. 정 의 _ 198
Ⅱ. 등장배경 _ 198
제2절 발전국가와 중상주의 199
Ⅰ. 중상주의의 정의 _ 199
Ⅱ. 중상주의의 특징 _ 199
제3절 발전국가의 특징 199
Ⅰ. 정치사회적 요인 _ 199
Ⅱ. 사회구조적 차원 _ 200
Ⅲ. 경제적 차원 _ 200
Ⅳ. 산업정책적 차원 _ 201
제4절 발전국가와 규제국가 201
Ⅰ. 공통점:동일한 목표 _ 201
Ⅱ. 차이점:상이한 접근법 _ 201
제5절 발전국가와 사회주의 202
Ⅰ. 발전국가 _ 202
Ⅱ. 사회주의 국가 _ 202
제6절 발전국가와 다원주의 202
Ⅰ. 발전국가 _ 202
Ⅱ. 다원주의 국가 _ 202
제7절 발전국가의 경제적 한계 203
Ⅰ. 동아시아 금융위기 _ 203
Ⅱ. 비판의 대상:정부와 재벌 _ 203
제8절 발전국가의 정치적 한계 204
Ⅰ. 권위주의적 속성 _ 204
Ⅱ. 경제적 집중 및 상대적 박탈감 _ 204
Ⅲ. 평 가 _ 204
제9절 발전국가의 유산이 남아 있는가? 204
제3장 케인지안 복지국가 205
제1절 복지국가의 기본개념 205
Ⅰ. 정 의 _ 205
Ⅱ. 등장배경 _ 205
Ⅲ. 사상적 기반 _ 205
제2절 복지국가와 케인즈주의 206
Ⅰ. 중상주의와의 비교 _ 206
Ⅱ. 신고전주의 경제학과의 비교 _ 206
Ⅲ. 케인지안 복지국가 _ 207
제3절 복지국가의 의의 207
제4절 복지국가의 쇠퇴 208
Ⅰ. 복지국가의 위기 _ 208
Ⅱ. 구체적 사례:영국 _ 208
Ⅲ. 복지국가의 퇴조 _ 208
제4장 신자유주의(Neoliberalism) 209
제1절 신자유주의의 등장 209
Ⅰ. 등장배경 _ 209
Ⅱ. 신자유주의의 등장 _ 209
제2절 신자유주의의 특징 209
Ⅰ. 신자유주의적 개혁의 내용 _ 209
Ⅱ. 고전적 자유주의와의 비교 _ 209
Ⅲ. 신보수주의와의 비교 _ 210
제3절 신자유주의의 구체적 사례:영국 210
Ⅰ. 통화주의 경제 정책 _ 210
Ⅱ. 규제 완화와 재규제(re-regulation) _ 211
Ⅲ. 규제기관의 탈정부화:감독 기능의 분권화 _ 211
Ⅳ. 관료제의 개혁 _ 212
Ⅴ. 경찰력의 강화 _ 212
제4절 결 론 212
Ⅰ. 신자유주의적 개혁의 결과:규제국가의 등장 _ 212
Ⅱ. 신자유주의 개혁에 대한 평가 _ 212
제5장 조합주의(Corporatism) 213
제1절 조합주의의 기원 213
Ⅰ. 중세유럽의 길드(Guild) _ 213
Ⅱ. 유기체적 국가(organic state):혹은 기관 국가 _ 213
제2절 조합주의의 기본 개념 213
Ⅰ. 경제체제(economic system) _ 213
Ⅱ. 국가의 한 형태 _ 213
Ⅲ. 이익 대표체계 _ 214
Ⅳ. 정책결정 체계 _ 214
제3절 조합주의의 종류 214
Ⅰ. 국가조합주의(state corporatism) _ 214
Ⅱ. 사회조합주의(social corporatism) _ 216
제4절 조합주의의 한계 219
제6장 거버넌스(governance) 221
제1절 거버넌스의 기본개념 221
Ⅰ. 등장배경:규제국가 모델의 이론적 취약성 _ 221
Ⅱ. 거버넌스의 정의 _ 221
Ⅲ. 규제국가와 거버넌스의 비교 _ 221
제2절 거버넌스의 유형 222
Ⅰ. 차이점 _ 222
Ⅱ. 공통점 _ 222
제3절 국가중심이론과 거버넌스이론 223
Ⅰ. 국가중심이론 _ 223
Ⅱ. 거버넌스이론 _ 223
제4절 발전국가 모델 비판 224
Ⅰ. 거래비용 _ 224
Ⅱ. 국가자율성 _ 224
제5절 발전국가 논쟁 225
제6절 시민사회와 사회적 자본 225
Ⅰ. 시민사회 _ 225
Ⅱ.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_ 226
제7장 국제무역의 정치경제 227
제1절 무역의 발생원인 227
Ⅰ. 절대우위론(Absolute advantage) _ 227
Ⅱ. 비교우위론 _ 227
제2절 무역의 이익 227
Ⅰ. 경제학적 관점:효율성 _ 227
Ⅱ. 정치학적 관점:형평성 _ 227
제3절 무역과 산업화 전략 228
Ⅰ. 수입대체 산업화 전략(Import Substitution Industrialization, ISI) _ 228
Ⅱ. 수출주도 산업화 전략(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_ 229
제4절 산업화 전략의 정치학적 함의 230
Ⅰ. 실용적 절충 _ 230
Ⅱ. 정부의 능력 _ 230
Ⅲ. 경제적 선택과 정치적 선택의 조합 _ 230
제8장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231
제1절 등장배경 231
제2절 민주주의와 경제성장의 관계 231
Ⅰ. 주장⑴:민주주의는 경제성장에 긍정적 효과를 미친다. _ 231
Ⅱ. 주장⑵:민주주의는 경제성장에 부정적 효과를 미친다. _ 232
Ⅲ. 평 가 _ 232
제3절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관계 233
Ⅰ. 공생관계 _ 233
Ⅱ. 적대관계 _ 234
Ⅲ. 평가:적대적 공생관계 _ 234
제4절 민주주의의 심화(democratic deepening) 235
Ⅰ. 법적-제도적 민주주의(Formal/Legal Democracy) 모델 _ 235
Ⅱ. 참여민주주의(Participatory Democracy) 모델 _ 235
Ⅲ. 사회민주주의(Social Democracy) 모델 _ 236
Ⅳ. 국가-시장관계 _ 237
제5절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적절한 조합 237
Ⅰ. 자본주의의 요구 _ 237
Ⅱ. 민주주의의 요구 _ 238
Ⅲ. 국가의 역할 _ 238
Ⅳ. 결론:어떤 민주주의인가? _ 238
제3부
정치철학 241
제1장 이데올로기론 242
제1절 이데올로기란 무엇인가 242
제2절 자유주의(Liberalism) 242
Ⅰ. 등장배경 및 전개과정 _ 242
Ⅱ. 자유주의의 구성요소(elements) _ 242
Ⅲ. 고전적 자유주의(Classical liberalism) _ 244
Ⅳ. 현대 자유주의(Modern liberalism) _ 244
제3절 보수주의(Conservatism) 245
Ⅰ. 등장배경 및 전개과정 _ 245
Ⅱ. 보수주의의 구성요소 _ 246
Ⅲ. 온정주의적 보수주의(Paternalistic Conservatism) _ 247
Ⅳ. 신우파(The New Right):신자유주의 + 신보수주의 _ 248
제4절 사회주의(Socialism) 249
Ⅰ. 혁명적 사회주의와 개혁적 사회주의 _ 249
Ⅱ. 사회주의의 구성요소 _ 249
Ⅲ. 맑스주의(Marxism) _ 250
Ⅳ. 사회민주주의(Social democracy) _ 253
Ⅴ. 제3의 길(Third Way) _ 254
제5절 이데올로기의 종언(The end of ideology) 255
Ⅰ. 등장배경 _ 255
Ⅱ. 레이몽 아롱(Raymond Aron) _ 256
Ⅲ. 다니엘 벨(Daniel Bell) _ 256
Ⅳ. 프란시스 후쿠야마(Francis Fukuyama) _ 256
Ⅴ. 앤서니 기든스(Anthony Giddens) _ 256
Ⅵ.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탈근대주의 _ 257
Ⅶ. 평 가 _ 257
제2장 민주주의(Democracy Theory) 258
제1절 민주주의의 본질(nature) 258
Ⅰ. 민주주의의 정의 _ 258
Ⅱ. 민주주의의 본질과 관련된 3가지 주요 질문 _ 259
Ⅲ. 민주주의의 가치 _ 262
Ⅳ. 민주주의의 가치 _ 264
제2절 규범적 민주주의 이론 266
Ⅰ. 고전적 민주주의(classical democracy) _ 266
Ⅱ. 보호적 민주주의(protective democracy) _ 267
Ⅲ. 발전적 민주주의(developmental democracy) _ 268
Ⅳ. 인민민주주의(People's democracy) _ 270
제3절 실증적 민주주의 이론 271
Ⅰ. 다원주의 관점(Pluralist view) _ 271
Ⅱ. 엘리트주의 관점(Elitist view) _ 273
Ⅲ. 조합주의 관점(Corporatist view) _ 276
Ⅳ. 신우파 관점(New Right view) _ 276
Ⅴ. 맑스주의 관점 _ 277
제3장 국가론(State Theory) 280
제1절 국가의 전개과정 280
Ⅰ. 국가의 특징 _ 280
Ⅱ. 국가와 정부의 차이점 _ 280
제2절 규범적 국가이론 281
Ⅰ. 최소국가 _ 281
Ⅱ. 발전국가(developmental state) _ 282
Ⅲ. 사회민주주주의 국가:케인지안 복지국가 _ 283
Ⅳ. 집단화 국가(collectivized state) _ 284
Ⅴ. 전체주의 국가 _ 285
제3절 실증적 국가 이론 286
Ⅰ. 다원주의 국가(pluralist state):다원적 국가관 ? 자유주의 국가관 _ 286
Ⅱ. 자본주의 국가(the capitalist state):계급국가관 ? 맑스주의 국가관 _ 289
Ⅲ. 과대 팽창 국가 ? 신우파의 국가관 _ 291
Ⅳ. 가부장제 국가(patriarchal state) ? 페미니즘의 국가관 _ 292
제4절 국가와 사회 관계 293
Ⅰ. 다원적 국가관:다원주의적 국가론 _ 293
Ⅱ. 계급국가관:맑스주의적 국가론 _ 293
Ⅲ. 일원적 국가관:국가주의적 국가론 혹은 국가중심적 국가론(Statist Theory) _ 293
제5절 국가와 시장 관계 294
Ⅰ. 공공재 국가 _ 294
Ⅱ. 거시경제안정 국가(Macroeconomic Stabilization State) _ 295
Ⅲ. 사회권익 국가(Social Rights State) _ 295


제4부
국제정치 299
제1장 이상주의(Idealism) 300
제1절 이상주의의 등장배경 300
Ⅰ. 1차 세계대전의 발발 _ 300
Ⅱ. 우드로 윌슨(Woodrow Wilson) _ 300
제2절 이상주의의 특징 300
Ⅰ. 이상주의의 가정 _ 300
Ⅱ. 현실주의와의 비교:전쟁의 원인과 관련하여 _ 300
Ⅲ. 제도(institution)의 중요성 _ 301
Ⅳ. 평 가 _ 301
Ⅴ. 이상주의의 실패:2차 대전의 발발 _ 301
Ⅵ. 국제연합(UN) _ 301
제3절 이상주의와 집단안전보장제도 302
Ⅰ. 등장배경:동맹의 위험성 인식 _ 302
Ⅱ. 집단안보(collective security) _ 302
Ⅲ. LN과 UN의 집단안보 _ 303
Ⅳ. 집단안보의 작동조건 _ 303
Ⅴ. 집단안보와 약소국 _ 304
제4절 이상주의에 대한 비판 305
Ⅰ. 카(E. H. Carr)의 비판 _ 305
Ⅱ. 허들리 불(Hedley Bull)의 비판 _ 305
제5절 탈냉전시대에 있어서의 이상주의의 적실성 305
Ⅰ. 탈냉전기의 특징 _ 305
Ⅱ. 현실주의와 이상주의의 적절한 결합 _ 306
제2장 현실주의(Realism) 307
제1절 현실주의의 특징 307
Ⅰ. 주요 가정 _ 307
제2절 전통적 현실주의(Traditional Realism):1940-1960년대 308
Ⅰ. 등장배경 _ 308
Ⅱ. 전통적 현실주의의 가설 및 명제 _ 308
제3절 행태주의적 현실주의:1950-1960년대 311
Ⅰ. 국가수준의 행태주의적 현실주의 _ 311
Ⅱ. 체제수준의 행태주의적 현실주의 이론 _ 313
Ⅲ. 후기 행태주의(Post-Behavioralism) _ 315
제4절 신현실주의(Neorealism):1980년대 315
Ⅰ. 왈츠의 신현실주의 _ 315
Ⅱ. 패권안정이론 _ 319
Ⅲ. 공격적 현실주의 _ 320
Ⅳ. 세력전이이론(Power Transition Theory) _ 321
제5절 신고전적 현실주의(Neoclassical realism) 322
Ⅰ. 등장배경 _ 322
Ⅱ. 신고전적 현실주의의 핵심 내용 _ 322
Ⅲ. 이익균형론(balance of interests) _ 323
제3장 자유주의(Liberalism) 324
제1절 특 징 324
Ⅰ. 현실주의에 대한 비판 _ 324
Ⅱ. 자유주의 시각의 가정 _ 324
제2절 외교정책결정 이론 325
Ⅰ. 특징:현실주의 외교정책 결정이론과의 비교 _ 325
Ⅱ. 제한된 합리성 모델 (Limited Rationality Model) _ 325
Ⅲ. 엘리슨(Graham Allison)의 외교정책결정모델 _ 326
제3절 통합이론 327
Ⅰ. 연방주의(federalism) _ 327
Ⅱ. 기능주의(Fuctionalism) _ 328
Ⅲ. 신기능주의(neofunctionalism) _ 329
Ⅳ. 통합이론의 쇠퇴와 재기 _ 331
제4절 상호의존론 331
Ⅰ. 현실주의와의 비교 _ 331
Ⅱ. 특 징 _ 331
Ⅲ. 상호의존과 안보적 외부효과 _ 333
Ⅳ. 자유무역과 안보 _ 333
Ⅴ. 상호의존론의 적용 사례 _ 333
제5절 신자유주의(Neoliberalism)   334
Ⅰ. 신자유주의의 가정 _ 334
Ⅱ. 현실주의와의 비교 _ 335
Ⅲ. 패권안정론과 신자유주의 비교 _ 336
Ⅳ. 신자유주의의 두 가지 접근법 _ 336
Ⅴ. 신자유주의 이론의 적용 _ 338
제6절 민주평화론(Democratic Peace Theory) 339
Ⅰ. 등장배경 _ 339
Ⅱ. 민주평화론의 핵심 명제 _ 340
Ⅲ. 민주평화론의 논거 _ 340
Ⅳ. 민주평화론에 대한 비판 _ 342
Ⅴ. 민주평화론의 함의 _ 342
Ⅵ. 민주평화론과 동아시아 국제정치 _ 343
제4장 구성주의(Constructivism) 344
제1절 등장배경 344
Ⅰ.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 비판 _ 344
제2절 구성주의의 접근법 344
Ⅰ. 합리주의적 접근법 _ 344
Ⅱ. 구성주의의 접근 _ 344
제3절 구성주의의 특징 345
Ⅰ. 구 조 _ 345
Ⅱ. 상호구성성:쌍방향성 _ 346
제4절 신현실주의와의 비교 346
Ⅰ. 신현실주의 _ 346
Ⅱ. 구성주의 _ 347
제5절 구체적 사례 347
Ⅰ. 냉전의 종식 _ 347
Ⅱ. NATO와 EU의 확대 _ 348
Ⅲ. 환경, 인권, 빈곤 문제 _ 348
Ⅳ. 중일관계의 미래와 동북아의 안정 _ 348
Ⅴ. 남북관계 _ 349
제6절 구성주의에 대한 비판 349
제7절 평 가 349
제5장 구조주의(Structuralism) 350
제1절 특징과 등장배경 350
Ⅰ. 특 징 _ 350
Ⅱ. 등장배경 _ 350
제2절 가정과 타 시각과의 비교 350
Ⅰ. 구조주의의 가정 _ 350
Ⅱ. 타 시각과의 구별 _ 351
제3절 종속이론 352
제4절 세계체제론(the Capitalist World System) 353
Ⅰ. 특 징 _ 353
Ⅱ. 핵심 개념 _ 353
Ⅲ. 비교우위론에 대한 비판 _ 354
제5절 국가간 불평등 문제의 해결책(타 시각과의 비교) 354
Ⅰ. 자유주의 _ 354
Ⅱ. 현실주의 _ 354
제6절 구조주의에 대한 비판 354
Ⅰ. 인과관계에 대한 의견의 불일치 _ 354
Ⅱ. 정치적 요인에 대한 과소평가 _ 354
Ⅲ. 국내변수에 대한 과소평가 _ 355
Ⅳ. 대안적인 세계질서에 대한 모호성 _ 355

저자소개

저자 : 김희철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