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대승은 끝났다

대승은 끝났다

  • 시현
  • |
  • 불광출판사
  • |
  • 2018-03-26 출간
  • |
  • 592페이지
  • |
  • 159 X 234 X 34 mm /959g
  • |
  • ISBN 9788974793913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2,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파대승 근현본(破大乘 顯根本)


이 책은 대승이 근본불교를 어떻게 변형시켰는지, 그 사상은 근본불교와 일치하는지, 또한 그 수행 방법과 결과물은 근본 가르침과 일치하는지, 더불어 한국불교의 주된 수행법인 간화선의 수행 내용과 그 깨달음은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수행법과 어느 정도 부합하는지 등의 질문을 던진다.
저자 스스로를 포함해 많은 출가 수행자들이 지금까지 수 년, 수십 년을 대승경전에 입각한 수행을 나름대로 열심히 해 왔지만 별다른 진보를 경험하지 못하고 대승은 뭔가 이상하다는 느낌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다.
그렇다면 처음부터 다시 되짚어 봐야 한다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다.
우선 저자는 네 가지 측면에 주목한다. 즉 기본자세, 계율 조목, 실체 사상, 수행 방법에 있어서 대승은 불교일 수 없다는 것이 이 책의 요지다. 이 책의 대승에 대한 비판은 이 네 가지 측면으로 이루어지지만 세 가지 측면으로 주요하게 다룬다. △ 니까야와 아함을 비롯해 초기에 형성된 경전과 대승이 출현한 이후 만들어진 경전 사이의 간극을 추적해 논리적이지 않은 부분을 제거하는 작업 △ 기본 개념의 선명화, 그리고 이를 위해 중요 번역어 하나하나를 추적해 가는 작업 △ 출가자의 수행 정신과 맞지 않는 부분을 파헤쳐 가는 작업.
특히 이 책에서는 기존의 번역과 차별성을 갖는 번역어와 기본 개념들이 주석으로 방대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번역어와 그 개념을 하나씩 잡아나가다 보면 불교 전체를 관통하고 회통하는 희열을 맛볼 수 있다.
더불어 저자는 대승뿐 아니라 아비담마 철학에 대해서도 날카로운 비판의 칼을 들이댄다. 저자의 주장은 남방 상좌부 불교에도 북방의 대승에도 있지 않다. ‘근본불교’로 돌아가자는 것이다.
특히 근래 있었던 깨달음 논쟁과 관련해 제 4편에 실린 ‘수행’의 글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선입견을 갖지 않고 읽는다면 한국불교에 새로운 희망을 불어넣을 수 있는 가능성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대승의 수행법은 부처님의 전생 수행법으로 퇴보

또 하나 이 책에서 가장 주목해 볼 부분은 대승에 대한 비판을 넘어서 깨달음에 대해 논한 대목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대승의 수행법은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기 위해 걸었던 수행법이 아니라 부처님의 ‘전생 수행법’이라고 일갈한다.
근본불교에서는 성스러운 8차선의 길(팔정도)이 승속을 아우르는 수행법이었음에 비해 대승에서 제시된 승속의 공통 수행법은 대개 ‘6바라밀’과 ‘네 가지 무량한 마음(사무량심)’으로 집약할 수 있다. 하지만 저자는 ‘6바라밀’과 ‘네 가지 무량함’ 등은 모두 부처님의 전생 수행법이라고 주장한다.
책 속의 다음과 같은 대목은 주목할 만하다.

“예컨대 ‘아무것도 없는 영역’이나 ‘인지가 있지도 없지도 않은 영역’은 외도들이 달성한 순
수 고정됨의 수행법이었고 부처님도 보살 시절에 외도의 제자가 되어 달성한 수행법이었다. 그리고 그것을 부처를 이룬 후에 차용했다. 매우 유용한 수행 과정이지만 그 자체로 직접적인 핵심이 될 수는 없는 수행법이다. 또한 단순히 두 영역을 다루고 주장한다고 해서 불교
만의 수행법이라고 단정할 수도 없는 것이다. 그와 같이 부처님이 전생의 보살 시절에 닦은 수행법이라고 해서 불교만의 순수한 핵심 수행법으로 다루어질 당위성은 없다.”
(448쪽 「부처님의 전생 수행법」 중)

그렇다면 저자는 무엇을 불교 수행법의 핵심으로 보는 것일까?
저자는 간화선에 다시 한 번 주목한다.
△ 깨달음의 인가와 그 족보는 정법의 안목으로 보자면 바람직하지 않은 인습이지만 간화선의 정통성을 보여주는 나름대로의 증빙 자료일 수 있다. 인가를 통한 깨달음의 족보에 정당성과 신빙성의 문제가 있다 하더라도 그런 깨달은 종장들의 역사적인 실존과 그들의 교류는 부정할 수 없고 계파가 다를지라도 서로서로 경지를 확인하고 인정한 사실도 부정할 수 없다.
△ 화두 수행으로 깨달음을 얻을 때의 찰나적인 체험에 대한 묘사가 근본불교의 수행법으로 깨달았을 때의 묘사와 동질의 것이라는 점에서 간화선의 깨달음에 정통성을 부여할 수 있다.
△ 간화선의 의심 수행은 단순관찰의 성질을 가진다. 관찰의 성질이 있다면 알아차림 수행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수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선정 현상은 근본불교의 네 가지 명상들과 일치한다.

저자는 결국 의심 끝에 깨달음에 이르는 간화선의 깨달음은 근본불교의 깨달음과 일치한다고 말한다.

이 책은 많은 논란이 일 수도 있다. 우리에게는 너무 낯선 이야기들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미 비슷한 논쟁이 일본에서는 19세기부터 진행되어 왔으며 현재 일본은 대승과 남방불교를 넘어선 불교 3.0에 대해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논쟁이 부재한 한국불교의 토양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러하기에 교학과 수행 양 측면에서 저자의 문제 제기는 우리가 딛고 선 땅을 더욱 단단히 하기 위해서라도 충분히 귀담아 들을 만하다.


목차


제1편 기본
도명(盜名)하는 자가 어찌 올바른 자랴!
1 부처의 이름으로 부처를 쳐내다
2 대승의 종착역, 티베트와 달라이 라마
3 근본 없는 초기란 없다
4 근본경전들의 신빙성
5 교상판석의 잘못
6 누가 대승경전을 창작했나
7 거짓말의 시작 - 아비담마 철학

제2편 계율
데와닷따의 일은 불법승의 일이 아닙니다
8 데와닷따의 반역
9 대승의 시조, 데와닷따
10 계와 율의 차이
11 데와닷따의 부활 ①
12 데와닷따의 부활 ②
13 『보살계』의 작자
14 대승의 무분별 ① - 마음 제일주의
15 3면으로 청정한 고기
16 『보살계』가 불교의 계율일 수 없는 이유
17 공부조목의 오역
18 소소계란 무엇일까?
19 대승의 무분별 ② - 스님과 승복
20 스님과 속인의 분기점
21 보살은 스님? 신도?
22 우란분재와 천도
23 또 다른 분열 - 『선원청규』
24 규제를 제정한 첫 번째 취지

제3편 사상
윤회하느냐 소멸하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25 궁극의 세계 - 상적광토
26 열반이란 ‘꺼짐’이다
27 윤회하느냐 소멸하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28 허무란 ‘착각’이다
29 상(想, sa???)이란 ‘인지’다
30 아비담마 철학의 과오 ① - 마음
31 5온을 모르는데 5온의 공함을 알랴!
32 아비담마 철학의 과오 ② - 법
33 진리란 무엇인가
34 진리를 몰라보는 이유
35 근본불교에서 부정한 실체 - 자기
36 5온과 5취온의 차이점
37 12연기를 절단 낸 3세양중인과
38 아비담마 철학의 과오 ③ - 명색
39 창조신의 기원 - 유무극단
40 무한소급의 오류 ① - 관념론적 실체
41 무한소급의 오류 ② - 유물론적 실체
42 『대승기신론』의 실체 - 중생심
43 대승의 실체 ① - 일심
44 대승의 실체 ② - 여래장
45 대승의 실체 ③ - 불성
46 대승의 실체 ④ - 공성
47 본래 없는 그 자리가 진아?
48 『금강경』의 문제점 - 구마라집의 번역
49 대승의 실체 ⑤ - 아뢰야식
50 최악의 대승경전 - 『아미타경』
51 3법인도 모르는 틱낫한

제4편 수행
부처님의 전생 수행으로 퇴행하다
52 당신의 발심 출가는 옹졸한 짓입니다!
53 오로지 자기만을 위해 삽시다
54 불교 수행의 전체 개괄
55 사띠(sati, 念)는 ‘상기’다
56 상기와 멈춤과 분석관찰의 관계
57 네 가지 명상들의 바른 이해
58 외통길인 4념처
59 승속의 공통된 수행법
60 부처님의 전생 수행법
61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은 수행법
62 깨달음을 점검하는 잣대
63 예류자, 시한부 인생에 접어들다
64 불환자, 진흙 속의 연꽃
65 동격자, 생사를 해결하다
66 이때 세상에는 여섯 명의 동격자가 있게 되었다
67 불교 수행은 점수점오
68 『화엄경』에서의 깨달음
69 염불 수행의 왜곡
70 간화선의 정통성
71 네 번째 명상과 화두일여
72 선불교는 예류자의 불교
73 간화선의 한계
74 예류자 불교의 한계
75 묵조선의 폐단
76 달마의 한계
77 밀교, 그 비밀스러움과 사악함

제5편 평가
대승은 더 이상 불교가 아닙니다
78 대승의 환불
79 대승은 제3의 종교
80 대승의 종말
81 필요악으로서의 대승
82 한국불교의 미래

- 쓰고 나서
부록 1 진리의 경
부록 2 총 스님에게
부록 3 찾아보기 번역 대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