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교실평가의 원리와 실제 기준참조수업과의 연계

교실평가의 원리와 실제 기준참조수업과의 연계

  • JamesH.McMillan
  • |
  • 교육과학사
  • |
  • 2015-03-20 출간
  • |
  • 447페이지
  • |
  • 188 X 257 mm
  • |
  • ISBN 9788925409313
판매가

24,000원

즉시할인가

23,76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3,76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기존의 교육평가 저서들과 비교해 보았을 때, 본 역서의 가장 큰 장점은 교수학습 과정에서 평가의 역할을 강조하고, 수업과 평가의 통합을 위한 다양한 교실평가의 원리와 실제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6판을 개정하면서 최근 강조되고 있는 "학습을 위한 평가" 또는 "형성평가"의 원리와 다양한 형성평가의 기법 등을 소개하고 있다는 점은 기존 교육평가 저서들과 비교할 때, 가장 큰 강점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역서에서는 대규모 책무성 평가와 교실평가의 연계를 강조하고, 기준참조(standard-based) 수업을 위한 교사의 교실 내 평가활동의 방향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역서는 지나치게 어려운 통계나 측정의 기술적인 용어들을 배제하고, 현직 또는 예비 교사 및 교육전문가들에게 현장에 기초한 예시를 제공하여,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교육평가 내용을 체계적으로 조직하였다.


목차


제1장 교수에서 평가의 역할

1. 교실평가의 거시적 맥락 25
1) 21세기 핵심역량 26
2) 기술공학 26
3) 인지, 사회문화적 학습과 동기의 원리 26
4) 기준 참조적 교육 29
5) 고부담 검사 30
2. 수업과 평가의 통합 32
1) 교수의 현실 32
2) 수업단계별 교사의 의사결정과 평가 34
3. 교실평가의 구성 요소 37
1) 평가 목적 38
2) 측정 39
3) 해석 39
4) 활용 39
4. 교실평가의 최신 동향 41
5. 교사의 교실평가와 성적부여 결정 44
6. 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 기준 46
7. 요약 48

제2장 성취기준과 인지적 학습 목표

1. 학생이 성취해야 할 목표에 대한 이해 52
1) 총괄적인 개념 파악 52
2) 교육 목적 54
3) 성취기준 54
4) 주 단위 성취기준 56
5) 공통 핵심 주 단위 성취기준 60
6) 교육 목표 62
7) 교육 목표 분류 64
2. 학습 목표 68
3. 지식 목표의 유형 72
1) 지식의 표현 72
2) 명제적 지식과 이해 74
3) 절차적 지식과 이해 75
4) 심층적 이해와 추론 75
4. 학습목표를 선정하기 위한 준거 79
5. 요약 80

제3장 질 높은 교실평가
1. 질 높은 교실평가 84
2. 명료하고 적절한 학습 목표 85
3. 평가방법과 학습목표 간의 연계 85
1) 평가방법의 유형 86
2) 학습목표와 평가방법 간의 관계 88
4. 타당도 90
1) 타당한 평가란? 90
2) 타당도의 측정방법 91
5. 신뢰도 97
1) 신뢰로운 점수란? 97
2) 평가오차 98
3) 교실평가에서 신뢰도의 판단방법 100
4) 교실평가의 신뢰도 향상방법 101
6. 공정성 102
1) 투명성 103
2) 학습기회 104
3) 사전 지식과 기술 104
4) 고정관념 105
5) 평가도구 및 절차의 편파 105
6) 특수교육대상에 대한 편의 제공 107
7) 교실평가를 위한 공정성 모형 107
7. 긍정적 결과 109
1) 학생을 위한 긍정적인 결과 109
2) 교사를 위한 긍정적인 결과 110
8. 평가와 성취기준과의 연계 111
9. 실용성과 효율성 113
1) 평가방법에 대한 교사의 친숙성 114
2) 소요 시간 114
3) 시행의 복잡성 115
4) 채점의 용이성 115
5) 해석의 용이성 115
6) 비용 116
10. 요약 116

제4장 형성평가 I: 학습증거 수집과 해석
1. 형성평가란 무엇인가? 120
1) 형성평가의 과정 121
2) 형성평가의 특징 122
2. 비공식적 형성평가의 증거 수집 124
1) 비공식적 관찰 125
2) 비공식적 질문 134
3) 효과적인 질문의 특징 136
3. 공식적 형성 평가 144
1) 구체적 활동 144
2) 사전 시험 145
3) 숙제 146
4) 수업에서의 과제 146
5) 퀴즈와 단원평가 147
6) 교실 답변 시스템 147
6) 중간평가 148
4. 요약 149

제5장 형성평가 II: 피드백과 수업 조절
1. 효과적인 피드백 제공 152
2. 피드백 유형 154
1) 목표 참조 피드백 155
2) 스캐폴딩 피드백 156
3) 자기 참조 피드백 156
4) 기준 참조 피드백 157
3. 피드백의 특성을 결정하는 요소들 158
1) 양 158
2) 시기 159
3) 전달방식 159
4) 청중 160
5) 과제의 종류 160
4. 차별화된 형성적 피드백 161
1) 학습자 능력 수준 161
2) 학년 수준 162
3) 과목 162
5. 예상 피드백 163
6. 칭찬 165
7. 수업 조절 166
1) 완전학습 168
2) 차별화된 수업 - 개별화 수업 168
3) 중재반응모델 170
4) 학습진전 171
5) 수업 조절 모형 172
8. 요약 173

제6장 총괄평가의 계획과 실행
1. 총괄평가 계획 177
1) 대표적 표본 선정 177
2) 평가 청사진 활용 178
3) 문항 수 179
2. 평가의 횟수와 길이 179
1) 학년 수준 180
2) 문항 유형 181
3) 교재에 포함된 평가와 평가 전문 회사나 교육청에서 만든 평가 181
3. 학생들을 총괄평가에 대비시키기 182
1) 총괄평가 구성 시기 186
4. 총괄평가 만들기 188
1) 평가 지시문 만들기 188
2) 문항 배열 190
3) 레이아웃 190
5. 총괄평가 실시 191
6. 총괄평가의 활용 192
7. 요약 193

제7장 선택형 평가: 선다형, 양자택일형, 연결형 문항
1. 선다형 196
1) 지식과 이해 평가 204
2) 적용 평가 206
3) 심층 이해와 추론 평가 208
2. 양자택일형 문항 212
1) 지식과 이해 평가 213
2) 심층 이해와 추론 평가 216
3) 적용 평가 217
3. 연결형 문항 217
4. 선택반응 해석 문제 221
1) 이해 평가 223
2) 심층 이해와 추론 평가 225
5. 기술기반 선택형 문항 227
6. 요약 228

제8장 구성형 평가: 완성형, 단답형, 에시이 문항
1. 올바른 구성형 문항 유형 선택 232
2. 완성형 문항 233
3. 단답형 문항 237
1) 지식과 이해 평가 237
2) 심층 이해와 추론 평가 240
4. 에세이 문항 243
1) 에세이 문항 작성 245
2) 에세이 채점 249
5. 구성형 문항의 기술-기반 채점 253
6. 요약 254

제9장 수행평가
1. 수행평가란 무엇인가? 258
2. 수행평가의 강점과 한계 260
1) 장점 260
2) 단점 261
3. 수행평가를 위한 학습 목표 263
1) 심층이해 263
2) 추론 264
3) 기술 264
4) 결과물 267
4. 수행 과제 구성하기 269
1) 1단계: 수행 과제 확인 269
2) 2단계: 과제 설명 준비 271
3) 3단계: 수행 과제 질문이나 프롬프트 준비 273
5. 수행 준거 279
6. 채점과 평가 280
1) 체크리스트 281
2) 평정척도 281
3) 루브릭 283
4) 루브릭 개발하기 284
7. 요약 293

제10장 포트폴리오와 e-포트폴리오
1. 포트폴리오란 무엇인가? 298
1) 장점 300
2) 단점 302
2. 포트폴리오 평가 계획하기 303
1) 목적 304
2) 물리적 그리고/또는 디지털 구조 파악하기 306
3) 내용물의 본질 정하기 308
4) 학생의 자기 성찰 가이드라인과 채점 준거 정하기 308
3. 포트폴리오 평가 실현하기 308
1) 학생들과의 검토 309
2) 포트폴리오 내용 공급하기 309
3) 학생의 자기 성찰 311
4) 교사 평가와 피드백 314
5) 학생-교사 면담 316
4. e-포트폴리오 317
5. 요약 319

제11장 비인지적 기질과 능력 평가
1. "비인지적" 기질과 능력이 중요한가? 322
2. 기질적 특성과 학습 목표란 무엇인가? 324
1) 태도 목표 325
2) 가치 목표 327
3) 동기 목표 328
4) 자아개념 목표 329
5) 자아효능감 목표 330
3. 대인기술 학습목표 331
4. "비인지적" 기질과 능력의 평가 방법 334
1) 교사의 관찰 335
2) 교사의 인터뷰 341
3) 학생의 자기보고 질문과 설문 342
4) 학생의 자기평가 352
5) 어떤 방법들을 단독으로 또는 결합해서 사용해야 하는가? 359
5. 요약 360

제12장 성적 부여와 보고
1. 성적 부여 과정에서의 교사 전문성 364
1) 객관성 364
2) 교사의 성적 결정 367
2. 성적 부여의 기능 368
1) 피드백 제공 368
2) 비교의 틀 369
3) 동기 375
4) 학업성취도 이외의 요소 활용 377
3. 성적 처리 및 부여 방법 380
1) 문자 등급 381
2) 정답률 383
3) 루브릭/점검표 383
4) 기준 기반 등급 384
5) 문장제 기술 386
4. 성적표 작성을 위한 최종 성적 결정 386
1) 최종 성적에 포함될 요소의 선택 387
2) 평가의 비중 결정 388
3) 각 점수를 합산하여 성적 결정 390
5. 학생 성취를 학부모에게 보고 396
1) 성적표 396
2) 향상 정보 보고 396
3) 학부모-교사 협의 397
4) 학생 주도적 협의 399
6. 요약 399

제13장 표준화 및 기준참조검사
1. 표준화 및 기준참조검사 404
1) 표준화검사 404
2) 규준참조적 성취도 검사 405
3) 기준참조검사 408
2. 검사 결과의 보고 412
1) 성적표 유형 412
2) 검사 점수의 해석 413
3. 학부모를 위한 검사결과 해석 419
4. 학생의 시험 준비 420
5. 검사의 시행 423
6. 요약 424

참고문헌 426
찾아보기 443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