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고효율 에너지저장산업과 차세대 이차전지 기술개발 동향

고효율 에너지저장산업과 차세대 이차전지 기술개발 동향

  • RIsearch센터
  • |
  • 산업정책분석원
  • |
  • 2017-07-20 출간
  • |
  • 522페이지
  • |
  • 210 X 298 X 30 mm /1645g
  • |
  • ISBN 9791185782249
판매가

320,000원

즉시할인가

28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88,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 이차전지 관련 산업이 소형 중심에서 중?대형으로 확대됨에 따라 관련 산업환경 또한 급변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장 변화에 맞춰 관련 원천 기술을 선점하는 것이 중요하다.

에너지저장시스템산업은 과거 양수발전에서 리튬이온전지를 앞세운 이차전지산업 중심으로 산업구조가 재편되고 있는 상황이다. 에너지저장시스템산업은 고밀도ㆍ고출력을 요구하는 시장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소재 간의 최적화된 조합이 중요하여 해당 기술에 특화된 소재산업과의 긴밀한 협력관계 구축이 중요하다. 더불어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소재의 개발 등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 선진국을 중심으로 고효율이며 온실가스의 배출량이 획기적으로 절감되는 대용량 에너지저장 장치에 대한 관심 증대 및 시장 확대 등으로 단기간에 급속히 시장이 확대될 전망이다. 전력저장용 대형 이차전지 관련 기슬 중 리튬이온이차전지를 제외한 기술력은 주요 선진국과 대비하여 열악한 상태이며 특히 부품 및 소재 관련기술은 매우 취약한 편이다.
□ 이차전지 산업은 기술집약적인 산업이고 전후방 산업에 막대한 영행을 미치며 전방산업에 위치한 전기자동차, 전력저장장치, 로봇, 모바일 기기 등 핵심부품으로 사용되어 이차전지의 개발 여부가 전방산업의 존폐가 좌우된다. 레독스 플로우 배터리는 일반적인 이차전지 산업과 같이 후방산업인 부품 및 소재 산업, 그리고 전방사업인 대용량 전력저장장치 및 전기자동차 등으로 구성된다.

스마트 IT기기의 보급 확대, 글로벌 연비규제 강화,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증대 등으로 인해 이차전지 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으로 IT기기, 그린카, 대용량 저장장치 분야에서 이차전지는 필수 핵심부품이다.

이차전지 산업은 기술집약적인 산업에 해당되며, 한국의 경우 전지 제조 기술에서는 선진국과 대등한 기술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1위의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나 부품 소재 관련 기술은 매우 취약한 편이다. 이차전지 시장이 보다 확대되기 위해서는 수명 증대, 안정성, 신뢰성, 가격 인하 등이 기술적으로 선결되어야 한다.

전고체전지의 경우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고체전해질, 양극 복합화, 양ㆍ음극 및 고체전해질 계면, 바이폴라 셀 제조, 이온전도도 향상에 관련한 기술의 개발이 수반돼야 한다.

이차전지시장은 정보기술(IT)기기용의 소형전지에서 전기차 및 에너지저장장치(ESS)용 중대형 이차전지로 중심이 이동하고 있으며, 특히, 전기차용 중대형 전지시장이 ‘20년까지 연평균 약 30%이상 고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유망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다.

□ 에너지 저장/관리 시스템 산업은 xEV 자동차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전지산업과 자동차산업, 그리고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기반산업 등의 육성 지원을 필요로 하고, 이는 국가산업 전반에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신성장 동력으로써의 역할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라고 일컬을 정도로 xEV 자동차의 등장이 자동차 산업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 전반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며, 우리나라는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전지산업을 바탕으로 범국가적인 산업 발전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 모바일 IT 산업을 넘어 자동차, 신재생 에너지, 전력 산업을 재탄생시킬 융ㆍ복합화 창조경제시대의 신산업 창출의 핵심이다.
○ 에너지 저장 산업의 성장은 후방 산업의 기술개발 토대로 전방산업의 신규 시장 선점 등 산업장벽을 뛰어넘는 동반성장 시너지 효과가 발생된다.

□ 이차전지는 모바일 IT기기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에너지밀도와 고출력 특성을 요구하는 전기차, ESS, 로봇 등 중대형 전지시장으로 응용분야가 확대되어 감에 따라 리튬이차전지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 리튬이차전지는 현재 모바일 IT용 전원이 대부분이나, ’20년에는 336억 달러 중 모바일 IT용 55%, 전기차용 42%, 에너지저장용 3%로 전기차 중심의 중대형 전지분야의 비중 확대가 전망된다.

□ 중대형 이차전지 시장은 앞으로 대폭적인 시장 확대가 예상되는 만큼 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선진국은 기초ㆍ원천기술력 확보를 위한 국가적인 지원체제를 구축하고 R&D; 투자를 늘리며 국제 M&A;도 가속화하고 있다. 현재 한국ㆍ일본ㆍ중국이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지만 미국과 유럽도 투자를 늘리면서 이차전지 산업에서 선두주자로 나서려는 전략을 꾀하고 있다.

□ 이차전지 기술의 근본적인 문제는 에너지 생성장치가 아닌 에너지 저장장치라는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더 많은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의 경우 한번 충전해 장거리를 주행할수록 유리하지만 이차전지 용량에 한계가 있어 주행거리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 또한 현재 기술로는 충전시간이 1시간 넘게 걸려 불편하고 충전할 수 있는 인프라도 여전히 부족하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기자동차를 대량 보급하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어 이를 극복할 신형 전지에 대한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 이차전지 용도가 전기자동차, 에너지저장 등으로 용도가 확대되면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 4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생산과 소비의 능동적인 소통이 가능한 진정한 스마트시대의 도래를 의미한다.
○ 전기차로 대변되는 스마트카, 에너지저장 기술이 핵심인 스마트그리드 등 전기 수요를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핵심기술로 이차전지가 주목받고 있다.


목차


제1편 에너지저장산업
제Ⅰ장 에너지저장 산업 현황과 시장 전망
1. 에너지저장시스템(ESS) 개요
1) 에너지저장시스템의 개념 및 구성요소
(1) 에너지저장시스템의 개념
(2) 에너지저장시스템의 구성요소와 분류
가. 구성요소
나. 분류
(3) 배터리 ESS 기술 개요
가. 나트륨황전지 (NaS Battery)
나. 레독스 흐름전지 (Redox Flow Battery, RFB)
다. 리튬이온전지 (Lithium Ion Battery, LIB)
2)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종류 및 특징
(1) 에너지저장기술
(2) 전기저장기술
가. 양수발전 (PHS, Pumped Hydro Storage)
나. 압축공기에너지저장 (CAES, Compressed Air Energy Storagel)
다. 플라이휠 (Flywheel)
라. 리튬이온 전지 (LIB, Lithium Ion Battery))
마. 나트륨황 전지 (NaS)
바. 레독스 흐름전지 (RFB, Redox Flow Battery)
사. 슈퍼커패시터 (Super Capacity)
(3) 열에너지저장기술
가. 저열 에너지 저장시스템
나. 중열 에너지저장시스템
3) 전기화학 저장장치
(1) 이차전지
가. 납산 전지 (LA, Lead Acid)
나. 니켈 카드뮴, 니켈 메탈 하이브라이드 전지 (NiCd, NiMH)
다. 리튬 이온 전지 (Li-ion)
라. 메탈 에어 전지 (Me-air)
마. 소듐 설퍼 전지 (NaS)
바. 소듐 니켈 클로라이드 전지 (NaNiCl)
(2) 플로우 전지
가. 레독스 플로우 전지 (RFB)
나. 하이브리드 플로우 전지 (HFB)
4) 전기저장장치
(1) 이중층 커패시터 (DLC)
(2) 초전도 자기 에너지 저장 (SMES)
2. 에너지저장시스템 산업현황과 정책분석
1) 에너지저장시스템 산업현황
(1) 산업현황 및 전망
가. 산업구조
나. 시장규모 및 전망
(2) 가격 및 시스템 단가
(3) 에너지저장시스템 기술별 전지산업 분석
가. 리튬이온전지 (Lithium-ion Batteries, LIB)
나. 레독스 흐름전지 (Redox Flow Batteries, RFB)
다. 나트륨황전지 (Sodium-Sulfuide Batteries, NaS)
라. 슈퍼 커패시터
마. 플라이휠 에너지저장시스템
(4) 전력변환 및 배터리·에너지관리시스템 분석
가. 전력변환시스템 (Power Converter System, PCS)
나. 배터리관리시스템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다. 에너지관리시스템 (Energy Management System, EMS)
라. 시스템통합 (System Integrator Company, SI)
2) 주요국의 에너지저장시스템 도입현황 및 관련 정책
(1) 세계 에너지저장시스템의 도입현황
(2) 주요국 에너지저장시스템의 도입배경 및 관련 정책
가. 미국
나. 독일
다. 영국
라. 일본
마. 한국
3) 국내외 에너지저장시스템 실증 및 보급 정책 분석
(1) 해외 정책
가. 미국
나. 일본
다. 유럽
(2) 국내 정책
4) 2030년까지 EES 시장 예측
(1) 전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EES 시장 가능성
가. Sandia 국립연구소(USA)의 EES 시장 예측
나. 보스턴 컨설팅 그룹(BCG)에 의한 EES 시장 예측
다. Panasonic 그룹의 리튬-이온 배터리에 대한 EES 시장 예측
(2) 신재생 에너지의 보급 확대를 위한 EES 시장 가능성 예측
가. Fraunhofer의 독일 EES 시장 가능성 예측
나. 가스 그리드 내 상당량의 에너지 저장
다. Siemens의 유럽 EES 시장 예측
라. IEA에서 예측한 EES 시장 가능성
(3) 차량에서 그리드로의 전달 개념
(4) 향후 EES 시장 가능성
제Ⅱ장 주요 에너지저장 전략제품 현황
1. 이차전지 분리막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산업환경 분석
(1) 산업특징 및 구조
가. 산업 특징
나. 산업 구조
(2) 경쟁 환경
(3)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 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2. 이차전지 양극재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산업환경 분석
(1) 산업특징 및 구조
가. 산업 특징
나. 산업 구조
(2) 경쟁 환경
(3)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 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3. 이차전지 전해질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산업환경 분석
(1) 산업특징 및 구조
가. 산업 특징
나. 산업 구조
(2) 경쟁 환경
(3)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 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제Ⅲ장 기타 에너지저장소자 산업 동향
1. 고용량 커패시터 환경 분석과 기술 동향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산업환경 분석
(1) 산업특징 및 구조
가. 산업 특징
나. 산업 구조
(2) 경쟁 환경
(3)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 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4) 초고용량 커패시터 에너지밀도 향상기술
(1) 기술의 개요
가. 기술의 정의
나. 기술의 범위
다. 주요 기술
라. 관련 산업
(2) 국내외 연구 및 기술 동향
가. 해외
나. 국내
(3) 중장기 기술개발 방향
5) 슈퍼커패시터 기술 동향 및 시장 전망
(1) 기술의 유래
(2) 원리 및 구조
가. 탄소 전극
나. 전해질
다. 분리막
(3) 슈퍼커패시터의 분류
가.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s, EDLCs)
나. 유사 커패시터 (Pseudo capacitors)
다.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Hybrid Capacitors)
(4) 적용기술 분야
가. 용도별 적용 분야
나. 크기별 적용 분야
(5) 배터리의 특성 비교와 기술의 위치
가 배터리의 특성 비교
나. 기술의 수요요인
(6) 기술의 유망성과 시장 전망
가. 유망성
나. 시장 전망
2. 레독스 플로우 배터리 환경 분석과 기술 동향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산업환경 분석
(1) 산업특징 및 구조
가. 산업 특징
나. 산업 구조
(2) 경쟁 환경
(3)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 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4) 기술현황 분석
(1) 기술 개요
가. RFB 정의 및 개발현황
나. RFB 구조
다. VRFB의 특징 및 장점
(2) 전기화학적 분석법
가. 순환전압전류법 (Cyclic Voltammetry)
나. 전기화학적 임피던스 분광법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다. 전기화학적 반응면적 측정법 (Electrochemical Active Surface area; EAS)
라. 단위 전지 특성 분석 (Unit cell analysis)
(3) 물리화학적 분석법
가. 분리막을 통한 투과도 분석법
나. BET식 [Brunauer-Emmett-Teller equation] 비표면적 분석
다. BJH 방법을 이용한 기공크기 분석
라. XRD(X-ray diffraction) 분석
마.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분석
바.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분석 (UV-visible spectroscopic analysis)
3. 에너지 세라믹 환경 분석과 시장 전망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에너지 저장 소재
나. 에너지 변환 소재
2) 산업환경 분석
(1) 산업 특징 및 구조
가. 산업 특징
나. 산업 구조
(2) 경쟁 환경
가. 에너지 저장 소재
나. 에너지 변환 소재
(3)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 분석
(1) 세계시장
가. 에너지 저장 소재
나. 에너지 변환 소재
(2) 국내시장
가. 에너지 저장 소재
나. 에너지 변환 소재
4) 기술환경 분석
(1) 기술개발 트렌드
가. 에너지 저장 소재
나. 에너지 변환 소재
(2) 주요업체별 기술개발 동향
가. 해외업체 동향
나. 국내업체동향
5) 에너지 세라믹 시장 및 기술동향
(1) 이차전지 세라믹 소재
가. 시장현황 및 전망
나. 기술동향
(2)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 소재
가. 시장현황 및 전망
나. 기술동향
(3) 열전변환 소재
가. 시장현황 및 전망
나. 기술동향
(4) 에너지 효율소재
가. 시장현황 및 전망
나. 기술동향
(5) 고전압용 양극활물질 응용분야 및 전망
가. 응용분야
나. 기술적 파급 효과
다. 경제적 파급 효과
라. 산업적 기대 효과
4. 기타 에너지 저장소자
1) 그래핀 에너지 저장소자 응용소재
(1) 그래핀 슈퍼커패시터 (Graphene Supercapacitor)
(2) 그래핀 리튬이차전지(Graphene Lithium Ion Battery)
(3) 그래핀 연료전지 (Graphene Fuel Cell)
2) 하이브리드 금속공기전지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3) 특허출원 동향

제2편 이차전지산업
제Ⅰ장 이차전지 기술개발 동향과 응용분야
1. 전지 분류와 종류 및 주요 특성
1) 전지의 개요
(1) 전지의 분류
(2) 차세대 전지 개발
가. 차세대 전지의 개발 필요성 증대
나. 차세대 전지의 개발 동향
2) 전지의 종류 및 특성
(1) 주요 일차 전지의 종류 및 특성
가. 망간 전지
나. 알칼리(망간) 전지
다. 산화은 전지
라. 수은전지
마. 공기아연전지
바. 리튬 이차 전지
(2) 주요 이차 전지의 종류 및 특성
가. 니카드 전지
나. 니켈 수소 전지
다. 리튬 이차 전지
라. 납축전지
(3) 차세대 전지의 종류 및 특성
가. 연료전지
나. 태양전지
2. 이차전지 개요와 환경 분석
1) 이차전지의 개요
(1) 기술의 정의 및 범위
가. 정의 및 범위
나. 기술 정의
다. 특성
(2) 이차전지의 종류 및 기본 구조
가. 이차전지의 종류
나. 이차전지의 구조
(3) 이차전지의 진화
가. 납축전지
나. 니켈계전지
다. 리튬이온전지
2) 산업환경 분석
(1) 산업특징 및 구조
가. 산업 특징
나. 산업 구조
(2) 경쟁 환경
(3)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 분석
(1) 국내외 시장 전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분야별 시장 전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이차전지 핵심기술과 응용분야
1) 이차전지 핵심기술
(1) 소재/부품 기술
가.양극활물질
나.음극활물질
다.전해질
라.분리막
(2) 극판 설계/제조 기술
(3) 조립 기술
(4) 전지 화성 및 평가 기술
2) 이차전지 응용분야별 기술개발 동향 및 전망
(1) 모바일 IT용 이차전지
가. 초소형 전자기기용 이차전지
나. 마이크로 이차전지
다. 휴대 전자기기용 이차전지
라. 디지털 융합기기용 이차전지
(2) 산업용 및 로봇용 이차전지
가. 전동공구용 이차전지
나. 산업수송기계용 이차전지
다. 지능형로봇용 이차전지
(3) 친환경 자동차용 이차전지
가. LEV(Light Electric Vehicle)용 이차전지
나. 친환경(전기) 자동차용 이차전지
(4) 대형 전력저장용 이차전지
3) 이차전지 경쟁력 강화방안
(1) 중대형 전지 경쟁력 강화
가. R&D;로드맵 및 산?학?연 역할체제 구축
나. 미래선도 차세대 이차전지 개발 (Battery 2020" project)
다. 이차전지 제조기업의 경쟁여건 개선
(2) 이차전지 핵심 소재산업 육성
가. 소재기업 육성을 위한 특별 프로그램
나. 원자재 확보 관련 애로해소
다. 소재기업의 성장기반 구축
(3) 선순환적 산업 생태계 구축
가. 이차전지 인재양성
나. 이차전지 산업인프라 구축
4. 주요 이차전지 기술개발 동향
1) 리튬이온이차전지 성능 고도화
(1) 기술의 정의 및 범위
가. 기술의 정의
나. 기술의 범위
다. 주요 기술
(2) 국내외 연구 및 기술 동향
가. 해외
나. 국내
(3) 중장기 기술개발 방향
2) 차세대 이차전지 에너지밀도 향상
(1) 기술의 정의 및 범위
가. 기술의 정의
나. 기술의 범위
다. 주요 기술
(2) 국내외 연구 및 기술 동향
가. 해외
나. 국내
(3) 중장기 기술개발 방향
3) ESS 저가화?장수명화?고효율화
(1) 기술의 정의 및 범위
가. 기술의 정의
나. 기술의 범위
다. 주요 기술
(2) 국내외 연구 및 기술 동향
가. 해외
나. 국내
(3) 중장기 기술개발 방향
4) 차세대 대용량 이차전지
(1) 기술의 정의 및 범위
가. 기술의 정의
나. 기술의 범위
다. 주요 기술
(2) 국내외 연구 및 기술 동향
가. 해외
나. 국내
(3) 중장기 기술개발 방향
5) 3차원 구조 박막 이차전지용 전극 소재
(1) 기술의 개요
(2) 기술 동향
가. 박막전지의 구조 및 원리
나. 박막전지용 양극소재
다. 박막전지용 음극소재
라. 3차원 구조의 박막전지
5. 리튬이차전지 개요 및 기술동향
1) 리튬이차전지 개요
2) 리튬이차전지 기술동향
(1) 주요 기술동향
(2) 리튬이온이차전지 기술동향
가. 양극활물질 제조기술 동향
나. 음극활물질 제조 기술 동향
다. 분리막 제조 기술 동향
라. 전해질 제조 기술 동향
마. 셀 제조 기술 동향
(3) 리튬이차전지 가격로드맵
3) 리튬를로우전지 기술동향
(1) 리튬플로우전지의 개념
(2) 리튬플로우전지의 연구 동향
가. Lithium ferricyanide flow battery
나. Fe3+/Fe2+ flowable cathode materials
다. Lithium Iodine Flow Battery
라. Lithium/Polysulfide semi-liquid battery
4) 분야별 리튬이차전지 시장 및 산업 동향
(1) 분야별 리튬이차전 시장 동향
가. IT기기
나. 전기차
다. 에너지저장 (Energy Storage System)
(2) 주요 기업 및 산업 동향
가. 분야별 시장점유율 현황
나. 국내 리튬이차전지 산업동향
(3) 리튬이차전지 산업 전망
제Ⅱ장 전기자동차 배터리산업과 기술 현황
1.전기자동차 산업 및 정책 현황
1) 전기자동차의 개념
(1) 전기자동차의 개요와 특성
가. 그린카의 개요
나. 전기자동차산업의 특성
다. 자동차산업의 생태계 변화
(2) 전기자동차의 정의 및 특징
가. 하이브리드 자동차
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다. 순수 전기자동차
(3) 전기자동차의 중요성
가. 환경적 측면
나. 기술적 측면
다. 시장적 측면
(4) 전기자동차(EV) 장단점 및 내연기관자동차(ICEV)와의 차이점
가. 장점
나. 단점
다. 전기자동차(EV)와 내연기관자동차(ICEV) 차이점
2) ESS 시장에서의 전기차 배터리 현황
(1) 전기자동차 트렌드
가. 시동 걸린 전기차 시장
나. 전기차를 초월하는 배터리 성장
다. 급증하는 배터리 설비투자
(2) 전기차의 ESS 성장 견인 효과
가. 급락하는 배터리 가격
나. 리튬이온배터리 ESS의 성장
다. 낮아지는 산업 경계
3) 전기자동차 정책 현황
(1) 주요국의 전기자동차 보급 계획 및 정책 현황
가. 개요
나. 미국
다. 일본
라. EU
마. 중국
바. 한국
(2) 전기자동차 각국 지원 정책 현황
2. 전기자동차 배터리 시장 동향과 기술개발
1) 시장 동향과 전망
(1) 국내외 시장 동향과 전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전기동력차 및 충전인프라 시장 전망
가. 전기차
나. 충전인프라
2) 전기자동차 및 배터리 기술개발 동향
(1) 전기자동차 수급동향 기술개발
가. 수급동향
나. 기술개발 동향
(2)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연구개발
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연구개발
나. 배터리 기술경쟁력 분석
(3) 전기차 폐배터리 활용(4R) 비즈니스
가. 개요
나. 국내 현황
다. 해외 현황
라. 전기차 폐배터리 활용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3) 전기자동차용 이차전지 개발동향
(1)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차전지 기술
가. HEV/PHEV용 이차전지의 성능
나. BEV용 이차전지의 성능
(2)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차전지 핵심 소재 기술
3. 전기차 배터리 및 폐리튬전지 재활용
1) 전기차 배터리의 재사용 (Re-use)
(1) 배터리 재사용 논의 배경
(2) 재생 방법 및 예상 경제성
(3) 해외 사례 및 국내 현황
가. 해외 사례
나. 국내 현황
2) 폐 리튬이차전지 재활용 기술개발 현황
(1) 연구개발의 필요성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가. 해외 기술개발 동향
나. 국내 기술개발 동향
(3) 자동차용 리튬이차전지 해체 후 부산물
가. 플라스틱 부산물
나. 금속 부산물
(4) 리튬회수 및 고순도 리튬 제조기술
가. 탄산리튬 제조기술 이론적 배경
나. 리튬 및 불순물 거동 조사
다. 고순도 리튬 회수를 위한 불순물 정제기술 개발
라. 저농도 공정여액 중의 리튬 농축기술의 개발
마. 농축, 정제여액으로부터 고순도 탄산리튬 제조기술의 개발
바. 회수된 탄산리튬의 고부가 리튬소재 제조기술 개발
4. xEV용 에너지저장 및 전력변화장치 분석
1) xEV용 에너지저장
(1)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나. 범위 (제품분류 관점)
(2) 산업환경 분석
가. 산업특징 및 구조
나. 경쟁 환경
다.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4) 주요업체별 기술개발 동향
가. 해외업체 동향
나. 국내업체 동향
2) xEV용 전력변환장치
(1)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나. 범위
(2) 산업환경 분석
가. 산업특징 및 구조
나. 경쟁 환경
다.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4) 주요업체별 기술개발 동향
가. 해외업체 동향
나. 국내업체 동향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