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폭력은 어디서 왔나

폭력은 어디서 왔나

  • 야마기와 주이치
  • |
  • 곰출판
  • |
  • 2015-07-24 출간
  • |
  • 340페이지
  • |
  • ISBN 9791195515608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3,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5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추천의 글 인간이란 무엇인가
서문

제1장 공격성을 둘러싼 신화
인류의 진화사와 공격성
수렵가설
폭력이란 무엇인가

제2장 먹이가 사회를 만든다
생물이 함께 살아가는 의미
먹는 것을 통해 진화한 능력
먹이의 차이가 가져온 결과
생태적 지위와 영토
낮의 세계가 집단생활을 낳다
먹이와 포식자의 영향
먹이를 둘러싼 싸움과 사회성의 진화

제3장 성을 둘러싼 다툼
근친상간 회피와 사회의 진화
짝 생활의 진화
암컷이 수컷의 공존을 좌우하다
모계와 부계
딸과 아들의 행방

제4장 원숭이는 어떻게 갈등을 해결하는가
서열이란 무엇인가
소유를 둘러싼 싸움
화해의 방법
먹이를 분배하는 유인원
짝짓기 상대는 나눌 수 없다

제5장 폭력의 발생사 ― 새끼 살해부터 전쟁까지
새끼 살해와 사회의 변이
인간은 어떻게 진화해 왔나
가족과 이상한 생활사
서로 나눠 갖는 사회
소유와 가족의 기원
싸움의 본질

글을 마치며
옮긴이의 글
참고문헌

도서소개

『폭력은 어디서 왔나』는 인류가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 학문적 견지에서 깊이 있게 탐구하며, 우리 안에 그러한 폭력의 뿌리가 언제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는지 그 답을 찾아 나간다. 인간에 대한 학문인 영장류학, 사회생태학 등이 발전해 온 역사를 굵직하게 개괄하며, 현장에서 쌓아올린 폭넓은 사례와 연구들을 그대로 담고 있다.
☆☆☆ 세계적 영장류학자 야마기와 주이치 첫 한국어판 번역
인간이란 무엇인가, 그 의미심장한 물음 앞에 서다!

인간의 폭력성은 어디서 기원하는가?
영장류학의 최신 연구 성과를 토대로 인류의 사회성과 폭력의 기원을 파헤치다

책에서 관철되고 있는 것은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지적 관심, 그리고 어떻게 하면 평화를 이룰 수 있는가 하는 진지한 문제의식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글자 그대로 인문주의 서적이라고 할 수 있다.
_서경식(도쿄경제대 교수)

☆ 전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테러와 전쟁의 이면에는
어떤 인간성이 숨겨져 있는가?

■ 인간에 대한 성찰과 진지한 문제의식이 돋보이는 빼어난 교양과학서!
이 책의 저자 야마기와 주이치(현재 교토대학교 총장)는 일본 안에서 ‘영장류학의 보물’로 불린다. 세계적인 진화론의 대가이자 일본 영장류학의 기초를 세운 이마니시 긴지(今西錦司)의 대를 잇는 인물로 평가될뿐더러 2014년 교토대학교 총장선거 당시에는, “그에게 학문을 배우지 못한다면 매우 슬플 것”이라는 이유로 학생들이 선거에 반대했을 만큼 존경과 신망이 두텁다. 40년 가까이 고릴라의 행동을 관찰하고 인간 사회와 비교 연구해온 그는 아프리카 열대 숲을 오가며 우간다, 르완다, 콩고민주공화국(옛 자이르) 등에서 벌어진 내전(內戰)의 상처를 두 눈으로 목격한다. 그리고 그러한 폭력적 사태에 내몰린 인간을 보며 동족상잔의 전쟁도 불사하는 잔인한 폭력의 뿌리가 어디에 있는지 의문을 품는다.
이 책은 그러한 진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저자 야마기와 주이치 교수는 인류가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 학문적 견지에서 깊이 있게 탐구하며, 우리 안에 그러한 폭력의 뿌리가 언제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는지 그 답을 찾아 나간다. 그만큼 책은 인간에 대한 학문인 영장류학, 사회생태학 등이 발전해 온 역사를 굵직하게 개괄하며, 현장에서 쌓아올린 폭넓은 사례와 연구들을 그대로 담고 있다.

■ 대량학살은 왜 일어났을까?
20세기 역사에서 인간이 저지른 대규모 전쟁과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크고 작은 분쟁들, 그 잔인한 폭력성은 어디서 비롯된 것일까? 인간은 언제부터 이토록 전쟁에 집착하게 됐을까? 고릴라나 침팬지와 공통의 조상에서 진화한 인간 사회에 왜 그들에게는 없는 강한 적의가 생겨나게 됐을까? 만일 인간이 다른 영장류와는 다른 사회성을 갖게 된 것이 다툼을 격화시킨 원인이라면, 그것은 도대체 언제 어떻게 생겨난 것일까? 이러한 인문학적 궁금증이 이 책의 뼈대를 이룬다.
우리는 종종 인륜을 저버린 끔찍한 범죄나 폭력을 저지른 파렴치한을 볼 때면 곧잘 짐승에 비유하곤 한다. 그리고 당연하게도 이런 폭력성은 바로 인간에게 잠재한 동물적 본성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하지만 이 책을 끝까지 읽고 나면 그것이 오산임을 분명히 깨닫게 된다. 20세기 중반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 전쟁에 이르는 인간 고유의 공격성은 수렵(사냥)이라는 생업 양식의 발전과 더불어 무기를 발달시키고, 그것을 동족을 향해 사용한 것이 원인이라는 주장이 있었다. 육식자로서 능력이 수렵을 발달시켰고, 그것이 인간들의 싸움을 과격한 것으로 만들었으며, 그게 또한 필연적으로 현대의 전쟁으로 이끌었다는 것이다. 영장류학의 상식으로 보면 그런 일은 있을 수 없다. 저자는 영장류학의 초창기부터 지금까지 인류의 공격성에 대한 논의를 되짚어보면서 그것이 과연 인류 화석 연구나 영장류 행동 연구를 뒷받침할 수 있는 설인지 낱낱이 분석한다.(제1장)
물론 야생 침팬지도 전쟁을 한다. 혈연관계에 있는 수컷들이 집단을 만들어 이웃 무리에 침입해 상대 수컷이나 암컷을 덮쳐 깨물고 찢어 죽인다. 그러나 침팬지의 싸움과 인간 집단의 싸움에는 큰 차이가 있다. 침팬지는 각 개체의 이익과 욕망에 휘둘려 싸움을 일으키는 데 반해 인간의 싸움은 늘 무리에 봉사한다는 것이 전제가 된다는 점이다.

■ 인류가 영장류에게 물려받은 것 ― 우리는 어떤 원숭이인가?
지구 상에는 현재 300종에 이르는 영장류가 살고 있다. 그중 유인원은 아시아에 사는 긴팔원숭이와 오랑우탄, 아프리카에 사는 고릴라, 침팬지, 보노보가 있는데, 긴팔원숭이를 제외한 유인원과 인류가 사람과에 속한다. 인간과 침팬지의 유전적 차이는 1.2%밖에 되지 않는다. 고릴라나 오랑우탄과도 2∼3% 정도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인간과 유인원의 유전적 차이는 유인원과 다른 영장류 간의 차이보다도 작다. 저자는 이런 계통적 차이를 바탕으로 여러 종의 생태나 행동에 대한 최신 보고와 현장에서 직접 쌓은 경험과 지식을 근거로 인간의 특징을 헤아린다.
영장류에게 다툼의 불씨가 되는 자원이 무엇이며, 그것과 관련해 영장류의 몸과 행동의 특징이 어떻게 진화돼왔고, 어떻게 저마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