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영역
특수교육의 이해 / 통학교육 / 개별화교육 진단과 평가 / 전환교육 / 가족지원
1영역 - 특수교육의 이해 무엇이 중요한가? / 10
❙특수아동 11
주제 001 발생률과 출현율 11
주제 002 명칭 사용의 장 ․ 단점 12
❙특수교육 16
주제 003 특수교육의 목적 및 성격 16
주제 004 생태학적 구조 19
1영역 - 통합교육 무엇이 중요한가? / 26
❙개요 28
주제 005 통합교육의 배경 28
주제 006 통합교육의 목적 33
❙협력적 접근 41
주제 007 팀 접근의 유형 41
주제 008 팀 구성원의 역할과 책임 57
주제 009 협력교수 70
❙보편적 학습 설계 102
주제 010 보편적 학습 설계 102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적 전략 121
주제 011 교수적 수정(교수적합화) 121
1영역 - 개별화 교육 무엇이 중요한가? / 177
❙개별화교육계획 179
주제 012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 179
❙개별화교육계획의 실행 191
주제 013 삽입교수 191
1영역
1영역 - 진단과 평가 무엇이 중요한가? / 199
❙평가 201
주제 014 평가 201
❙측정 209
주제 015 표준화 검사 209
❙측정 222
주제 016 타당도, 신뢰도와 측정의 표준오차 222
❙사정 230
주제 017 사정 230
❙사정 - 검사 235
❙사정 - 교육과정 중심사정 237
❙사정 - 수행사정 248
❙검사도구 254
주제 018 검사도구 254
❙검사도구 - 지능 검사 259
❙검사도구 - 학습 영역 275
❙검사도구 - 적응행동 검사 276
❙검사도구 - 자폐성장애 검사도구 278
❙검사도구 - 유아를 위한 검사도구 281
1영역
1영역 - 전환교육 무엇이 중요한가? / 284
❙전환교육의 사정 286
주제 019 전환교육의 사정 1단계 - 사정(평가정보의 수집방법) 286
주제 020 전환교육의 사정 2단계 - ITP(개인중심계획) 293
주제 021 전환교육 및 전환 서비스 모델 297
주제 022 전환교육의 사정 3단계 - 훈련 300
주제 023 전환교육의 사정 4단계 - 배치 306
❙전환교육의 관련 과제 311
주제 024 자기결정력 모형 311
1영역 - 부모교육과 가족지원 무엇이 중요한가? / 319
❙부모교육 321
주제 025 부모교육 321
❙가족지원 325
주제 026 가족지원 325
❙가족 중심 접근 327
주제 027 가족 중심 접근 327
❙개별화가족지원계획 340
주제 028 개별화가족지원계획(IFSP) 340
2영역
시각장애 / 지체 및 중도 중복 장애 / 건강장애 / 특수교육공학
2영역 - 시각장애 무엇이 중요한가? / 344
❙정의 347
주제 029 시각장애 정의 347
❙시각계 손상 350
주제 030 시각 350
주제 031 시각손상에 따른 특성 354
❙저시력 학생의 교육적 접근 358
주제 032 잔존시력의 활용 358
주제 033 교수 ․ 학습 환경 364
주제 034 저시력 기구 382
주제 035 시각장애 원인 및 중재 395
❙맹 학생의 교육적 접근 411
주제 036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자료 조작 방법 411
주제 037 맹 학생을 위한 교수공학 421
주제 038 일반교육과정 430
주제 039 특수교육과정-점자 432
주제 040 특수교육과정-보행훈련 455
2영역 - 지체장애 무엇이 중요한가? / 473
❙신체적 조건이나 상태 477
주제 041 지체중복장애 학생의 특성 477
❙교육적 접근 498
주제 042 부분 참여의 원리 498
주제 043 원인별 유형 및 교육적 지원(뇌성마비) 504
주제 044 원인별 유형 및 교육적 지원(근이영양증) 529
주제 045 원인별 유형 및 교육적 지원(경련성 질환) 534
주제 046 원인별 유형 및 교육적 지원(기타) 540
주제 047 자세 지도 547
2영역
주제 048 자세 보조기기 569
주제 049 보행 및 이동 지도 572
주제 050 식사 지도 580
주제 051 용변 기술 지도 595
주제 052 질 높은 건강관리와 지도 599
주제 053 기타 일상생활 지도 601
2영역 - 건강장애 무엇이 중요한가? / 607
❙정의 및 특수교육지원 608
주제 054 건강장애 유형별 특수교육지원 608
❙교육지원방안 615
주제 055 교육지원방안 615
2영역 - 공학 무엇이 중요한가? / 622
❙각종 보조공학기기 624
주제 056 보조공학기기의 개념 624
주제 057 컴퓨터 관련 보조도구 627
❙서비스 631
주제 058 보조공학의 사정 631
주제 059 컴퓨터 접근 및 보조공학기기 지원 641
❙전략과 실제 650
주제 060 특수교육공학의 활용 수업 650
3영역
정서행동장애 / 자폐성 장애 / 행동수정
3영역 - 정서행동장애 무엇이 중요한가? / 8
❙개념적 모델 11
주제 061 개념적 모델 11
❙정서 ․ 행동장애 30
주제 062 정서 ․ 행동장애의 정의 30
❙의뢰 전 중재 36
주제 063 정서 ․ 행동장애의 진단 36
❙교우관계 사정 43
❙K-CBCL 45
❙정서 ․ 행동장애의 분류 51
주제 064 외현화 장애 51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55
❙적대적 반항장애 65
❙품행장애 66
주제 065 내면화 장애 70
주제 066 틱 장애 82
❙정서 ․ 행동장애의 교육 84
주제 067 자기관리 기법 84
주제 068 합리적 정서치료 105
주제 069 귀인 재훈련 111
주제 070 문제해결 훈련 112
주제 071 사회성 기술 교수 113
주제 072 체계적 둔감법 113
주제 073 이완 훈련 115
주제 074 분노 통제 훈련 116
3영역
3영역 - 자폐성 장애 무엇이 중요한가? / 117
❙특성 119
주제 075 원인론 119
주제 076 자폐성장애 특성 132
주제 077 자폐성장애 DSM-5 정의 155
❙교육 171
주제 078 교수적 맥락 만들기 171
주제 079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 179
주제 080 중심축 반응 훈련 182
주제 081 PECS 190
주제 082 사회적 상황 이야기 198
주제 083 구조화된 교수 204
주제 084 인식능력 훈련 210
주제 085 공동행동일과 212
주제 086 사회적 도해 213
주제 087 파워카드 기법 214
주제 088 연재만화대화 215
3영역 - 행동수정 무엇이 중요한가? / 218
❙행동 변화 223
주제 089 강화 223
❙강화 227
❙간헐강화 241
❙집단강화 250
주제 090 토큰 경제 257
주제 091 행동계약 262
주제 092 차별강화 266
주제 093 소거 286
주제 094 벌 291
❙반응대가 292
주제 095 촉구와 용암법 294
3영역
❙용암법 306
주제 096 행동연쇄법 313
주제 097 행동형성법 327
주제 098 모델링 328
주제 099 행동 변화의 일반화 333
❙긍정적 행동지원 345
주제 100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345
주제 101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352
❙사회적 기술 356
주제 102 개인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365
❙문제행동의 정의와 우선 순위화 377
❙기능진단 379
❙문제행동의 기능 387
❙가설수립 393
❙행동의 지원 계획 수립 395
❙행동 관찰 399
주제 103 행동 관찰 399
❙간접 평가법 409
❙직접 관찰법(A-B-C) 411
❙직접 관찰법(산점도) 412
❙일화기록 413
❙행동 측정 단위 415
❙사건 기록법 416
❙간격 기록법 420
❙응용행동분석의 실험설계 425
주제 104 기초선 반응의 안정성 425
주제 105 실험설계 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