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불교와 원불교

불교와 원불교

  • 류성태
  • |
  • 학고방
  • |
  • 2018-01-31 출간
  • |
  • 528페이지
  • |
  • 152 X 226 X 32 mm /781g
  • |
  • ISBN 9788960717305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29,1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9,1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오랫동안 원불교학을 연구해온 필자로서 불교와 원불교의 저술 발간을 희망해 왔다. ‘불교와 원불교’라는 표제를 책상에 붙여놓고 틈틈이 구상하면서 글을 자유롭게 서술한 후 세부 목차를 붙였던 관계로 산고(散考)의 형식이며, 여기에 몇 편의 관련 논문들을 덧붙이는 형식을 취하였다. 비교 연구의 자유로운 서술방식을 취하면서 불교와 원불교에 관련된 공통 주제를 정한 후 동이점을 추출하고, 또는 작위적 구분 없이 동질의 문제의식을 노정(露呈)하는 형식으로 본 논리를 전개하였다.

불교와 원불교에 대한 논문들은 간헐적으로 발표되어 왔지만 이와 관련한 저서는 아직 발간되지 않은 것으로 안다. 이에 본 저술이 앞으로 불교와 원불교의 비교 연구에 디딤돌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하며, 양교의 미래지향적 지평확대에 지남(指南)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그간 종교활동에 있어서 불교와 원불교의 만남에 소원함이 없지 않았다. “원불교는 불교다, 아니다”라는 논란이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불교와 원불교를 믿는 신앙인들로서 이 같은 소모적인 논쟁보다는 불법포교(佛法布敎)에 더 관심을 갖자는 의견을 제안해 본다. 본 저술이 양교 관계의 건설적인 가교가 되기를 바라며, 불교와 원불교를 이해하는 동기부여의 장이 되었으면 한다.

목차

머리말 ⅶ

제1편 종교의 정체성
1. 저술의 목적과 연구방법 2
1) 전환기의 원불교적 사명 2
2) 불교와 원불교의 저술목적 5
3) 선행연구의 분석 8
4) 원불교적 시각의 불교접근 12

2. 불교와 원불교의 정체성 15
1) 연원불과 정체성의 문제 15
2) 불교재산관리법의 대응 18
3) 교헌개정과 불교관계 22
4) 교세의 성장과 정체성 25
5) 원불교는 불교인가 27
6) 종파불교의 극복과 불교혁신 33
7) 이웃종교와의 관계설정 36
8) 정체성 확보의 과제 38

3. 신앙혁신과 법신불 숭배 42
1) 스승신봉과 신앙문제 42
2) 대산종사법어의 법신불과 대종사관 45
3) 조선불교혁신론의 신앙혁신 49
4) 인격신앙과 진리신앙 54
5) 법신불신앙의 의의 62

제2편 불연佛緣과 불법연구회
1. 고행의 자취와 깨달음 68
1) 고행은 필요한가 68
2) 고행과 성자 73
3) 고행의 역정役程 75
4) 고행과 깨달음 77

2. 불법의 연원 80
1) 도통정신과 교법연원 80
2) 무상대도의 불법 82
3) 경축가와 주체의식 84
4) 창건사와 연원불 87

3. 영산회상 90
1) 회상의 의미 90
2) 회상의 종류 92
3) 생활불교의 회상 92
4) 새 불교로서의 영산회상 95
5) 원시반본의 회상운세 101

4. 불법연구회
1) 초기교단의 불법연구회 104
2) 불법연구회 창립총회 106
3) 유사종교와 사필귀정 108
4) 원불교의 교명선포 112

5. 불연佛緣과 스님교류 115
1) 불연의 서원 115
2) 불갑사와 사찰방문 117
3) 백학명 조우와 전법도량 119
4) 불교정전 편찬과 김태흡 124

6. 불교서적의 열람 127
1) 깨달음과 경전열람 127
2) 꿈에서 본 금강경 129
3) 팔상록과 선요, 불교대전 132
4) 초기교단과 육조단경 134

7. 교서결집과 불교정전 138
1) 칠엽굴과 교서결집 단상 138
2) 소태산의 초기교서 결집 140
3) 육대요령과 불교정전 142
4) 완성태가 아닌 진행형의 결집 145

8. 불조요경의 섭렵 149
1) 소의경전으로서의 불조요경 149
2) 대오분상의 불조요경 151
3) 불조요경의 구성 153
4) 불조요경의 의의 157
5) 요전 발간의 과제 160

9. 조선불교혁신론의 의의 162
1) 선후천 교역기와 원불교 162
2) 조선불교혁신론과 신앙혁신 166
3) 조선불교혁신론과 교서편정 169
4) 불교혁신과 불교유신 172
5) 후천개벽의 이상적 불교상 174
6) 불교혁신의 과제 176

10. 석가모니와 소태산 181
1) 교조탄생과 종교역사 181
2) 각 종교의 교조정신 183
3) 말세와 성자의 역할 188
4) 소태산의 불타관 190
5) 고苦와 은恩의 세계관 192
6) 연원불과 당래불 194

11. 성자의 초기제자 199
1) 성자의 사제관계 199
2) 불타의 십대제자 204
3) 소태산의 불타 제자관 210
4) 소태산의 구인제자 212
5) 구인제자의 특성 217
6) 창립제자의 선구자정신 221

12. 팔상과 십상 224
1) 성스러움의 흔적 224
2) 불타의 팔상 226
3) 원불교의 팔상이해 228
4) 소태산의 십상 231
5) 십상의 장엄 238

13. 초전법륜과 최초법어 241
1) 깨달음의 메시지 241
2) 초전법륜과 최초법어의 의의 242
3) 최초법설의 배경과 대상 246
4) 최초법설의 실천방법 250
5) 초전법륜과 최초법어의 상징성 252

14. 삼신불과 법신불 255
1) 삼신불의 등장배경 255
2) 원불교의 삼신불 접근 256
3) 삼신불과 법신불의 위상 259
4) 법신불 사은과 삼신불 265
5) 개벽시대의 법신불 268

제3편 종교사상의 공유
1. 신앙관 272
1) 신앙론 비교의 타당성 272
2) 신앙론의 교판적 접근 274
3) 등상불신앙과 일원상신앙 278
4) 일원상신앙과 종파불교 281
5) 법신불신앙의 회통성 283
6) 원불교 신앙론의 재정립 286
2. 진리관 291
1) 진리의 속성 291
2) 무상대도의 진리 293
3) 불법의 회통적 진리관 295
4) 깨달음의 종교와 진리 297
5) 만유통섭의 일원상진리 300

3. 수행관 304
1) 수행의 기원과 목적 304
2) 불교와 원불교의 수행 306
3) 수행의 교리적 접근 310
4) 수행의 단계와 염불·좌선 312
5) 불교선법과 단전주선 315
6) 원불교 수행의 방향 318

4. 불법관 322
1) 주교主敎로서의 불교 322
2) 종파불교의 개혁 324
3) 불법과 불교 325
4) 불법해석의 다의성 327
5) 불법의 원융성과 생활불교 331

5. 교리관 335
1) 교리의 개념과 속성 335
2) 교리개방과 수용성 338
3) 교리 체계화와 소통정신 340
4) 사은·삼학의 교강敎綱 343
5) 교리구조와 교리반야 347

6. 삼보관 351
1) 삼보의 신앙 351
2) 삼보의 원불교적 접근 353
3) 삼보의 교서기록 357
4) 주법의 삼보이해 359
5) 삼보와 자타력병진 361

7. 생사관 364
1) 생명의 기원과 죽음 364
2) 생사의 중요성 371
3) 생사의 고통 375
4) 생사의 정의 380
5) 공空사상과 생사문제 391
6) 연기론과 윤회 394
7) 영혼불멸과 생사 400

8. 삼세관 404
1) 삼세와 인도종교 404
2) 삼세와 인과윤회 405
3) 삼세의 세계관 409
4) 삼세의 적공과 자비 411

9. 천도관 414
1) 천도와 중음의 개념 414
2) 중음기와 내세관 418
3) 중음기의 심판 421
4) 중음의 천도 423
5) 생전천도와 생사해탈 427

10. 계율관 431
1) 인생과 계율 431
2) 이웃종교의 계율 436
3) 계문범과의 빈도 442
4) 성불과 계문 448
5) 자비행과 계문 452

11. 구원관 456
1) 구원의 종교적 의미 456
2) 불교의 불국토관 462
3) 원불교의 낙원세계론 465
4) 교조의 경륜과 구원의식 471
5) 불교·원불교 구원관의 특성 474

제4편 원불교의 가치구현
1. 초기교단의 개혁정신 482
1) 안주의 극복과 새 문명 482
2) 회설과 개혁정신 485
3) 교단의 현실진단 493
4) 교단개혁의 방향 498
5) 개혁을 위한 언로言路의 역할 503

2. 원불교와 동양문화 507
1) 동서문화의 교류 507
2) 동양문화의 가치 509
3) 공동체와 종교다원주의 511
4) 원불교의 동양사상적 접근 512

3. 원불교의 가치구현 515
1) 불살생과 생명윤리 515
2) 수양론에의 관심 517
3) 자연순응과 환경보전 519
4) 민중종교의 평등사상 520
5) 정신개벽의 종교 521
6) 원불교의 평화사상 523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