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농식품 콜드체인 전략

농식품 콜드체인 전략

  • 한관순
  • |
  • 두남
  • |
  • 2017-12-29 출간
  • |
  • 474페이지
  • |
  • 188 X 257 X 27 mm /989g
  • |
  • ISBN 9788964147665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28,5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8,5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인류는 반세기 전에 음식을 냉동하는 법을 개발하는 등 식품을 냉동하는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니 놀라울 뿐이며, 조상님들의 덕에 우리는 오늘날 편리한 생활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이후 발전을 거듭해왔던 농식품 콜드체인은 현대 사회에서 필수 불가결한 것이 된 지 오래입니다.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맞아 유통ㆍ물류산업이 제반 산업을 견인하고 최고의 가치전달자로서 소비자들의 욕구 창출(상품의 수요창조)뿐만 아니라 수요의 충족(상품의 공급기능)과 수급조정의 역할을 통해 고객 만족을 극대화하는데 “농식품 콜드체인 전략”이 산업계와 학계를 비롯해 연구분야 및 정부 기관의 관계자분들에게 생각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토대가 되길 기대합니다. 최근 들어 그 어느 때보다도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큰 상황에서 식품을 소비하는 소비자를 위한 건강과 식품의 안심ㆍ안전성에 기여하는 기술 내지 수단으로 콜드체인을 들 수 있는데, 소비자의 욕구(wants)와 필요(needs)가 날로 고도화되고, 빛의 속도만큼이 매우 빠르게 변하는 가운데, 종합예술의 하나인 식품의 콜드체인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시대적인 의의가 있다고 생각하여 “농식품 콜드체인 전략”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본서의 특징은 무엇보다 식품 콜드체인기술의 기초 이론부터 실제의 생산기술까지 전반적으로 균형 있게, 또한 각각을 적절히 이해하기 쉽게 깊이 다루고 있다는 점입니다.
본서가 농식품의 콜드체인을 비롯한 유통ㆍ물류에 관한 교육ㆍ연구 때문에, 또한 제조, 유통, 물류 관련 등의 분야에서 관심을 갖고 종사하는 분들이나 현장의 실무자, 연구개발 종사자 및 대학생 등의 독자들에게 새로운 이론과 기술의 습득을 위해서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콜드체인(저온유통)이란 생산지부터 소비지까지 일관되게 저온으로 관리하여 안심ㆍ안전하면서 신선ㆍ고품질의 신선농산물을 연중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체계를 말합니다. 우리나라의 농식품의 콜드체인은 대략 30~40년 전부터 사용 내지 추진되어 왔지만, 최근 들어 새로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첫째, 지구온난화의 영향에 의한 심한 기후변동에 따라 농산물의 수확이 불안정해졌기 때문에, 계절이나 수급조절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도 가능한 한 소비자에게 연중 안정적으로 청과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선도를 유지하는 기술이 요구되기 때문입니다. 둘째로 최근 들어 한국에서도 건강지향성이 높아짐은 물론, 식품 안전에 대한 의문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어, 무농약ㆍ저농약 재배의 확대에 의한 청과물의 병해충이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과물의 선도유지 기술의 개발과 저비용 운용방안(low cost operation)이 모색될 필요가 있습니다.
청과물은 수확 후에도 호흡하는 등 생명 활동을 계속하기 때문에 수분의 증산이나 곰팡이 및 해충의 증식, 노화의 진행 등에 따라 선도가 점차 저하됩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시간이 경과되어도 선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유지하는 기술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첫째는 ‘온도관리’, 즉 냉장보존하는 기술입니다. 청과물의 품온을 낮춰 호흡을 저감시킴으로써 수분의 증산이나 미생물의 활동을 억제하고, 과실류의 성숙노화를 촉진하는 에틸렌의 증가를 억제하는 기술이 이에 속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둘째로 청과물의 경우,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가습기를 사용하거나 비닐봉지에 넣어 보습을 유지하면, 청과물의 수분증산을 억제하여 시듦이 방지됩니다. 또한 이 외에도 산소나 이산화탄소의 양을 통제하는 공기질 억제나 보냉제(1-MCP) 사용으로 선도를 유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일본덴소의 경우, 각각의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에 따르면, ‘온도관리’가 모든 청과물에 있어서 양호한 성과를 도출한 것으로 평가되어 온도관리에 집중하여 ?흔들림(진동)이 없고, 얼지 않는 한계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선도유지를 목표로 한다.?는 방향성에서 기술개발을 추진하는 것은 우리가 타산지석으로 삼을 필요가 있습니다.
농업은 사람들의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농산물을 생산 및 판매하는 생명산업 비즈니스입니다. 오늘날 급변하는 유통환경에서의 농업 비즈니스는 이를 구매하는 고객이 누구인지를 미리 알고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시장 지향적 마케팅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그렇지만 단순히 농산물의 판매ㆍ마케팅만으로 오늘날의 농업 비즈니스는 완결될 수 없는 시대입니다.
또 하나의 중요한 축(軸)으로서 농산물 물류(agricultural logistics)를 고려하지 않으면, 날로 경쟁이 심화되는 먹거리 시장의 소비자 욕구 충족은 요원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경쟁 시대의 농산물 물류는 끊임없는 비용 절감을 이룩하면서 판매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역할이 요구됩니다.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서 마케팅 전략의 추진 시에 선진화된 물류체계를 동시에 구축하게 되면, 경쟁기업에 대한 커다란 차별화가 가능합니다.
오늘날의 농산물 물류 업무는 과거에 비해서 새로운 전략을 끊임없이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과거의 물류는 농산물 판매를 보조 내지 부수적으로 유발되는 파생수요(derived demand)로 보는 것에 지나지 않았으나, 오늘날의 그것은 가치를 전달하는 최고의 도구이자 열쇠로써 유통에 없어서는 안 될 본질적이며 필수적인 것(essential demand)이 된 지 오래입니다.
신선농산물을 유통할 때의 불확실과 위험성을 공산품의 그것과 비교해보면, 재배ㆍ생산과정 및 농산물 자체의 특수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신선농산물이라는 상품 자체가 가진 정보는 크게 수량(중량)과 품질(단 부패에 의한 납품 수량이 감소하는 등의 불확실성은, 수량과 품질의 정보가 불가분의 상태에서 발생하는 점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정보로 나눌 수 있는데, 유통정보에서 특히 주목해야만 하는 것은 품질정보라 할 수 있습니다. 품질을 정보시스템에 연동 내지 구축하는 것은 그 수치화가 불가결한데, 농식품의 경우에 수치화가 가능한 것은 당도(과즙 중에 함유되어 있는 당의 비율; Brix degree)나 산도(식품의 산성 정도; acidity)를 측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색상이나 형상, 촉감, 화훼류의 경우는 ?꽃 만들기? 수치화가 어려운 기준도 고려하면서 종합적인 품질의 좋고 나쁨으로 나타냅니다. 그렇기 때문에 식품의 판매에서 견본품 내지 시식용 식품을 시식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경우도 많습니다. 더욱이 신선식품은 품질이 쉽게 변하여 부패 등의 품질저하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과일류의 경우에 품질향상을 나타내는 ‘신맛이 사라지고 숙성이 이뤄진 것’과 같이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품질은 복잡한 변화를 보입니다. 따라서 정확한 품질의 판단이 대단히 어렵고, 극단적으로 말하면, 품질이 변화할 때마다 하나의 상품에 관한 정보를 몇 번이고 바꾸거나 출하시부터 점포에 진열되기까지의 품질변화를 예측하는 것도 요구됩니다. 신선식품의 유통정보 수치화가 상대적으로 복잡하여 시스템화가 진전되지 않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실현하기 위해서 콜드체인이 수행해야 할 목표로는 생산자부터 소비자 식탁에 이르기까지 각 유통ㆍ물류 주체의 통합관리를 통한 식생활의 안전과 안심ㆍ신뢰를 제공하는 것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를테면 식생활의 안심과 신뢰를 제공하는 항목에는 소비자에 중점을 두어 로지스틱스 산업을 뒷받침하는 기능으로써의 측면만이 아니라 식생활을 뒷받침하는 측면도 구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것은 최근 들어 소비자 니즈가 다양화ㆍ개성화됨은 물론, 디지털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O2O(online to offline)가 보편화되는 신유통 시대에는 소비자를 출발점으로 하는 식생활 기반으로서 콜드체인 물류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요컨대 식생활 기반 측면에서 보면 안전 리스크에 대한 강화를 비롯해 안심을 제공하여 사회로부터 신뢰를 받는 것, 즉 과거의 효율성 중심 사고에 추가하여 사회적 책임성(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을 발휘하는 것이 앞으로 더욱 더 중요한 콜드체인(로지스틱스)의 의의라 할 수 있습니다. 이에 부응하여 콜드체인이라는 개념도 단일기업의 효율화에 국한하던 것에서 관련 이해관계자를 포함한 사회 전체로 영역을 확장하여 보다 상위의 최적화를 지향하는 개념으로 발전될 필요성이 있습니다.
실제로 최근 식품산업 관련 기업경영의 사회적 책임을 중시한 것과 소셜 마케팅(Social Marketing)에 추가해 소셜 로지스틱스(Social Logistics: 물품 흐름의 최적화 추구만 아니라 물류 활동 중 개별기업이 사회에 미치는 CO2 배출, 부적합한 유통으로 식품안전성의 위협, 환경오염, 교통체증 등의 불이익을 배제하거나 공공부문이 사회 전체의 최적화를 위한 물류활동을 말함)라는 개념이 등장하였습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라든가 ‘기업경영의 사회성’이라는 개념의 일반화를 배경으로 최근 콜드체인의 개념에는 ‘사회적 과제에의 대응’이라든가 ‘사회성의 발휘’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습니다. 그 핵심으로는 ① 그린물류나 그린로지스틱스로 불리고 있는 것처럼 심각해지는 지구환경 문제에의 대응, ② 고령사회의 도래를 배경으로 증가되고 있는 고령자와 같은 ‘쇼핑이 불가능한 거동 취약자(불편자)’에 대한 지역물류 차원의 대응, ③ 전자상거래시대 농식품의 택배 급증에 따른 서비스 질적 수준의 향상을 위한 저온 무인택배함 등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본서는 최근 들어 식품의 안전ㆍ안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급속한 고조를 배경으로 이를 뒷받침하는 주요 유통ㆍ물류기술인 콜드체인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았습니다. 우선 1장에서는 콜드체인산업은 블루오션시장이다. 다음으로 2장에서는 콜드체인은 무엇인가? 하는 개념 정의와 산업의 발전 동향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즉 콜드체인이란 냉장이나 냉동 등의 저온의 상태를 유지하여 신선식품 등을 생산자 또는 생산지로부터 소비자 또는 소비지까지 공급사슬(supply chain)과 같은 일련의 온ㆍ습도 등의 관리로 보관ㆍ수송 및 포장 하는 등의 시스템 또는 기구를 지칭하며, 최근에는 의약품, 반도체ㆍ측정기기ㆍ바이오 생명공학 등 첨단물품에도 응용할 수 있는 등 그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3장에서는 우리 인류의 식탁을 지배해온 콜드체인이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에 대한 역사에 대하여 고찰하였습니다. 4장에서는 식품의 콜드체인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 중의 하나인 온도관리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5장에서는 현대인의 식생활과 식품물류의 전반에 대하여 기술하였습니다. 6장에서는 콜드체인 물류기술현황과 고도화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7장에서는 신선농산물 물류체계 현황 분석과 발전 방안, 그리고 8장에서는 신선농산물 콜드체인시스템 고도화에 대하여 고찰하였습니다. 그리고 9장에서는 식품물류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신선농산물 물류관리(식품물류의 특징, 식품의 수송관리, 식품의 보관과 재고관리)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마지막으로 10장에서는 콜드체인의 새로운 동향과 미래 발전 방안에 대하여 검토 및 고찰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살펴본 내용을 토대로 식품 콜드체인에 관한 생산부터 유통 및 소비에 이르기까지 모든 주체의 새로운 ‘사회적 책임(CSR)’의 관점, 바꾸어 말하면 콜드체인의 사회적 의의를 제시하는 경우, 콜드체인을 구축하는 정책적인 목적 내지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실제로 합리성을 높이는 것이라고 판단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신선식품의 콜드체인은 국가의 식량공급 안정화에 기여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특히 농산물은 계절ㆍ지리적 요인만이 아니라 기후조건(이상기온, 태풍ㆍ홍수ㆍ가뭄ㆍ병충해) 등의 여러 가지 자연재해의 영향을 받아 공급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은 지나온 역사적 사실에서 찾을 수 있다. 최근 들어(2016년부터 2017년에 걸쳐) 농작물 이앙 및 파종기에 심각한 한발(旱魃)ㆍ과실류의 우박 피해, 폭우로 인한 여름채소의 작황 부진 등으로 농산물의 수급불안이 심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연재해 등으로부터 식량공급을 안정화시키는 일환으로 신선식품 콜드체인의 구축은 필요불가결한 하나의 정책 대안이라고 생각됩니다.
둘째, 신선식품 콜드체인은 가격의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농산물은 풍작으로 공급이 늘어나면 가격이 하락하고, 역으로 흉작으로 공급이 부족하면 가격이 상승하기 때문에 이러한 수급불균형에 따른 식품가격의 불안정 요소를 완화시키는 방안으로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콜드체인을 구축하는 것은 국민 식생활의 안정만이 아니라, 나아가 농업경영체의 소득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셋째, 신선식품의 콜드체인은 식량 폐기ㆍ손실량의 감축에 기여합니다. 대부분의 신선식품은 수확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열화되어 폐기하지 않으면 안 되지만, 이때 폐기ㆍ손실되는 식량의 감축을 위해 콜드체인은 절대 필요한 기구(mechanism, system)라고 할 수 있습니다.
넷째, 소비자의 ‘식품안전의식’의 고취로 신선ㆍ고품질의 안전ㆍ안심할 수 있는 식품의 공급에 만전을 기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최근 들어 여러 가지 농식품의 이력추적제도 도입을 중요시 하게 되었지만, 콜드체인을 이용하는 냉장ㆍ냉동식품에도 ‘안전성’이라는 사회성에 포함되는 새로운 과제를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됩니다.
왜냐하면, 2017년에 유럽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촉발된 살충제 성분(피프로닐) 달걀이 국내에서도 검출되면서 우리나라의 식품안전관리가 매우 미흡하고 충격적 수준이라는 사실을 비롯해 식품에 대한 안전ㆍ안심에 관한 소비자의 요구가 대단히 높아졌기 때문이다. 특히 달걀 이외에도 국내외산 구분 없이 농축산물에서 기준치 이상의 잔류농약이 검출되는 일이 없어야 할 것입니다. 국내산 농산물이 수입 농산물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차별화하는 방법은 무엇보다도 안전하고 신선하다는 신뢰에 기초해야 함을 무엇보다도 우선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다섯째, 식품 물류의 경우에도 예외 없이 지구온난화 등의 환경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콜드체인 물류에 없어서는 안 될 냉장ㆍ냉동 장치나 설비는 많은 에너지(전력)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CO2 등의 온실가스 배출증가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즉 기업경영의 사회성의 중요 과제의 하나인 지구환경문제의 관점에서 콜드체인 유통 시 에너지 소비의 축소ㆍ절감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적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언급한 5가지 사회적 책임의 관점 가운데, 첫째부터 셋째까지의 3가지 문제는 종래부터의 전통적 관점의 과제이지만, 넷째와 다섯째의 2가지는 새로운 사회적 책임 관점의 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경제발전에 따라 식생활의 고도화를 배경으로 오늘날의 콜드체인 정책은 우리나라만이 아니라 전 세계 모든 나라나 지역에서 필수적인 것이 된 지 오래입니다.
마지막으로 본서에서 전개된 고찰은 식품 콜드체인에 관한 연구의 출발점(식품 콜드체인 입문)이라고 생각되며, 이를 토대로 미래에 더욱 연구의 내용을 질적으로 고도화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노력할 것을 다짐하는 바입니다.

2017년 12월
저자 씀

목차

제1장콜드체인은 블루오션 시장이다
1. 신흥개도국 중심 확대되는 콜드체인 수요 26
1) 아시아 지역 저온식품 시장과 콜드체인 정비의 중요성 26
2. 식품외 여타산업 콜드체인의 확대 30
3. 경제ㆍ사회ㆍ인구 여건 변화에 따른 고도 콜드체인 필요성의 증대 32
4. 식품의 생산ㆍ유통이력추적시스템(Traceability System) 34

제2장콜드체인의 개념 정의
1. 콜드체인의 개념 정의 39
2. 콜드체인의 구성요소 42
3. 콜드체인을 구성하는 설비ㆍ기기 47
4. 콜드체인 물류의 형성과 그 사용자(User) 49
1) 신선농산물(배추)의 콜드체인의 형성 49
2) 콜드체인 물류를 이용하는 주요 사용자(User) 56
5. 콜드체인 유통 상품의 특성 59
1) 신선농산물의 특성과 유통과제 59
2) 신선농산물 콜드체인의 실제 현황 68
3) 의약품 콜드체인의 실제 현황 75
4) 화학품 콜드체인의 실제 현황 76
5) 전자부품 콜드체인의 실제 현황 76
6) 생화(生花) 및 화훼류 콜드체인의 실제 현황 77
6. 식품의 선도관리와 콜드체인의 특징 77
1) 식품의 선도관리 77
2) 콜드체인의 특징 84

제3장콜드체인 발전의 역사적 고찰
1. 선도유지(저장보관)위한 콜드체인의 역사적 고찰 90
2. 콜드체인의 역사 92
1) 콜드체인의 기원 92
2) 미국 식품 콜드체인의 발전 92
3) 일본 식품 콜드체인의 발전 93
4) 우리나라 식품 콜드체인의 기원과 발전 96
3. 아시아 국가들의 콜드체인의 발달단계 107
4. 현대사회에서 식품 콜드체인의 역할 110

제4장우리나라 식품 콜드체인의 온도관리
1. 식품 온도범위 관리 118
1) 식품의 선도 표시에 관한 법과 제도 118
2) 온도범위 구분 122
2. 온도관리와 배송 125
3. 식품의 형태분류 126

제5장현대 식생활과 식품물류
1. 블루오션 창출을 위한 식품물류시장 발전방안 134
1.1 저온물류의 성장성 및 발전 방안 134
1) 저온물류 도입의 필요성과 개념 정의 137
2) 블루오션 ‘식품물류시장’의 성장성 142
3) 21세기 식품물류의 발전 방향 144
1.2 저온물류(식품물류)가 주목을 받는 이유(1) 148
1) 식품ㆍ식자재의 품질을 좌우하는 콜드체인 151
2) 확대되는 식품 Biz와 새로운 유통채널 152
1.3 저온물류(식품물류)가 주목을 받는 이유(2) 157
1) 실버 소비자를 위한 저온물류의 필요성 157
1.4 선도관리 비즈니스를 뒷받침하는 식품 SCM의 필요성 160
1) 저온물류(식품물류)가 주목을 받는 이유(3) 160
1.5 콜드체인(저온물류)의 고비용 구조 극복 방안(1) 169
1) 저온물류의 고비용 요인과 과제 169
2) 저온물류의 고비용 구조 극복 방안 171
3) 상온물품과 저온물품의 유통비용 및 요금의 차이 173
4) 농식품 산업계의 물류혁신 방안 177
5) 소비자 지향 패러다임 전환 179
1.6 고비용 구조 저온물류시스템 분석 방법 연구(1) 181
1) 저온물류시스템(CCS : Cold Chain System))관련 시설과 기술 유형 182
2. 농식품에 따라 세분화 되는 상이한 온도대(범위)의 유형 185
3. 고품질ㆍ높은 물류서비스가 요구되는 저온물류 187
1) 고품질ㆍ높은 물류서비스가 요구되는 저온물류의 특성 188
2) 1일 3회 공급시스템 : 24시간 대응형 식품물류의 지향 190
3) 제조일자 관리 : 품질유지기한(Date of minimum durability)관리 190
4) 최종도달일수 관리 195
5) 점포내 작업과의 연계 : 중요한 배송 인터페이스 196
6) 살아 숨 쉬는 유기생명체(농산품)의 취급 : 복잡하고 까다로운 상품관리 196
4. 고비용 구조 저온물류시스템 분석 방법 연구(3) 198
1)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는 저온물류시스템의 구축 방안 198
5. 물류서비스와 요금경쟁의 실태 203
1) 관심도가 증가하는 저온물류서비스 수준에 대한 철저한 고려 204
2) 아웃소싱과 업무대행 208
3) 일괄요금(운임ㆍ보관료)설정과 물품 개당(파렛트, 골판지상자)요금 209
4) 상온물류업계에 접근하는 실제요금 수준 211
5) 규제완화(허가제 → 등록제)와 심화되는 요금경쟁 213
6. 공동배송의 확대 213
7. 저온식품 물류서비스와 아웃소싱 분석 및 요금구조 실태 파악 216
1) 관심도가 높은 저온물류서비스 수준의 고려 216

제6장콜드체인 물류기술 현황과 고도화 방안
6.1 콜드체인 연구 필요성 및 범위 226
6.2 콜드체인 기술의 발전과 식품물류산업의 특성 228
1) 신선농산물 콜드체인 기술의 현황과 목적 228
2) 콜드체인 시스템(CCS) 관련 기술의 제반 유형 분석 229
6.3 신선식품 콜드체인 시장의 현황(SWOT) 분석과 영향 요인 파악 238
6.4 콜드체인 시스템(CCS) 관련 주요 물류기술의 고찰 244
1) 농산물 수확 후 관리기술의 개념과 중요성 244
2) 신선농산물 콜드체인 유통과 예냉의 필요성 및 효과 247
3) 포장(Packing & Packaging) 251
4) 저온 수배송 시스템과 수배송 관련 기자재 254
6.5 신선농산물 콜드체인 기술의 미래 전망과 과제 266
1) 신선농산물 유통기술 미래 전망 266
2) 콜드체인의 발전 배경과 시장의 동향 273
3) 콜드체인의 미래 276

제7장신선농산물 물류체계 현황 분석과 발전 방안
1. 서 론 282
2. 농산물 물류비 현황 분석 288
2.1 개요 288
2.2 농산물 물류비 현황 분석 289
1) 국가물류비 대비 농산물 물류비 현황 289
2) 기업 물류비 대비 농산물 물류비 발생현황 290
3) 톤(ton)당 국가물류비 대비 농산물 물류비 발생 현황 292
4) 농산물 부류별ㆍ항목별 물류비 비율(2007년 기준) 293
5) 주요 농산물의 유통 단계별 물류비 294
6) 농산물 기능(항목)별 물류비 비율의 추이 295
7) 상온유통 대비 저온유통 농식품의 물류비 현황(일본 사례) 296
3. 농산물 물류 현황 분석과 과제 298
3.1 개요 298
3.2 농산물의 운송실태 299
3.3 산지 농산물 유통시설 운영(가동률) 실태 302
3.4 농산물 포장의 실태 304
3.5 농산물 하역 실태 307
4. 농산물 물류체계의 발전 방안 309
4.1 물류 시스템 및 공급망 관리(SCM) 차원의 접근 309
4.2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기본 인프라 구축과 저비용 운용(low cost operation) 313
1) 산지물류 인프라의 효율화와 저비용 운용 기반 구축 313
2) 효율적 농산물 운송물류 인프라 구축 317
3) 운송종합정보시스템(복합ㆍ연계수송)의 구축 : 운송물류 효율화 318
4) 농산물 운송 등 실현 가능성 높은 부문의 제3자 물류(3PL) 도입 318
4.3 요약 및 결어 320

제8장신선농산물 콜드체인시스템 고도화
1. 서 론 327
2. 농산물 콜드체인 개념 정의와 주요 기술 및 콜드체인 유통현황 분석 332
2.1 농산물 콜드체인의 특징과 주요 기술 분석 332
1) 신선농산물 콜드체인의 특징 332
2) 농산물 콜드체인의 주요 기술 분석 334
2.2 국내 농산물 콜드체인 유통현황 분석 337
1) 신선농산물 저온유통체계구축사업과 채소류 저온유통체계 추진현황 337
2) 농산물 콜드체인의 실제 현황 342
3) 식품유통업의 유통 온도대별 상온 대비 콜드체인 유통비율 현황 343
3. 콜드체인 물류시스템의 고비용 구조 요인분석 346
1) 콜드체인 물류시스템의 고비용 구조 요인분석 346
2) 국내 D사 사례 중심으로 살펴본 상온물류와 콜드체인 물류의 비교분석 348
4. 콜드체인시스템의 고비용 구조 극복 방안 353
1) 콜드체인 업무개선을 통한 저비용ㆍ고효율 운영 방안 353
2) 콜드체인 시스템의 기술 고도화 추진 356
3) 고객지향적 콜드체인의 추진 358
5. 농산물 물류기업의 콜드체인 과제와 개선방안 359
5.1 전문가 청취조사에 기초한 NㆍDㆍKㆍF사 사례중심 농산물 물류기업 콜드체인 애로사항과 과제 359
1) 농산물 예냉 및 콜드체인 기술개발의 문제점 359
2) 전문물류기업(3PL)의 농산물 운송시장 진입의 어려움 360
3) 농식품 저온유통관련 기술 표준화의 과제 360
4) 법ㆍ제도 측면의 애로사항과 과제 362
5) 콜드체인 유통이력관리제도의 도입 362
6) 콜드체인 온도ㆍ습도관리의 철저한 이행 363
5.2 콜드체인 시스템의 개선 방안 363
1) 콜드체인 기반시설 확충과 장비보급 및 관련 시설ㆍ장비 운영의 활성화 363
2) 도매시장 저온유통체계 관련 시설정비 및 거래제도 개선 364
3) 저온유통품의 차별화 전략 강구 364
4) 콜드체인 기술개발 활성화 및 신속한 확산시스템 구축 364
5) 한국 실정에 적합한 콜드체인 시스템의 구축과 추진 방향의 설정 365
6) 농산물 저온유통 시설장비의 통계정보 DB 정비 및 활용방안 366
6. 요약 및 결어 368

제9장식품물류
1. 신선 농산물 물류관리 374
1) 물류의 개념과 중요성 374
2) 물류 관리의 중요성 377
3) 물류관리의 목적 378
4) 물류 활동과 물류 시스템의 이해 380
5) 식품물류의 특징 383
6) 물류 표준화의 의의 388
7) 공급망 관리(SCM)의 개념 391
2. 식품의 수송관리 393
1) 수송의 정의와 종류 393
2) 화물 자동차 수송 394
3) 철도 수송 397
4) 선박 수송 401
5) 항공 수송 402
6) 유닛 로드 시스템(unit load system) 404
3. 식품의 보관과 재고 관리 406
1) 보관의 개념과 기능 406
2) 원예농산물의 수확 후 관리기술 416
3) 창고관리의 개념과 그 중요성 427
4) 물류 센터의 개념과 이해 432
5) 재고 관리 435
4. 기타 물류 관리(포장, 하역) 440
1) 포장(packing) 440
2) 하역(Material handling) 441
제10장콜드체인의 새로운 동향과 미래 발전방안
1.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 의식 변화에의 대응 446
2. 환경문제 대응 방안의 추진 449
3. 경제의 글로벌화와 콜드체인 450
4. 콜드체인 산업의 트렌드와 미래 발전 방향 452
1) 콜드체인 산업의 세계적 트렌드 452
2) 콜드체인 산업 발전을 위한 미래 주요 10가지 트렌드 고찰 453
5. 콜드체인 산업의 성장과 기회요인 및 국내 콜드체인의 SWOT 분석 462

찾아보기 469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