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1. 회계의 기본체계 1
Chapter 1. 회계의 정의 3
1. 회계의 목적 4
1) 일상적인 영역에서 회계의 목적 4
2) 기업에서의 회계의 목적 7
2. 회계의 역할 13
1) 경영의 의미 13
2) 회계정보의 특징 16
3) 회계의 내부적 기능 20
(1) 기능적 접근 21
(2) 활동별 접근 24
(3) 기업의 언어 27
4) 회계의 사회적 기능 28
(1) 시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28
(2) 회계가 국가 경제에 필요한 이유 34
3. 회계의 정의 40
4. 회계 분야 44
Chapter 2. 회계보고 49
1. 재무제표 : 재무상태표와 포괄손익계산서 50
1) 구성요소 51
(1) 자본, 자산, 부채 52
(2) 비용, 수익, 이익 57
2) 재무제표의 유형 60
(1) 재무상태표 60
(2) 포괄손익계산서 63
2. 재무제표인 이유 65
1) 목적의 차이 66
(1) 재무상태표의 목적 67
(2) 포괄손익계산서의 목적 69
2) 두 개의 보고서가 필요한 이유 71
3. 재무제표의 한계 74
1) 재무상태표의 한계 74
2) 포괄손익계산서의 한계 77
Chapter 3. 회계의핵심등식 79
1. 회계등식 : 재무상태표 등식 81
1) 투자내역 vs. 자본조달내역 82
2) 사용권 vs. 소유권 84
(1) 회계등식의 1차 변형 84
(2) 변형의 의미 84
3) 회계등식으로 본 결산의 의미 87
2. 회계등식의 원리 90
1) 거래의 이중성과 복식부기 91
(1) 거래의 이중성 91
(2) 복식부기 92
2) 발생주의 95
(1) 수익, 비용 및 이익의 관계 95
(2) 회계등식의 2차 변형 97
(3) 현금주의 100
(4) 발생주의 102
(5) 자산 및 부채 인식기준 108
부 록□복식부기ㆍ현금주의 vs 복식부기ㆍ발생주의 112
(6) 수익 및 비용 인식기준 116
부 록□수익 및 비용인식기준 121
(7) 재무제표의 연계성 125
3. 회계순환 129
1) 단 위 131
(1) 계 정 131
(2) 분 개 133
2) 기중 회계처리 136
(1) 분개와 전기 136
(2) 시산표 137
3) 기말 회계처리 139
(1) 결산정리 분개와 전기 139
(2) 결산정리후 시산표 142
(3) 마감분개 143
(4) 회계순환 정리 149
Part 2. 계정별 회계처리 153
Chapter 4. 계정별회계처리의특징 155
1. 재무상태표 계정 156
1) 자산 회계처리의 특징 156
(1) 취득, 보유, 처분 157
(2) 자산 회계처리의 초점 158
2) 부채의 회계처리 특징 161
(1) 실질부채 vs. 명목부채 161
(2) 부채 회계처리의 초점 164
2. 포괄손익계산서 계정 166
1) 수익 회계처리의 특징 167
(1) 연속성 167
(2) 수익 회계처리의 초점 169
2) 비용 회계처리의 특징 171
(1) 대응성 171
(2) 비용 회계처리의 초점 172
Chapter 5. 세부계정별회계처리 175
1. 기본 접근 177
1) 회계처리의 기본전제 177
2) 세부 사항 179
(1) 매출채권과 대손충당금 180
(2) 재고자산 185
(3) 유형자산과 감가상각 193
(4) 사 채 201
2. 공정가치 평가 208
1) 공정가치의 개념 209
2) 세부사항 210
(1) 금융자산 211
(2) 자산재평가 216
3) 공정가치 개념의 특징 219
(1) 공정가치의 진정한 의미 221
(2) 공정가치의 활용 방법 223
Chapter 6. 계정별회계처리의합산:재무보고 225
1. 재무상태표 227
1) 계정의 분류 227
(1) 유동성 기준 227
(2) 중요성 및 비교성 기준 233
2) 재무상태표의 활용 235
(1) 유동성 관리 236
(2) 영업활동으로 인한 변동성 관리 241
(3) 재무활동으로 인한 변동성 관리 245
3) 재무상태표의 한계 250
(1) 가정의 한계 250
(2) 누락으로 인한 한계 251
(3) 합산의 한계 253
2. 포괄손익계산서 254
1) 다단계 보고 방식 254
(1) 이익의 의미 254
(2) 이익의 지속성 256
(3) 포괄손익계산서의 구조 258
2) 포괄손익계산서의 활용 263
(1) 수익성 관리 263
(2) 위험 관리 268
3) 포괄손익계산의 한계 273
(1) 이익의 근본적인 한계 273
(2) 이익 측정의 임의성으로 인한 한계 274
3. 재무상태표와 포괄손익계산서의 연계 277
1) 이익잉여금 278
(1) 개 념 278
(2) 특 징 281
2) 이익잉여금 관리 286
(1) 처 분 287
(2) 배 당 292
3) 포괄손익과 이익잉여금의 관계 298
(1) 포괄손익의 필요성 298
(2)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누적 관리 306
4) 자본에 대한 보고 319
(1) 자본거래 320
(2) 자본의 구조와 자본변동표의 필요성 327
Part 3. 회계학다시보기 335
Chapter 7. 회계의 숨겨진 의미 337
1. 사실보다 중요한 의도(relevance over fact) 339
1) 회계의 목적에 숨겨진 전제 339
(1) 이해관계자의 함축성 341
(2) 회계를 적용하는 대상의 함축성 346
2) 의도를 반영 359
(1) 상식적인 보고 내용 360
(2) 회계적인 보고 내용 362
2. 객관성을 넘어선 주관성(subjectiveness over objectiveness) 368
1) 발생주의 채택 이유 369
(1) 장기적인 경영활동에 대한 접근 371
(2) 불확실한 경영활동에 대한 접근 377
부 록?대손충당금 추정방법 384
2) 가정을 통한 측정 387
(1) 가정을 통한 합리성 387
(2) 가정의 합리성을 확보하는 방안 393
3. 숫자에 감춰진 회계정보 399
1) 회계정보에 대한 해석 400
(1) 회계정보의 객관성 401
(2) 회계정보로 인한 위험성 403
2) 숫자에 숨겨진 회계정보에 대한 해석 405
(1) 회계정보의 주관성 406
(2) 회계정보로 인한 진실 410
Chapter 8. 회계의 숨겨진 기능 415
1. 자본시장적 기능: 기업가치평가 418
1) 방 법 419
(1) 비율 중심 분석 419
(2) 현금흐름 중심 분석 425
(3) 수리모형 중심 분석 428
2) 기업가치평가 시 주의사항 446
(1) 측정(평가)의 한계 447
(2) 구조적 변화로 인한 한계 449
(3) 회계 이외의 정보로 인한 한계 451
3) 기업가치평가의 숨겨진 기능 452
(1) 미래에 대한 대비 453
(2) 투명성 확보 457
2. 전통적 기능 : 이해관계자 보호 463
1) 회계(會計, accounting) vs. 재무관리(財務管理, finance) 464
(1) 회계와 재무관리의 공통점 465
(2) 회계와 재무관리의 차이점 467
(3) 회계에 대한 인식의 전환 471
2) 이해관계자 보호 477
(1) 보수주의 477
(2) 보수주의의 활용 480
(3) 회계의 고유한 철학 483
3. 회계가 중요한 영역 488
1) 시장이 없는 분야 489
(1) 국가(정부)부문 490
(2) 비영리부문 499
2) 통제가 필요한 분야 502
(1) 금융부문 504
(2) 전력ㆍ통신부문 510
(3) 국방부문 513
3) 새로운 분야 519
(1) 빅데이터를 활용한 회계 520
(2) 회계교육 : 회계철학의 강조 523
4) 요 약 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