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짐멜의 갈등론

짐멜의 갈등론

  • 게오르크 짐멜
  • |
  • 간디서원
  • |
  • 2017-12-30 출간
  • |
  • 186페이지
  • |
  • 154 X 226 X 13 mm /368g
  • |
  • ISBN 9788997533237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9,4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4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1. 왜 갈등론인가?

현대사회는 범위가 넓고 빠르게 변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이해하는 학문적 대가가 출현하기를 기대하기 어려운 시대이다. 이런 때일수록 고전으로 돌아가라는 말을 누누이 듣지만 현실은 그런 고전을 찾아보기 힘들다.
짐멜은 학문의 탁월함에도 불구하고 당대에 학계에서 주변적 위치에 있었고 우리나라에서도 상호작용이론, 현상학적 사회학 등에 많은 영향을 미쳤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저작에 대해서는 크게 소개되어 있지 않다.
이 책은 단순히 짐멜의 사회학을 재조명하자는 의도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 곳곳에 만연하고 있는 갈등 현상을 이해하는 데도 큰 도움을 될 것으로 기대한다.

2. 사회학자로서 짐멜의 역할

게오르크 짐멜(1858~1918: Georg Simmel)은 『돈의 철학』(Philosopie des Geldes)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짐멜은 칼 마르크스, 막스 베버, 에밀 뒤르켕과 함께 현대 사회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주요한 고전 사회학자임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주목을 덜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독일(당시 프로이센)에 태어난 짐멜은 시기적으로 보면 막스 베버(1864~1920)와 거의 동년배이고, 마르크스(1818~1883)보다는 40년 뒤늦게 태어났다. 짐멜이 태어날 무렵 마르크스는 이미 성숙하여 마르크스이론은 독일 뿐 아니라 유럽 전체에 영향력을 발휘하던 시기이다.
짐멜은 막스 베버, 페르디난트 퇴니스(Ferdinand T?nnis)와 함께 독일 사회학회를 창립하고, 그의 저작들은 당대의 1세대 사회학자들에 의해 많이 읽히고 인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유태인 출신인 탓인지 아니면 탁월한 학문적 유명세로 인한 학계의 시기심 탓인지 오랫동안 교수직을 갖지 못하고 현재의 시간강사 같은 사강사(Privat Dozent) 지위에 머물렀다. 짐멜은 43세이던 1901년 베를린대학 명예조교수 자리가 주어졌으나 그 자리는 급료도 없고 학사행정에도 관여하지 못하는 허울뿐인 직책이었다. 당시 짐멜의 저작이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러시아어, 폴란드어로 번역될 정도로 세계적으로 명성을 얻고 있던 그에게는 서글픈 일이 아닐 수 없다. 10여년 후 1914년 정교수가 되었지만 그곳은 변방의 도시 스트라스부르크에 있는 지방대학이다. 그리고 4년 후 짐멜은 숨을 거두었다.
짐멜은 사회학자이면서 철학자이다. 그는 『사회 분화』(?ber sociale Differenzierung), 『사회학』(Soziologie), 『사회학의 근본 문제』(Grundfragen der Soziologie) 같은 사회학 저작 뿐 아니라 『윤리학 개론』(Einleitung in die Moralwissenschaft), 『역사철학의 문제』(Die Probleme der Geschichtphilosophie), 『돈의 철학』(Philosophie der Geldes), 『칸트와 괴테』(Kant und Goethe), 『종교』(Die Religion), 『쇼펜하우어와 니체』(Schopenhauer und Nietzsche), 『철학의 주요 문제』(Hauptprobleme der Philosophie), 『인생관』(Lebensanschauung), 『예술철학』(Zur Philosophie der Kunst) 등 철학, 종교, 윤리학, 예술 등에 관한 저작을 남김으로써 그의 학문적 경지는 종합학문의 성격을 띤다고 할 수 있다.
그의 저작에서 보듯이 짐멜의 학문적 영역은 종합학문의 성격을 띠고 있지만 짐멜의 학문적 영역은 분절된 분과학문을 단순히 종합해서 묶어 놓은 것이 아니라 당시 사회현상을 반영하는 일관된 사회관을 표방하고 있다. 사회학의 주요 관심은 사람들(또는 집단들) 간의 관계를 다루는 학문이다. 마르크스의 계급관계, 베버의 개인 행위 간의 관계, 뒤르켕의 사회분화는 물론 현대 사회학의 구조기능주의, 갈등이론, 교환이론,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할 것 없이 모두 관계―상호작용―를 다루고 있다. 그 관계를 어떤 관점에서 보느냐, 즉 우호적이냐 적대적이냐, 대립적이냐 상호적이냐에 따라, 요컨대 갈등관계에 있느냐 아니면 통일상태에 있느냐에 따라 많은 이론들이 분기되고 대결하고 있다.

3. 갈등이 없으면 통일은 없다

갈등이 없으면 통일은 없다!

짐멜은 갈등을 사회관계, 상호작용의 중심에 놓는다. 그러나 짐멜이 보는 갈등은 여느 갈등이론과도 사뭇 다르다. 이른바 갈등이론의 고전적 원류인 마르크스는 사회발전의 결과이자 원인으로 보고 사회진보의 원동력으로 간주한다. 현대사회학에서 갈등이론을 대표하는 랄프 다렌도르프(Ralf Dahrendorf) 역시 마르크스의 이론을 추종한다. 다만 마르크스는 경제적 관계에서 다렌도르프는 정치적 관계에서 갈등의 근원을 찾고 있다. 이 책에 제시된 짐멜의 갈등관은 전통적인 갈등이론에서 제시된 갈등관과는 전혀 다르다. 짐멜은 갈등을 통일과 대립적으로 보지 않고 통일을 위한 전제로 본다.
그러므로 위에서 언급했듯이 마르크스를 비롯한 대부분의 갈등이론가들이 거시적 측면에서 접근하는 반면, 짐멜은 혼인관계, 가족, 종교, 노사관계 등 모든 측면에서 접근한다. 또한 마르크스와 달리 갈등에 의한 역사발전의 논리를 펴지 않는다. 다만 갈등이 없으면 통일이 없고 비 온 뒤 땅이 더 잘 굳는 것처럼 더 나은 통일을 위해서는 끊임없는 갈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짐멜은 갈등을 역사적 필연으로 보지 않고 그의 사회학의 특징인 형식사회학적 관점에서 접근한다. 즉 갈등의 원인과 결과가 아닌 갈등의 형식을 중시한다.

[내용 소개]

갈등: 결합을 위한 한 방편
갈등은 서로 대립하는 것들 사이의 긴장을 해소한다.

갈등(conflict)의 사회적 중요성에 대해 지금까지 아무도 원리적으로 논의한 적이 없었다, 갈등은 각종 이익집단, 통일체, 조직체를 생겨나게 하기도 하고 변화시키기도 한다. 한편, 갈등을 갈등에서 유발되는 현상이나 갈등을 수반하는 그 어떤 현상과도 관련시키지 않고 그 자체로 결합(sociation)1의 한 형태로 보는 것은 상식적인 관점에서 보면 역설적으로 들릴 수도 있다.
언뜻 보면, 이것은 수사적인 문제로 들린다. 사람들 사이에 일어나는 모든 상호작용을 결합이라고 한다면, 갈등도 마땅히 결합의 한 형태로 간주해야 한다(갈등은 가장 강렬한 상호작용의 하나이며, 개인 혼자의 힘만으로는 일어날 수가 없다). 사실 결합을 해체하는(dissociating) 요인들, 즉 증오, 시기, 욕구, 욕망 등이 갈등의 근원이다. 이러한 요인들 때문에 갈등이 생겨난다. 그러므로 갈등은 분기하는 이중성(divergent dualism)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갈등은 통일(unity)을 성취하기 위한 한 방법이다(또한 갈등 대상을 소멸시키는 것도 통일을 성취하기 위한 한 방법이다). 즉 갈등이 일어나는 것은 유기체가 질병에 의한 장애와 피해로부터 벗어나려고 노력할 때 질병의 증상이 가장 심하게 나타나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그러나 이 현상[갈등]은 “평화를 원하거든 전쟁 준비를 하라”(si vis pacem para bellum)는 말보다 훨씬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 현상[갈등]은 아주 일반적인 현상인데, 이 격언은 특수한 경우에 대해서만 언급하고 있다. 갈등은 서로 대립하는 것들 사이의 긴장을 해소한다. 갈등은 평화를 지향한다는 말이야말로 갈등의 본성을 명백하게 나타내는 유일한 표현이다. 갈등은 서로 대립하는 요소들 또는 서로 옹호하는 요소들을 종합한 것이다.
이러한 성격은 대립 관계와 수렴 관계라는 두 형태의 관계가 둘 이상의 개인 또는 집단 사이의 무관심(indifference)과 근본적으로 구별된다는 것을 깨달을 때 가장 분명하게 나타난다. 무관심은 그것이 결합의 거부를 의미하든 폐기를 의미하든 순전히 부정적인 측면을 내포한다. 무관심이 순수하게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갈등은 긍정적 측면을 내포한다. 즉 갈등에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통합되어 있다. 이 두 측면은 개념상으로는 분리할 수 있지만 실제 경험에서는 분리되지 않는다.

목차

차례

옮긴이 서문 …… 11

제1장 갈등의 사회학적 성격 …… 17
갈등: 결합을 위한 한 방편 …… 19
갈등의 사회학적 적절성 …… 21
통일 대 불화 …… 25
갈등: 집단을 통일하는 원동력 …… 27
사회관계의 동질성과 이질성 …… 31
적대성: 결합을 위한 한 요소 …… 37
적대성의 근본적 성격 …… 42
적대감의 피암시성 …… 46
적대감을 유발하는 요인과 억제하는 요인 …… 48
적대적 게임 …… 52
법적 갈등 …… 54
대의를 둘러싼 갈등 …… 57
갈등의 토대: 대규모 사회구조 내의 공통적 성질 대 공동 성원권 …… 64
친밀한 관계 속의 갈등 …… 67
집단을 위협하는 갈등 …… 72
질투 …… 74

제2장 경쟁 …… 83
경쟁의 주관적 목표와 객관적 결과 …… 85
경쟁의 사회화 기능과 문명화 기능 …… 91
집단 내 갈등으로부터 집단을 보호하는 메커니즘: 유기적 연대 대 고립 …… 96
집단 내 경쟁과 집단의 구조 …… 100
가정 내의 경쟁 …… 101
종교집단 내 경쟁 …… 102
경쟁, 개인주의, 사회적 이해관계 …… 106
사회주의와 경쟁 …… 108
길드에서의 경쟁 …… 110
경쟁 수단의 제약 …… 112
법과 경쟁 …… 115
도덕과 경쟁 …… 121

제3장 갈등과 집단구조 …… 127
갈등과 집단의 중앙집중화 …… 130
갈등상태에서 중앙집중화된 집단의 행동 …… 133
집단 간의 갈등이 집단에 미치는 영향 …… 135
가톨릭교와 개신교 …… 137
남성과 여성 그리고 관습 …… 139
내부의 반대와 외부의 반대 그리고 집단의 결집력 …… 143
집단형성의 토대로서 갈등 …… 146
강조하고 싶은 욕구 …… 159
갈등과 평화의 모순관계 …… 161
갈등을 종식시키는 동기들 …… 163
갈등대상의 소멸에 의한 갈등의 종결 …… 165
승리 …… 167
타협 …… 170
화해 …… 173
화해불가능성 …… 179

찾아보기 …… 183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